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94815879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01-03
책 소개
목차
Ⅰ. 영화와 역사
한국영화의 기점은 <경성 전시의 경>이다_11
한국영화 검열시대_29
전설이 된 수난기의 민족영화 - 나운규의 <아리랑>_54
앞당긴 영화역사의 실체 — 최근 공개된 무성영화 <청춘의 십자로>_59
영화로 본 한일 관계의 명암 — 지배와 대립, 갈등에서 화해의 모색_67
지배 이데올로기와 좌절의 시선 — 영화 <망루의 결사대>와 <족보>를 중심으로_86
문화재로 거듭난 우리의 옛 영화_03
한국 영화잡지의 변천 — 1919년 《녹성》에서 1970년대 《영상시대》까지_109
신문광고와 잡지홍보에 의존한 아날로그적 방식 — 1960~1970년대의 영화홍보_119
Ⅱ. 영화작가·배우론
영화 <상록수>의 정신과 계몽의식 — 심훈의 현실인식과 지향점_129
한국영화기술 2세대를 이끈 양주남 감독 — 경성촬영소 시대에서 <종각> 전후까지_138
아메리카, 그리고 구라파적 취향과 관심 — 박인환의 영화평론_144
1950년대 신파조 영화의 계승과 역할 — 박노홍의 영화와 관련 장르_161
숙명적인 ‘노역’의 멍에 이고 산 연기파 황정순 — 신출내기 연극소녀에서 은막으로_189
1960년대 한국영화의 자존심 신상옥 — 영화는 시스템의 철학이라는 신념과 실천_196
박상호 감독과 <비무장지대>_204
미모와 파격의 카리스마 김지미 — 톱스타의 대명사_215
한국 문예영화의 대부 김수용 — 작품과 예술적 성과_245
사상 최다 출연, 최고의 인기 누린 무비스타 — 신성일의 연기와 작품_259
탁월한 기술력 갖춘 엔터테인먼트 — 영원한 청년 이형표 감독_275
‘사랑’을 키워드로 한 기교와 포장술 — 정진우 감독의 1960년대 영화_282
긍정적 시각 지닌 다작의 숙련공 — <소나기>의 고영남 감독_291
순교정신과 상반된 자살의 모순 — 최하원 감독의 작품세계_298
<고교 얄개>의 석래명 감독론 — 청소년영화의 3인방_307
Ⅲ. 영화 일반론
시대정신과 정체성의 모색 — 고전이 될 만한 10편의 영화_315
한국전쟁과 남북 분단의 영화 — <전우>에서 <포화 속으로>까지_329
영화에 나타난 재일 한국인의 유형 — <작은 오빠>에서 <피와 뼈>까지_336
전주錢主의 횡포와 극장의 큰 목소리 — 1950년대 이후 1990년대까지 영화제작 배급의 형태_344
빈약한 해방기의 공백 메운 <해연> — 이규환 감독의 두 번째 보유작_352
사찰 풍경 속에 녹아든 동심의 사모곡 — 최초의 해외 교환 상영작 <마음의 고향>_355
<주검의 상자> 발굴의 의미와 평가_365
분단현실과 시대정신이 제시한 풍향계 — 왜 <오발탄>인가?_374
진흙 속에 핀 사랑과 회한 — 이만희 감독의 <흑맥>_379
조작된 전쟁영웅의 십자가 —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아버지의 깃발>_383
빛의 알레고리, 소외된 피해자의 용서 — 이창동 감독의 <밀양>_389
리메이크 영화 - 약인가, 독인가? — 한국과 외국의 사례_399
창고극장에서 스마트폰 서비스까지 — 영화관람 환경의 변화_406
문학과 영화 사이 — 상상력의 확대와 시각 체험_411
김종원의 한국 극영화 100선_425
미주_428
저자소개
책속에서
먼저 본론에 앞서 호칭문제부터 거론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