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안종화 「한국영화 40년 약사」

안종화 「한국영화 40년 약사」

김종원, 김명우, 남기웅, 유창연, 이화진, 이효인, 전지니, 정종화, 조성민, 한상언, 함충범 (지은이), 영화진흥위원회 (엮은이)
두두(두두북스)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20,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070원
18,6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안종화 「한국영화 40년 약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안종화 「한국영화 40년 약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사
· ISBN : 9788980212699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4-12-24

책 소개

안종화(安鍾和, 1902~1966)가 몸소 체험하고 기록한, 한국영화 초창기 40년의 연대기를 복원하였다. 40여 년의 한국영화사 연대기를 정사(正史) 형식으로 정리하며 영화사의 큰 흐름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의의를 지닌다.

목차

발간사

1부
1. 한국영화 40년 약사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① 고몽-데메니
2. 안종화 「한국영화 40년 약사」의 특징과 의미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② 파르보

2부
1. 안종화의 배우 시절: 여형배우에서 화형배우로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③ 윌리엄슨
2. 카프영화 운동과 안종화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④ 유니버셜
3. 안종화의 초기 연출작 <꽃장사>와 <노래하는 시절>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⑤ 윌라트
4. 식민지 조선의 멜로드라마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
: <청춘의 십자로>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⑥ 벨 앤 하우웰
5. 조선일보사 주최 ‘제1회 영화제’와 안종화의 영화사 서술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⑦ 로얄 임페리얼
6. 해방기 안종화의 역사극과 ‘민족’이라는 화두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⑧ 아이모
7. 안종화 감독의 경찰영화 <수우>에 관한 재고찰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⑨ 미첼
8. 한국전쟁 이후 안종화의 영화계 활동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⑩ 코첼
9. 한 손에는 ‘메가폰(megaphone)’, 한 손에는 ‘교편(敎鞭)’을
: 안종화의 영화교육 활동
- 카메라로 본 한국영화사 ⑪ 아리플렉스

