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만들어진 악마

만들어진 악마

(신화와 종교 속의 악마 이미지)

폴 캐러스 (지은이), 이경덕 (옮긴이)
소이연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만들어진 악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만들어진 악마 (신화와 종교 속의 악마 이미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신화학/신화상징
· ISBN : 978899574776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1-10-31

책 소개

인류 역사 초기에는 선신보다 악마가 큰 숭배를 받았다. 지은이 폴 캐러스는 인류의 종교가 공포에서 비롯되었다는 전제에서 악마적 존재의 필연적인 등장을 도출해냈다. 이후 고대 세계에 이 악마적 존재를 몰아내기 위한 선한 신이 등장하지만 이들은 쉽게 악마를 세상에서 밀어내지 못했다.

목차

옮긴이 서문 5
글을 시작하며 13

제1부 동양의 악과 악마들

1. 고대 이집트
남쪽 사막의 지배자, 세트·20┃세트에게 살해된 오시리스·28
2. 아카드인과 초기 셈족
검은 머리, 붉은 피부·36┃이야기의 기원·37┃큰 뱀, 티아마트·41┃다양한 악마와 악마숭배·48
3. 페르시아의 이원론
황금빛 광채, 조로아스터교·58┃악마 숭배에서 신 숭배로·60┃조로아스터교가 세계 종교에 미친 영향·66
4. 이스라엘
사막의 신, 아자젤·74┃미신적 관습들·75┃사탄·79
5. 브라만과 힌두교
종교와 철학의 원초적 고향, 인도·84┃비슈누의 열 가지 화신·87
6. 불교
마라, 사악한 존재·108┃붓다의 적, 마라·110┃불교 예술 속의 마라·114┃십이연기·117┃삶의 수레바퀴·120┃ 북부불교·128

제2부 서양의 악과 악마들

7. 초기 그리스도교
예수와 ≪신약성서≫·136┃유대인과 그리스도교의 종말론·146┃지옥으로의 하강·150┃지옥·155
8. 북유럽의 악마 숭배
튜턴화한 그리스도교·171┃거인들·174┃생매장·175 ┃인간에게 속은 악마·178
9. 악마의 전성시대
기적과 마법·188┃액막이·199┃주술 신앙·202┃유사한 미신들·208
10. 마녀사냥
박해를 받은 이단자들·222┃마녀의 망치·232┃고문·235┃아우크스부르크의 천사·243┃마녀사냥의 부 활·247┃양식 있는 고위 성직자들·248┃프로테스탄트에 의한 마녀 사형집행의 한 예·250┃미국에서 행해진 마녀사냥·252
11. 마녀사냥의 폐지
몰리토리스와 에라스무스·256┃바이에르, 메이파트, 그리고 루스·258┃고귀한 세 명의 예수회 수도사들· 259┃마녀사냥의 쇠퇴·261┃마지막 흔적·266┃지옥의 묘사·267┃병리학으로 발전한 악마주의·272┃19세기 의 악마학·274┃현재의 상황·278
12. 시와 전설 속의 악과 악마
악마 이야기·287┃악마와의 계약·292┃파우스트 전설·298┃괴테의 파우스트·305┃유머 작가들·307

