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시론
· ISBN : 9788994955759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2-04-0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근대성에 대한 반성적 사유
최남선의 계몽의 기획과 글쓰기
1. 중인계층의 역사적 위치
2. 시대를 이끌어가는 힘으로서의 ‘바다’와 ‘소년’
3. ‘조선주의’라는 중심화 전략의 이념적 실체
1) 대타의식으로서의 일본과 세계
2) 근대국가를 여는 동질화로서의 조선주의
4. 계몽의 기획과 그 한계
춘원 이광수의 시에 나타난 계몽의 의미
1. 춘원문학에서 있어서의 시와 산문
2. 자아 혹은 국가에 대한 인식
3. 근대로 나아가는 계몽의 전략
1) 계몽의 대상으로서의 조선
2) 님에 대한 그리움
4. 계몽사상의 한계와 시의 논리
우주 동일체로서의 상화 시의 자장
1. 상화시를 보는 새로운 겹
2. 유한의 인식과 영원의 사유
3. 무한 혹은 영원에 이르는 두가지 길
1) 동굴과 무한으로서의 통합 이미지
2) 비분절과 연속으로서의 자연이미지
4. 연속의 일탈로서의 저항시, 혹은 생활시
5. 우주론적 조화감각으로서의 상화 시의 의의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1. 근대성과 자연미
2. ‘촛불’의 인위적 세계와 ‘밤’의 통합적 세계
3. 절대적 관점의 상실과 현실로의 침윤
4. ‘자연’의 시사적 의미
유치환 시에서의 무한(infinity)의 의미 연구
1. 생명파와 유치환
2.무한과 유한의 간극 - 생명의지
3. 무한에 이르는 두가지 길
1) 경계의 초월과 연속체 의식
2) 유기적 전체로서의 자아 체험
4. 사변적 주제로서의 무한
김광균 시의 전향과 근대성의 문제
1. 김광균시의 뿌리
2. 원근적 세계와 주체의 완결성
3. 원근적 세계의 파탄과 주체의 두가지 지향성
1) 자아의 해체와 대상의 전면화
2) 자아의 확대와 대상의 축소화
4. 근대성의 양면과 그 드러내는 방식의 한계
김광섭 시의 자연과 그 근대적 의미 연구
1. 김광섭 문학의 출발점
2. 내면적 고립과 유한의 표상
3. 유한의 타원 세계에서 영원한 원의 세계로
4. 문명과 자연의 불연속적 초월, 그리고 형이상학적 영원주의
5. 초월적 자연의 시사적 의미
박용철 시의 순수성과 그 한계 연구
1. 내용과 형식의 갈라진 틈에서 솟아난 순수
2. 경험적 현실세계의 초월
3. 순수의 극점인 그리움의 세계
4. 현실과 유리된 ‘내 마음’의 좌절
5. 박용철 시에서의 순수의 한계
김현승 시에서의 성과 속의 길항관계
1. 김현승의 시를 보는 한 시각
2. 에덴동산으로서의 자연
3. 사유와 인식의 매개로서의 가을
4. 고독의 현상학
5. 원점회귀단위로서의 자연
박봉우시의 근대성 연구
1. 박봉우 시를 보는 한 관점
2. 근대를 항해하는 나비의 세가지 형태 - 김기림, 김규동, 박봉우의 경우
3. ‘피묻은 나비’가 만들어낸 근대성의 두가지 양상
4. 역사를 향해 나아가는 모더니티의 전략
5. 내성에의 회귀와 리얼리즘적 현실로의 분출
6. 복합적 근대성이 갖는 시사적 의미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재의 관점에서 지난 날의 한국시문학을 되새겨 보는 매우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의 근대 문학이 출범한지 벌써 100년이 넘는다. 특히나 흥미로운 것은 그때나 지금이나 근대에 대해 고민하는 방식이 매우 똑같다는 것이고, 따라서 그것을 지금 여기의 현실로 투영시켜 현재의 문제점을 진단해볼 수 있다는 데 현대시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근대 문학을 연구하는 즐거움이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한다.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지만, 지난 시기의 문학사를 통해서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짐을 느낀다. 그 공통관계가 커질수록 어떤 동질성이라든가 유대감 같은 것이 적지 않게 느껴진다. 그들의 사유방식 속에 과거의 내가 있고, 오늘의 나를 발견할 수 있으며, 또 미래의 나를 예단해 볼 수 있기에 더욱더 큰 황홀감으로 느끼게 된다.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