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94987354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14-02-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책머리에
·妙
Ⅰ. 상고대(上古代) - 정신문화(K-Pop DNA)의 형성
1. 먼 흔적 -우리 음악의 기원
2. 우리의 소리 - 소리와 노래의 기원, 노래
3. 민족오락의 형성(제천의식) - 부여의 영고, 예의 무천, 고구려 동맹, 삼한의 계절제
4. 수이부작 신이호고 절비어아노팽(子曰 述而不作 信而好古 竊比於我老彭)
5. 원조 한류
·대륙적기질의 수준 높은 고구려의 공연예술
·고려양
?. 우리 민족의 음악사 (고대 ∼조선 시대)
·국악(國樂)
·국악의 구분
1. 삼국시대 음악.
2. 고려
3. 조선 시대
1) 조선의 서민음악
2) 조선말(末), 격변기
3) 정학원(掌樂院)
·장악원의 설립배경
·장악원의 위치
·장악원의 구성과 역할
·장악원내 생활
·장악원생의 선발과정
·장악원의 행사
4) 남사당과 바우덕이
·남사당
·바우덕이
Ⅲ. 민족의 시원(始原)
1. 환단고기(桓檀古記)
2. 동이족(東夷族)
- 존재의 시비
- 시원과 정체성
3. 홍산문화
4. 흉노족
5. 인디언과 아리랑
6. 아스텍(Aztec)문명
7. 한자(漢字), 갑골문자(胛骨文字), 산스크리어, 범어(梵語)
1) 한자(漢字)
2) 갑골문자(甲骨文字), 가림토(加臨土)문자....45p
·갑골문자(甲骨文字)
·가림토문자(加臨土 文字,옛 한글)
·범어(梵語)
Ⅳ. 근대(近代) - 한민족의 문화 DNA, 담금질에 들어가다
1. 근대의 흔적
1) 일제 말, 최고의 스타 박춘재
2) 중국 최초의 K-pop 스타 정율성(鄭律成)
3) 서양음악의 유입
- 서양식 군악대
- 조양구락부
4) 초기의 대중가요
5) SM원조, 오케레코드
6) 이철
7) 조선악극단
- 이철의 악단 변신
- 악극단의 험난한 여정
- 조선악극단 귀향보고 공연
- 열악한 공연장비
- 공연 중 사건사고
8) 최초의 녹음
- 유성기 등장
- 조선어 교육레코드
9) 실용음악과 오케 음악, 무용연구소
- 최초의 대중예술 전문교육기관
10) 김해송
11) 최초의 가수 선발대회
- 조선 명가수 선발대회
- 1950∼60년대 노래자랑
Ⅴ. 현대(現代) - 자라나는 K-pop의 모종
1. K-pop의 태동
1) 미 8군과 오디션
2) 대학가요제
3) 탑 밴드와 전국 그룹사운드 경연대회
- 우드스탁
- 탑밴드
4) 이교숙과 이판근
- 이교숙
- 이판근
2. 디지털 환경
1) 제작
2) 홍보마케팅
3) 유통
Ⅵ. K-pop
1. 일본 최초의 K-pop 스타 이성애 - 한국 가수의 일본 진출 사(史)
1) 시작의 시작
2) 제1장-이성애
3) 제2장 1막-보아
4) 제2장 2막-동방신기
5) 일본의 반응과 비전
2. K-pop의 국외 진출 사(史)
3. 동남아 순회공연
4. 한국인의 DNA &1.5∼2
5. K-pop의 산실
1) 이수만 회장
2) 이수만과 보아
3) SM의 산물
4) SM의 기업이념
5) SM의 비전과 미래전략
6. SM, JYP, YG와 삼국지 ? K-POP 삼국지
7. K-pop의 과거와 미래
1) K-pop 탄생의 비밀
2) K-pop의 정체성
3) 상품으로 본 K-pop
4) K-pop의 경쟁력
5) K-pop, 원료의 딜레마
6) K-pop과 산업
7) 밖에서 본 K-pop
8) K-pop의 저변과 비전
Ⅶ. K-pop, 말(馬) 타고 세계 정복 (기마민족 후예의 음악본성)
1) 우리 민족 예술적 DNA
2) 싸이, 한국인 박재상
3) K-pop과 강남스타일
4) 강남스타일의 의미와 과제
Ⅷ. K-pop, 천 개의 바람으로
1) 배뱅이 굿과 돈데 보이(Donde Voy)
2) K-pop, 과 천개의 바람 (A Thousand Winds)
저자소개
책속에서
K-pop의 주역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는 같은 듯 다른 방식으로 오늘을 일궈냈고 각 사(社)마다 고유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큰 틀에서 보면 ‘K-pop을 만들고 마케팅하기 위한 전형적인 시스템이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시스템보다는 생각(mind)의 차이가 느껴진다.
대표자 이니셜로 회사 이름을 작명한 것부터 제작, 운영방침, 소속가수, 해외진출, 코스닥 상장 등 겉으로 봐서는 유사해 보이나 살펴보면 상당히 다른 색깔의 체재를 갖춘 3국(國)이다. 3국지 같은 구도를 형성하며 때로는 전투대형으로 때로는 동지로 선의의 경쟁을 하며 협력하고 의지한다. 어쨌거나 이 3사가 K-pop의 열기를 주도하며 국위를 선양하고 있으니 음악인의 한 사람으로 감사할 따름이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