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흠정만주원류고 - 하

흠정만주원류고 - 하

남주성 (옮긴이), 이병주 (감수)
글모아출판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050원 -5% 0원
1,120원
35,930원 >
37,050원 -5% 0원
카드할인 10%
3,705원
33,34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흠정만주원류고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흠정만주원류고 - 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 ISBN : 9788995754290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0-04-30

책 소개

신라와 백제의 강역이 길림성과 요령성 등까지 미치고 있었다고 기록하여 지속적으로 사학계에서 논란이 되어 온 <흠정만주원류고>가 우리 고대사를 연구하는 현직 공무원(감사원 과장 남주성)이 한문 대역으로 완역하고, 영남대 사학과 교수를 역임한 이병주 박사가 감수를 함으로써 출간되었다.

목차

상권

賀 辭
역자 서문
解 題
일러두기

제요(提要)

권수(卷首)
유지(諭旨) · 27 주접(奏摺) · 34 범례(凡例) · 37

권1(卷一)
부족1(部族 一)
만주(滿洲) · 47 숙신(肅.) · 53 부여(夫餘) · 59

권2(卷二)
부족2(部族 二)
읍루(.婁) · 73 삼한(三韓) · 79 물길(勿吉) · 94

권3(卷三)
부족3(部族 三)
백제(百濟) · 101

권4(卷四)
부족4(部族 四)
신라(新羅) · 147

권5(卷五)
부족5(部族 五)
말갈(靺鞨) · 201

권6(卷六)
부족6(部族 六)
발해(渤海) · 225

권7(卷七)
부족7(部族 七)
완안(完顔) · 265 건주(建州) · 281

권8(卷八)
강역1(疆域 一)
흥경(興京) · 295 길림(吉林) · 296 흑룡강(.龍江) · 297
숙신 4지(肅.四至) · 299 숙신성(肅.城) 숙신현(肅.縣) · 299
부여국도(夫餘國都) · 302 부여성(夫餘城) 부여부(夫餘府) · 303
읍루국계(.婁國界) · 305 읍루고지(.婁故地) 읍루현(.婁縣) · 306
삼한분지(三韓分地) · 309 삼한 속국(三韓屬國) · 310
삼한고지(三韓故地) 마한도독부(馬韓都督府) 진주(辰州) 삼한현(三韓縣) · 312

권9(卷九)
강역2(疆域 二)
옥저(沃沮) 예(濊) · 315 물길행정(勿吉行程) · 321
물길 7부 고지(勿吉七部故地) · 324 물길 옆에 있는 나라(勿吉旁國) · 329
백제 이지(百濟里至) · 331 백제도성(百濟都城) 백제군읍(百濟郡邑) · 334
백제의 여러 성(百濟諸城) · 338 신라(新羅) · 342 계림주(.林州) · 345 신라 9주(新羅九州) · 346 말갈(靺鞨) · 351
흑수주(.水州) 흑수부(.水府) · 356 철리(鐵利) 월희(越喜) 고지(故地) · 357

권10(卷十)
강역 3(疆域 三)
발해국경(渤海國境) · 365 홀한주(忽汗州) 홀한성(忽汗城) · 370 상경(上京) 용천부(龍泉府) · 374 용주(龍州) · 375 호주(湖州) · 377 발주(渤州) · 377
중경(中京) 현덕부(顯.府) · 378 노주(盧州) · 380 현주(顯州) · 381
철주(鐵州) · 382 탕주(湯州) · 384 영주(榮州) · 385
흥주(興州) · 386 동경(東京) 용원부(龍原府) · 387 경주(慶州) · 388
염주(鹽州) · 389 목주(穆州) · 389 하주(賀州) · 390
남경(南京) 남해부(南海府) · 390 옥주(沃州) · 392 청주(晴州) · 393
초주(椒州) · 393 서경(西京) 압록부(鴨.府) · 395 신주(神州) · 396
환주(桓州) · 397 풍주(.州) · 398 정주(正州) · 399
발해(渤海) 장령부(長嶺府) · 402 하주(河州) · 403 부여부(夫餘府) · 403
막힐부(..府) · 407 고주(.州) · 408 안녕군(安.郡) · 409
정리부(定理府) · 409 정주(定州) · 410 심주(瀋州) · 412
안변부(安.府) · 413 안주(安州) · 414 솔빈부(率.府) · 415
익주(益州) · 416 건주(建州) · 417 동평부(東平府) · 418
몽주(蒙州) · 419 타주(.州) · 420 동평채(東平寨) · 420
회원부(..府) · 421 부주(富州) · 422 미주(美州) · 423
복주(福州) · 423 철리부(鐵利府) · 424 광주(廣州) · 425
포주(蒲州) · 426 의주(義州) · 426 귀주(歸州) · 428
안원부(安.府) · 429 영주(.州) · 429 모주(慕州) · 429
영(.) 동(銅) 속(.) 3주(三州) · 430 개주(.州) · 433 숭주(崇州) · 433
집주(集州) · 434 녹주(麓州) · 435

