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94803418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7-09-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두 개의 성
01 사랑과 증오를 만드는 남녀의 욕망
02 대지의 시대, 하늘의 시대
03 고대인들은 영혼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04 이분법의 시작은 고대 영적 세계관으로부터
제2장 가부장제와 고대인의 세계관
01 가부장제의 시작
02 창조에는 리듬이 있다!
03 왜 여성은 불완전한 존재였을까?
04 여성을 악으로 본 이유
05 생명을 주는 자는 남성이다?
06 고대인의 해석을 문제삼다
제3장 고대의 성(性)과 문화
01 성(性)이 문명화를 이끌다
02 성(性)은 왜 타락했을까?
03 우리가 몰랐던 성(性) 결합의 의미
04 매춘 개념을 통해 알아보는 고대인의 성(性) 관념
05 매춘에는 신성결합의 의미가 있었다
06 성(性)을 통해 일상의 풍요를 얻으려 한 고대인들
07 여성의 몸과 성은 본래 타락이 아닌 선망의 대상
08 우리에게 타락하지 않은 성(性)이 간절한 이유
제4장 영혼의 페미니즘
01 다르게 해석하는 해님과 달님
02 대지에 숨겨진 풍부한 의미들
03‘어둠’과 ‘밝음’은 다른 말일까?
04 숫자 3과 여성성의 관계
05 물과 대지는 스스로 낳는다
06 여성성과 남성성이 만난다면
07 양성구유의 가치를 되돌아보는 페미니즘
08 우리의 삶은 왜 모슨투성이일까?
09 페미니즘의 본질에 대하여
10 전체와 부분은 어떤 관계일까?
11 이분법에는 관점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12 다양한 관점만으로는 부족한 이유
13 페미니즘은 상식이다
14 페미니즘은 양심이다
15 페미니즘은 신비이다
16 페미니즘은 타자를 어떻게 이해할까?
17 자유는 아름다운 하나를 만든다
18 소피아는 여성명사!
19 대지의 시대를 만들어가는 우리들
나오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