글을 마치며 314

저자소개

폴 캐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52년 독일 일젠부르크에서 태어나 교육받았고, 1887년 미국으로 건너가 오픈코트출판사(Open Court Publishing)의 책임편집자가 되어 종교와 철학, 과학에 대한 많은 책을 펴냈다. 철학자인 그는 또한 스스로 저술가로 활동하면서 수십 권의 책을 집필했다. 그가 남긴 책에는『The Religion of Science』(1893), 『The Gospel of Buddha』(1900), 『The Principle of Relativity』(19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류학자. 한양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문화인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대학에서 ‘의례 축제 신화’, ‘경제인류학’ 등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0시의 인류학 탐험》, 《어느 외계인의 인류학 보고서》, 《새롭게 만나는 한국신화》, 《나는 스타벅스에서 그리스신화를 마신다》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그리스인 이야기》 등이 있으며, 《만화 한국 신화》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고인류학은 화석과 유물을 연구해 인류가 어떻게 태어났고 진화해 왔는지 밝히는 학문입니다. 《0시의 고대 인류 탐험》은 오늘날 우리의 뿌리가 되는 조상들이 어떻게 살아갔는지 즐겁게 탐구하기 위해 기획한 청소년 지식소설입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글을 시작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는 빛과 그림자, 더위와 추위, 선과 악, 그리고 신과 악마 같은 대립적인 개념들이 있다. 자연을 둘로 나누어 보는 이러한 이원론적 개념은 인류의 사상 발전을 위해 필연적인 것이었다. 지구상에는 다양한 민족이 있는데, 이들의 초기 발전 과정에서는 이원론적 선악관이 지배했다. 그것을 E.B.타일러의 전문용어로 애니미즘精靈崇拜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사상의 발전을 지배하는 것은 통합의 원리이다. 인간은 다양한 개념들을 일관되고 조화로운 일원론으로 통일하려고 노력했다. 따라서 선한 영혼에 대한 신앙은 일신론적 원리 형성을 지향하는 반면, 악한 영혼에 대한 신앙은 자연스럽게 사악하고 파괴적이고 반도덕적인 것의 총체로 형상화되어 유일하고 절대적인 악신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발전해 왔다.
일신론과 유일악마론은 모두 인간의 정신적 진화가 단일한 경향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발생한 것이지만 양자가 어울려 모두가 인정하는 세계 개념인 이원론을 형성해 왔다. 그러나 이원론은 철학의 목적지가 아니다. 인류의 사상가들은 이러한 세계 해석에 내포되어 있는 이원론을 인식하자마자 더욱 차원 높은 일원론적 개념을 지향했다.
그렇다면 일원론은 신을 유일한 주체로 만들기 위해 악마의 개념을 배제한 것일까? 아니면 운동 중인 어떤 사물 세계에 장소를 비워 두기 위해 신과 악마 모두를 폐기한 것인가? 인류의 미래는 M.귀요(1854~1588. 프랑스의 철학자-옮긴이)가 예언한 것처럼 종교가 사라지고 무종교로 나아갈 것인가?



인간 사상의 진화에서 이원론의 역할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이원론이 비판을 견디지 못하는 것만을 본 사람들은 인류의 미래가 무종교적이 될 것이라고 상상한다. 또한 일부 자유사상가들은 무신론이 모든 종류의 신 관념을 대신할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 시대의 일원론적 경향은 종교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양시킬 것이다. 야만인의 애니미즘은 인간의 정신적인 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필연적인 단계였다. 즉 반半개화 시대에 고도로 발달한 인간의 눈으로 보면 애니미즘은 잘못된 것처럼 비친다. 그러나 그 잘못 속에는 주위의 세계를 보다 완전한 개념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진리가 내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종교적 관념은 모두 상징이다. 상징이란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모든 종교적 관념은 비판을 이겨낼 수 없다. 그러나 그 상징적 성격을 이해하면 현재의 종교적 관념은 훗날 보다 순수한 진리 개념으로 성장할 수 있는 씨앗임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철학 사상의 지배적인 경향은 세계를 실증적인 개념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사상의 경향은 다양한 사실을 진술하는 것으로 상징을 대신하고 있으며, 그와동시에 종교적 알레고리를 부정하지 않고 보다 깊고 정확한 개념을 이끌어낸다.
인류가 무신론을 채용하고 그것을 공공연하게 가르칠 수 있는 무종교의 상태는 있을 수 없다. 무신론은 부정이며, 그 어떤 부정도 자립할 수 없다. 왜냐하면 부정은 스스로 거절하는 이런저런 긍정적인 논점과 대면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의미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에 대해 우리가 지금 지니고 있는 의인적인 견해, 즉 신인동형론神人同形論이라 불리며 신을 무한히 큰 개별적인 존재로 보는 것은 앞으로 보다 고차적인 견해에 자리를 내주어야 할 것이다. 그때 우리는 인격적인 신의 개념이 단지 직유直喩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신은 하나의 인격 이상의 존재다. 우리가 신을 인격으로 말할 때 비유로 쓰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려야 한다. 비유를 말 그대로 받아들이면 신을 경시하는 것이다. 미래의 신은 인격적인 것이 아니라 인격을 초월한 그 어떤 것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가 어떻게 해서 이런 초인적인 신의 인식을 얻을 수 있을까? 우리는 과학에 의해서라고 답한다. 과학이 가고 있는 것과 같은 길을 종교가 따라간다면 좁은 종파주의는 우주적인 종교로 발전할 것이다. 그런 경우 종교는 과학처럼 폭이 넓고 참으로 보편적인 것이 될 것이다.
상징은 허위가 아니다. 상징은 진리를 내포한다. 비유와 우화는 거짓이 아니다. 그것들은 정보를 전한다. 또한 비유와 우화를 사용하면 드러나 있는 진리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다. 과학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교적 상징이 스스로 지니고 있는 상징적 성질 속에서 이해되고 알려지게 된다면 이 인식은 종교를 소멸시키지 않고 종교를 순화시킬 것이며 상징을 표현하는 신화를 벗어던지고 순수해질 것이다.
우리는 신을“일정한 도덕적인 행위를 강요하는 만물에 내재하는 권위의 존재”로 정의한다. 신은 자연법칙들 속에서 조화를 구성하는 듯이 보이는 어떤 존재다. 신은 수학과 논리의 본질적인 필연이다. 신은 특히 우리가 경험을 통해 배우는 정직함, 공정, 품행 등 양보할 수 없는 여러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존재는 내재적이며 초월적이다. 신이 내재적인 것은 우주에 편재하는 법칙을 구성하는 특성을 지