부록
금사성씨고(金史姓氏考)
흥경(興京)관할의 성보

찾아보기


하권

賀 辭
역자 서문
解 題
일러두기

제요(提要)

권수(卷首)
유지(諭旨) · 31 주접(奏摺) · 38 범례(凡例) · 41

권11(卷十一)
강역4(彊域 四)
요 동북지계(遼 東北地界) · 47 요 상경 장춘주(遼 上京 長春州) · 50
요 동경 요양부(遼 東京 遼陽府) · 52 개주(開州) · 54
정주(定州) · 55 보주(保州) · 56 진주(辰州) · 56
노주(盧州) · 57 내원성(來.城) · 57 철주(鐵州) · 58
흥주(興州) · 59 탕주(湯州) · 59 숭주(崇州) · 60
해주(海州) · 60 녹주(.州) · 61
환주 풍주 정주 모주(桓州 .州 正州 慕州) · 62 현주(顯州) · 62
종주(宗州) · 64 건주(乾州) · 64 귀덕주(貴德州) · 66
심주(瀋州) · 67 집주(集州) · 68 광주(廣州) · 69
요주(遼州) · 69 수주(遂州) · 70 통주(通州) · 71
한주(韓州) · 71 쌍주(雙州) · 72 은주(銀州) · 73
동주(同州) · 73 함주(咸州) · 74 신주(信州) · 76
빈주(.州) · 77 용주(龍州) · 78 호주(湖州) · 81
발주(渤州) · 81 영주(.州) · 81 동주(銅州) · 82
속주(涑州) · 82 솔빈부(率.府) · 83 정리부(定理府) · 83
철리부(鐵利府) · 83 안정부(安定府) · 84 장령부(長嶺府) · 84
진해부(.海府) · 84 기주(冀州) · 84 동주(東州) · 85
상주(.州) · 85 길주(吉州) · 85 녹주(麓州) · 85
형주(.州) · 86 의주(懿州) · 86 잉주(.州) · 87
순화성(順化城) · 88 영주(.州) · 88 연주(衍州) · 88
연주(連州) · 89 귀주(歸州) · 89 소주(蘇州) · 90
복주(復州) · 91 숙주(肅州) · 91 안주(安州) · 92
영주 솔주 하주 원주 발해주(榮州 率州 荷州 源州 渤海州) · 92
영강주(.江州) · 93 하주(河州) · 94 상주(祥州) · 94
요영위 아연여진(遼營衛 阿延女.) · 95 이덕여진(伊德女.) · 95
오국부(五國部) · 96

권12(卷十二)
강역5(彊域 五)
금상경(金上京) · 101 회령부(.寧府) · 114 조주(肇州) · 117
융주(隆州) · 119 신주(信州) · 121 부여로(夫餘路) · 122
해란로(海蘭路) · 124 솔빈로(率.路) · 127 합사한로(哈斯罕路) · 130
호이합로(呼爾哈路) · 131 오이고덕렬륵통군사(烏爾古..勒統軍司) · 132
함평로 함평부(咸平路 咸平府) · 132 한주(韓州) · 140
금동경 요양부(金東京 遼陽府) · 142 징주(澄州) · 143
심주(瀋州) · 144 귀덕주(貴.州) · 144 개주(蓋州) · 145
복주(復州) · 145 내원주(來.州) · 146 박색부(博索府) · 146

권13(卷十三)
강역6(彊域 六)
원심양로(元瀋陽路) · 153 개원로(開元路) · 154 함평부(咸平府) · 156
해란부 석달륵달등로(海蘭府 碩達勒達等路) · 157 조주(肇州) · 159
박색부(博索府) · 161 부 명위소성참고(附 明衛所城站考) · 163

