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4752853
· 쪽수 : 597쪽
· 출판일 : 2014-09-26
책 소개
목차
발행인의 글
머리말
제8부 새로운 생명의 세계를 향한 새 창조자 성령(성령론)
1. 서방교회 신학의 성령론 소외 현상과 동방정교회의 성령론
2. 성령론의 중요성
3. 하나님의 영에 대한 구약성서의 이해
4. 하나님의 영에 대한 신약성서의 이해
5. 삼위일체 하나님의 신적 인격으로서의 성령
6. 세계 속에 있는 성령의 보편적 사역
7. 그리스도인들 안에 있는 성령의 명시적 특별사역
8. 새 창조의 역사에 봉사하는 성령의 은사
9. 그리스도인의 영성과 영분별의 지표
10. 성령의 활동과 인간의 노력
제9부 새로운 생명의 세계를 세우는 하나님의 구원(구원론)
1. 구원론의 역사 개관
2. 구원에 관한 성서의 기본개념들과 특징
3. 새로운 생명의 세계를 향한 하나님의 구원
4. 구원이 시작되는 길
5. 구원의 종말론적 현실로서의 믿음
6. 희망과 사랑 안에서 구체화되는 구원의 현실
7. 성화의 과정 속에서 완성되는 하나님의 구원
8. 정의와 평화를 통해 확장되는 하나님의 구원
9.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의 삶과 구약의 율법
10. 구원론의 현실적 문제들
참고문헌
개념 색인
인명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 서구신학의 역사에서 우리는 성령론이 소외된 현상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칼뱅, 슐라이어마허(F. Schleiermacher) 등 과거의 신학자들은 물론 판넨베르크(W. Pannenberg)를 위시한 수많은 현대신학자들의 교의학(조직신학)에서, 성령론은 독립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삼위일체론, 은혜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에 연계된 한 부분으로만 취급되어왔다. (제8부 1장 “서방교회 신학의 성령론 소외 현상과 동방정교회 성령론”)
● 성령은 성부와 성자와 동등한 신적 인격이기 때문에 이들의 모든 사역은 삼위일체의 공동사역이 된다. 성부의 창조(creatio), 성자의 구원(redemptio), 성령의 성화와 새 창조(sanctificatio, nova creatio) 내지 구원의 완성은 성부, 성자, 성령이 서로의 존재에 참여하여 함께 이루는 공동사역이다. 예수의 십자가의 고난도 예수 자신만의 고난이 아니라 예수 안에 계신 성령을 통한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의 고난이다. 따라서 그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의 사건이 된다. (제8부 5장 “삼위일체 하나님의 신적 인격으로서의 성령”)
● 피조물의 고난에 대한 연민은 단지 인간적 사랑과 동정심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영이신 성령의 감화감동으로 일어난다. 그리스도인들에게 부어진 성령, 곧 사랑의 영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인들은 피조물의 고난을 보게 되고 하나님의 구원받은 새로운 생명의 세계를 추구한다. (제8부 7장 “그리스도인들 안에 있는 성령의 명시적 특별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