니고 있기 때문이다. 신이 초월적인 것은 모든 우주질서의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신은 우주적이고 동시에 초자연적이다.
우리는 신을 인격적으로 받아들인다. 왜냐하면‘비인격적’이란 말은 인격을 구성하는 다양한 특성의 부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애매함과 불명확함, 그리고 성격의 결여를 의미한다. 그러나 신은 우주질서 속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극도로 명확하다. 그는 애매하지 않고 지극히 분명한 여러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는 그이고 다른 것이 아닌 존재다. 그의 존재는 보편적이고 막연하지 않다. 그렇다고 불확정한 것도 아니다. 그의 성질은 애매한 일반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지시성을 갖고 있다. 분명히 그렇다. 세계의 모든 사물들의 정신적 영역과 물질적 성질은 위에서 정의한 신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른바 이성이라고 부르는 우주적 논리의 인격과는 다르다. 인간의 인격이란 무엇일까? 신은 개별의 존재가 아닌 인격의 원형이다. 비록 신은 육체를 지닌 인간처럼 이것저것 생각하고 논의를 비교 검토해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신은 인격의 조건을 규정하는 존재다. 신의 이미지를 살아 있는 것들에 반영할 때 신이 지니고 있는 고귀함, 즉 신은 이들 생물의 영혼에 부여할 수 있는 온갖 속성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신은 비인격적인 것이 아니라 초인격적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신의 관념이 철학자나 진보적인 신학자들로부터 많은 주의를 끌었지만 그 대응물인 악이라는 존재의 어두운 모습은 무시당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마는 뭐라고 해도 강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인격이며 기괴하며 해학적이고 낭만적이며 감동적이고, 아니 그뿐만 아니라 장대하고 비극적이기까지 한 인격이다. 따라서 만약 우리가 신의 관념이 사실 세계에서 현실적 존재를 나타내는 상징이라고 주장할 수밖에 없다면, 악마의 관념 역시 하나의 현실을 드러낸다고 생각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이 주제를 완전히 파헤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악마론의 거의 완전한 역사를 쓰기 위해서는 많은 책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악마적 신앙의 발전과 악의 관념이 지니고 있는 성질에 대해 가장 현저한 몇 가지 특색을 스케치하는 것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