권14(卷十四)
산천1(山川 一)
계운산(.運山) · 168 천주산(天柱山) · 169 융업산(隆業山) · 170
장백산(長白山) · 170 청령(.嶺) · 186 마기령(瑪.嶺) · 187
이륵호령(伊勒呼嶺) · 189 장령(長嶺) · 190 동모산(東牟山) · 191
휘산(輝山) · 191 백평산(白平山) · 192
요산 호호마산(遼山 瑚呼瑪山) · 192 고감산(庫堪山) · 193
과라산(果.山) · 193 마안산(馬鞍山) · 194 냉산(冷山) · 194
덕림석(.林石) · 195 용수산(龍首山) · 196 사산(蛇山) · 196
조필산(..山) · 196 의무려산(醫巫閭山) · 196 천산(千山) · 199
13산(十三山) · 199 수산(首山) · 200 명왕산(明王山) · 202
화표산(華表山) · 203 웅악산(熊岳山) · 204 금산(金山) · 204
질려산(.藜山) · 205 용봉산(龍.山) · 205 봉황산(.凰山) · 206
갈합령(.哈嶺) · 206 태란강(太蘭岡) · 206 길림애(吉林崖) · 206
고렬산(古.山) · 206 호이기산(扈爾.山) · 206 의한산(宜罕山) · 206
이마호산강(伊瑪.山岡) · 206 살이호산(薩爾滸山) · 206 철배산(鐵背山) · 224
석흠산(碩欽山) · 224 상간애(.間崖) · 224 배분산(斐芬山) · 224
아포달리강(阿布達.岡) · 224 고랍고애(固拉庫崖) · 224
청태욕(.苔.) · 225 황골도(.骨島) · 225 견마령(牽馬嶺) · 225
각화도(覺華島) · 225 흥안령(興安嶺) · 225 피도(皮島) · 225
여옹산(.翁山) · 225 송산(松山) · 226 탑산(塔山) · 227
계운산(.運山) · 168 천주산(天柱山) · 169 융업산(隆業山) · 170
장백산(長白山) · 170 청령(.嶺) · 186 마기령(瑪.嶺) · 187
이륵호령(伊勒呼嶺) · 189 장령(長嶺) · 190 동모산(東牟山) · 191
휘산(輝山) · 191 백평산(白平山) · 192
요산 호호마산(遼山 瑚呼瑪山) · 192 고감산(庫堪山) · 193
과라산(果.山) · 193 마안산(馬鞍山) · 194 냉산(冷山) · 194
덕림석(.林石) · 195 용수산(龍首山) · 196 사산(蛇山) · 196
조필산(..山) · 196 의무려산(醫巫閭山) · 196 천산(千山) · 199
13산(十三山) · 199 수산(首山) · 200 명왕산(明王山) · 202
화표산(華表山) · 203 웅악산(熊岳山) · 204 금산(金山) · 204
질려산(.藜山) · 205 용봉산(龍.山) · 205 봉황산(.凰山) · 206
갈합령(.哈嶺) · 206 태란강(太蘭岡) · 206 길림애(吉林崖) · 206
고렬산(古.山) · 206 호이기산(扈爾.山) · 206 의한산(宜罕山) · 206
이마호산강(伊瑪.山岡) · 206 살이호산(薩爾滸山) · 206 철배산(鐵背山) · 224
석흠산(碩欽山) · 224 상간애(.間崖) · 224 배분산(斐芬山) · 224
아포달리강(阿布達.岡) · 224 고랍고애(固拉庫崖) · 224
청태욕(.苔.) · 225 황골도(.骨島) · 225 견마령(牽馬嶺) · 225
각화도(覺華島) · 225 흥안령(興安嶺) · 225 피도(皮島) · 225
여옹산(.翁山) · 225 송산(松山) · 226 탑산(塔山) · 227