부록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필진 소개

저자소개

이효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화 연구서 『한국영화역사강의 1』(이론과 실천, 1992), 『한국 근대영화의 기원』(박이정, 2017), 『한국 근대영화사』(공저, 돌베개, 2019), 『한국 뉴웨이브 영화』(박이정, 2020), 에세이 『한국 뉴웨이브 영화와 작은 역사』(한상언영화연구소, 2021), 소설 『멜랑콜리 연남동』(사간서원, 2020), 『선물 같은 진경』(BOOKK, 2024)을 출간하였다. 현재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정종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상자료원 학예연구팀장으로 근무하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겸임교수로 영화사를 가르친다. 한국영화사와 한일 비교영화사가 주 연구 분야로, 2014~2016년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서 JSPS외국인특별연구원으로 공부했다. 주요 저서로 『韓国映画100年史―その誕生からグローバル展開まで』(明石書店, 2017), 『1990년대 한국영화』(공저, 앨피, 2022), 『1980년대 한국영화』(공저, 앨피, 2023)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Mode of Cinematic Plagiarism and Adaptation: How Ishizaka Yojiro’s Novels Launched Korean Youth Film」, 『Korea Journal』(vol. 57, no.3, 2017)와 「The Identity of “Joseon Film”: Between Colonial Cinema and National Cinema」, 『Korea Journal』(vol.59, no.4,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제주 출생. 시인이자 영화평론가이며, 현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상임고문이다.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와 동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57년 『문학예술』, 1959년 『사상계』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1959년 영화평론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65년 창립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발기인이자 3대 회장을 역임했다.(1981.02.01.~1982.01.31.) 학원사와 조선일보사에서 근무했으며 1975년 자유언론 수호를 위한 조선투위에 참여하여 강제 해직당했다. 이후 공연윤리위원회(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심의위원을 역임했으며 인하대, 동국대, 청주대, 한국예술종합대학 영상원 등에서 후학을 가르쳤다. 청룡영화상 제1회 정영일영화평론상,(1994.12.), 제주도 문화상(예술부문)(2000.12.), 영평상 공로영화인상(2020)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영화평론집 『영상시대의 우화』(第三企劃, 1985), 『한국영화사와 비평의 접점Ⅰ,Ⅱ』(현대미학사, 2007), 『영화와 시대정신』(작가, 2020), 회고록 『시정신과 영화의 길』(한상언영화연구소, 2023), 『제주영화사』(한상언영화연구소,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조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촬영을 전공했으며 서강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관심 연구분야는 미디어 기술의 역사와 수용자이다. 영화진흥위원회에 재직하고 있으며 번역서와 저서로 『촬영전문가를 위한 포커스 매뉴얼』(책과길, 2006), 『이미지컨트롤』(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퓨처시네마』(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영화기술표준』(패턴엔플릭스, 2022)이 있다.
펼치기
함충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상태이다.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연구교수, 나고야대학교대학원 문학연구과 객원연구원,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영상대학교 영화영상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영화사, 북한영화사, 일본영화사 등을 아우르는 동아시아영화사이다. 주 전공은 식민지 시대를 중심으로 하는 한일 영화 교류·관계사이고, 계속해서 그 시기와 지역을 확대하며 연구의 지평을 넓혀 가는 중이다.
펼치기
한상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상언영화연구소 대표. 한양대학교에서 한국영화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직후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영화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식민과 분단 문제이다. 현재 충남 천안에서 복합문화공간 ‘노마만리’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해방공간의 영화 영화인』(이론과실천, 2013), 『조선영화의 탄생』(박이정, 2018), 『영화운동의 최전선』(한상언영화연구소, 2022), 『스탈린거리의 평양책방』(한상언영화연구소,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이화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한국영화 및 극장문화를 연구한다. 「‘데프’의 영화를 찾아서 : <만종>(신상옥, 1970)과 그 주변」(2021), 「프랑스 지식인들과 전후 북한의 조우, 영화 <모란봉>(1960)」(2023), 「예술적 동정과 제국적 관용, 그 사이의 비평」(2019) 등의 논문과 『소리의 정치』(현실문화, 2016), 『조선영화란 하오』(공저, 창비, 2016), 『할리우드 프리즘』(공저, 소명출판, 2017), 『원본 없는 판타지』(공저, 후마니타스, 2020)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전지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경국립대학교 브라이트칼리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방문학자로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연극평론가로 활동하며 드라마투르그로서 연극 프로덕션에도 참여한다. 『극장과 젠더-냉전과 남북한 극장의 젠더정치(1945-1980)』(소명출판, 2024) 『인간의 미래, 연극의 미래-한국 SF연극의 역사와 상상력』(연극과 인간, 2022), 『1940년대 극장의 감성과 이데올로기』(혜안, 2016), 『연극과 젠더』(공저, 연극과 인간, 2019), 『해방기 문학의 재인식』(공저, 소명출판, 2018), 『할리우드 프리즘』(공저, 소명출판, 2017),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공저, 박이정, 2017) 등을 썼다.
펼치기
남기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영화이론을 전공하여 「영상(映像) 이전의 한국 영상(影像) 미학 연구」(2020)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주대학교와 경희대학교에서 강의하며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학에 관해 연구해오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민족과 계급 사이의 영화비평, 그리고 아메리카니즘 - 해방기 영화비평 연구」(2015), 「'전사(全史)'라는 욕망, 전사(前史)가 된 '최초의 정사(正史)'-노만(魯晩)의 『한국영화사』(1964)를 중심으로」(2024) 등이 있으며, 공저로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박이정,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한국영화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화운동에 관심을 두고 한국영화사를 조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1980-90년대 영화운동단체 및 영화인 연구이다. 현재 동 대학원 영상예술학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며 한상언영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스탈린거리의 평양책방』(공저, 한상언영화연구소, 2022)이 있다.
펼치기
유창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학 박사. 한국영상대학교, 강서대학교 강사. 2024년 2월 한양대학교에서 「영화를 통해 본 한국 대중문화 형성 과정 연구: 해방기, 한국전쟁기를 중심으로 (1945~1953)」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이미례 감독론: 1980년대 충무로 여성 영화감독의 장르성과 대중성」(2021), 「벨라 타르 초기작 연구 (1978~1985)」(2023) 등의 학술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영화사를 비롯한 한국 대중문화 역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영화진흥위원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진흥위원회(KOFIC: Korean Film Council)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영화에 관한 지원 역할을 위임 받은 전문기구로 1973년에 창립했다. 9인의 위원이 한국영화 정책을 심의하고 결정하며, 제작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진흥사업부, 해외진출 및 교류 사업을 담당하는 국제사업센터, 영화정책을 수립하는 영화정책센터, 인력 양성 기관인 한국영화아카데미, 영화제작 지원시설인 남양주종합촬영소, 디지털영화와 3D 영화 등 미래 영화기술을 연구·보급하는 기술사업부 그리고 영화발전기금을 관리하는 기획관리부와 경영관리부 등으로 이뤄져 있다. 프랑스의 CNC, 영국의 British Film Council 등 전 세계적으로 몇 개 되지 않는 자국 영화 지원 기구로서 영화진흥위원회는 한국 영화 정책과 산업, 세계 영화시장 동향, 영화 기술 등을 다룬 잡지, 보고서, 단행본을 꾸준히 펴내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