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88994987170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2-07-09
책 소개
목차
출판을 준비하면서
PART 01. 이론편
Ⅰ. ‘초콜릿 속의 수학’ 강연 이야기
1. 팔자에 없는 수학인생이 시작되다.
2. 8년 반 동안 학습지 교사로 활동하면서 얻은 결론
3. 저는 '야매' 수학강사입니다.
4. 아이들의 수학언어는 이미지다.
5. 수학교육의 적당한 시기는 언제일까?
6. 7세 이전에는 수학교육을 절대 시키지 말아야 하는 이유?
7. 7세 이전에는 수학교육을 절대 시키지 말아야 할 진짜 이유?
8. “아버지 저 나중에 수학자가 되어서 필즈상을 탈래요.”
9. 구몬식 연산지도법의 한계
10.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대뇌생리학은 찰떡궁합?
11. 수학의 왕도는 있다? 없다?
12. 세계 초등수학교육의 새로운 획 ‘우뇌기록법’
Ⅱ. 초등수학교육의 문제점
1. 질문하지 않는 아이로 만드는 수학교육
2. 점수를 중시하는 주입식 수학교육
3. 뿌리가 없고, 숲을 볼 수 없는 수학교육
4. 사고력이 아닌 암기력을 기르는 수학교육
5. 창의성과 천재성을 죽이는 수학교육
Ⅲ. 어떻게 교육을 할 것인가?
1. 10세까지는 충분히 놀아야한다.
2.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교육
3.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가 아닙니다.
4. 재미가 없으면 의미가 없다.
5. 부산에서 서울 가는 방법을 쓰시오.
6. 수학 점수도 정직해야 한다.
Ⅳ. 2013년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Ⅴ. 10년 앞을 내다 본 ‘손으로 생각하는 수학’
1. 교구중심의 수학교육을 지향합니다.
2. 생활 속의 수학교육, 실험중심 수학교육을 지향합니다.
3. 아이들이 행복한 수학교육을 위해 노력합니다.
4. 수학의 역사(스토리텔링)를 교육합니다.
5. 수학의 뿌리를 중시합니다.
6. 초등수학을 지도하면서 중등, 고등, 대학수학을 준비합니다.
7. 수학교육과 환경교육을 함께 합니다.
Ⅵ. 초등수학교육의 대안은 바로 ‘RIM’
1. RIM의 개념
2. RIM의 목적
3. RIM의 장점
4. RIM의 교육적 효과
5. RIM의 학습원리
6. RIM 재활용품 수학 교구의 조건
7. RIM 수업을 위한 교사의 준비
8. RIM 수업의 구체적인 학습설계
9. 효과적인 RIM 학습 진행 방법
10. RIM 교구 활용을 위한 아이디어 발상법
11. 기존 수학교육과 RIM교육의 차이
12. 철학의 중요성
Ⅶ. 국제수학교육대회
1. 국제수학교육대회(ICME) 란?
2. 국제수학교육대회(ICME)에서 소개 할 재활용품 수학교구
PART 02. 실전편
Ⅰ. 수와 연산
1. 수의 이해
2. 계란판을 활용한 덧셈과 뺄셈
3. 곱셈 지도 방법
4. 나눗셈 지도 방법
5. 분수셈 지도 방법
6. 배수와 약수 지도 방법
7. 소수셈 지도 방법
8. 혼합계산 지도 방법
Ⅱ. 측정 영역
1. 측정이란?
2. 길이, 넓이, 부피의 단위 이해
3. 길이, 넓이, 부피, 들이의 정의
4. 옛날에는 어떻게 길이를 재었을까?
5. 측정 단위의 유래
6. 미터법에 대하여
7. 길이에 대한 초등수학 교과서의 오류
8. 길이에 대하여
9. 넓이에 대하여
10. 원에 대하여
11. 각도에 대하여
12. 들이에 대하여
13. 무게에 대하여
14. 부피에 대하여
15. 들이, 무게, 부피에 대하여
16. 시간에 대하여
Ⅲ. 도형
1. 기본 도형에 대하여
2. 다각형에 대하여
3. 평면도형의 이동
4. 도형의 합동
5. 도형의 대칭
6. 입체도형에 대하여
Ⅳ. 규칙과 기타
1. 수 규칙
2. 무늬 규칙
3. 퍼즐 만들기
4. 기타 교구 만들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험에서는 좋은 점수를 얻었지만 공식을 달달 외운 학습의 기억이 얼마나 갈까요? 그렇습니다. 연필로 써가면서 외운 학습은 기억용량이 적은 좌뇌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시험을 본 후 즉시 잊어버리게 됩니다. 학교에서는 그 아이가 달달 외워서 썼는지에 대한 관심은 전혀 없습니다. 그저 시험지에 답안을 정확하게 썼는지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초등아이들(구체적 조작기:피아제)은 반드시 체험을 통한 학습을 해야 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수학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에 대해서 다른 선진국 아이들보다 시간과 노력과 돈을 엄청나게 쏟아 붓고 있지만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습의 성과가 제대로 오르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체험을 통한 교육'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손으로 생각하는 수학’은 실험으로 학습하여 평생가는 수학교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