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9514911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1-04-30
책 소개
목차
1. 서문
성경에는 한국에 대한 특별한 계시가 기록되어 있다
2. 알이랑 고개를 넘어 동방으로
거룩한 선민의 계보
벨렉의 후손과 욕단의 후손
한국인이 욕단의 후손임을 입증하는 열두가지 증거들
3. 알이랑 고개를 넘어 예루살렘으로
성민 한민족에 임할 말일의 은혜와 한국교회의 사명
거룩하신 하느님의 거처인 셈의 장막
첫것은 실패하고 둘째 것이 승리하는 성경의 원리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은 이렇게 응답하라
4. 맺음말
성민 한국이여, 깨어나라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리랑'이 한민족의 대표적인 노래라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한 사실이다. 슬플 때도 아리랑, 기쁠 때도 아리랑, 아리랑은 우리 겨레의 역사와 함께 민족의 한과 기쁨을 노래해 온 단 하나의 노래이다. 아리랑은 시대와 지역, 사상과 종교를 초월하여 우리 겨레의 피 속에 끈끈하게 흘러 내려오는 하나의 정서이며, 앞으로도 끊임없이 이어나갈 우리의 정신이다.
새 천년의 첫번째 올림픽인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스포츠를 통한 평화 증진"이라는 올림픽의 이념을 한결 두드러지게 했던 감동적 장면이 연출된 바 있었다. 반세기 이상 분단의 아픔을 겪고 있는 남북한 선수들이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하나의 깃발을 들고 함께 입장을 했기 때문이다. 이때 양측의 국가를 대신하여 흘러나온 배경 음악이 바로 '아리랑'이었다.
아리랑을 부를 때, 한국인은 일체감을 느낀다. 아리랑은 흩어진 겨레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힘이며, 우리 겨레를 강력하게 결속시켜 주는 한민족 공통의 정서이다. 한국인은 아리랑을 부를 때 저절로 흥이 난다. 무슨 이유로 '아리랑'은 한국인의 마음에 그토록 크게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일까?
('선조들의 역사 노래 아리랑', 본문 p. 7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