권15(卷十五)
산천2(山川 二)
혼동강(混同江) · 243 압록강(鴨.江) · 247 애호하(愛呼河) · 250
도문강(圖們江) · 251 동가강(.佳江) · 251 요하(遼河) · 252
혼하 심수(渾河 瀋水) · 257 태자하(太子河) · 260 사하(沙河) · 261
대청하(大.河) · 262 시하(柴河) · 262 범하(范河) · 263
휘발하(輝發河) · 263 이둔하(伊屯河) · 264 이이문하(伊爾們河) · 265
소릉하(小凌河) · 265 대릉하(大凌河) · 266 양장하(羊腸河) · 267
주자하(珠子河) · 267 솔빈수 찰란수(率賓水 .蘭水) · 268
해란수(海蘭水) · 270 납림하(拉林河) · 272
아륵초객하 해고륵수(阿勒楚喀河 海古勒水) · 273 호이합하(呼爾哈河) · 275
혼춘하(琿春河) · 277 눈강(嫩江) · 277 도이하(滔爾河) · 279
흑룡강(黑龍江) · 280 둔하(屯河) · 282 합륵혼하(哈勒琿河) · 283
오루하(.婁河) · 284 한우박(.芋泊) · 285

부재(附載)
약수(弱水) · 286 엄사수(掩.水) · 286 우기니대수(于己尼大水) · 287
발착수(勃錯水) · 287 포호강(布呼江) · 288 석형수(錫馨水) · 288
악민수 특극신특포수 사음수(鄂敏水 特克新特布水 舍音水) · 288
목릉수(穆稜水) · 289 야작수 파랍밀특수(野鵲水 巴拉.特水) · 290
철극의수(哲克依水) · 290 쇄수(刷水) · 291
포극탄수 마다도수 사혼수 특극수(布克坦水 摩多圖水 舍琿水 特克水) · 291
구위수 도탑수 배격하(矩威水 圖塔水 拜格河) · 292
납림하 매혁하 음달혼하(納琳河 梅赫河 音達琿河) · 293
아복살수(阿卜薩水) · 294 옥릉락 서길락(沃稜. 舒吉.) · 294
포이갈수(布爾.水) · 295 화석하(和碩河) · 295 박륵화하(博勒和河) · 295
이소하(伊蘇河) · 295 소소해수(蘇素海水) · 296
납이혼하 오릉고하(納爾琿河 烏楞古河) · 296 밀제현하(.齊顯河) · 296
옥혁하(沃赫河) · 296 오제혁수(烏濟赫水) · 297 실하고하(實霞庫河) · 297
납이혼하(納爾琿河) · 297 합사하(哈沙河) · 298 호이호하(烏爾呼河) · 298
오로사합주수(烏魯斯哈珠水) · 298 해륜하(海倫河) · 298
덕리필라(.里必喇) · 299 실랄수(實.水) · 299 도로고수(圖.庫水) · 299
백기도하(伯奇圖河) · 300 화림하(和琳河) · 300 성묵수(成.水) · 300
박라수(博.水) · 300 색진수(色辰水) · 301 박다화하(博多和河) · 301
필륵합수(必勒哈水) · 301 주복기수(珠卜奇水) · 302 화륜수(和倫水) · 302
남도혼하(南圖琿河) · 302 영가하(寧嘉河) · 302 음덕이수(音.爾水) · 303
섭혁수(葉赫水) · 303 산심수(珊沁水) · 303
아리마하 색환하 특통액수(阿里瑪河 索歡河 特通額水) · 303
이륵호수(伊勒呼水) · 304 고특호하(庫特呼河) · 304 아합하(雅哈河) · 304
악이화수(鄂爾和水) · 305 위태필라(威泰必喇) · 305 악도하(.都河) · 306
덕리천(.里川) · 306 필이한수(必爾罕水) · 306
이마하 약라하(伊瑪河 約羅河) · 307 사강(斜江) · 307
온도하(.圖河) · 308 합라하(哈喇河) · 308 조오하(繰烏河) · 308

권16(卷十六)
국속1(國俗 一)
만주(滿洲) · 312 기사(騎射) · 315 관복(冠服) · 347

권17(卷十七)
국속2(國俗 二)
정교(政.) · 357

권18(卷十八)
국속3(國俗 三)
제사(祭祀) · 377 제천(祭天) · 378 사신(祀神) · 384
잡례(雜禮) · 387 관제(官制) · 396 어언(語言) · 427

권19(卷十九)
국속4(國俗 四)
물산(物産) · 447

권20(卷二十)
국속5(國俗 五)
잡철(雜綴) · 473

찾아보기

저자소개

남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예천 출생(1958년)으로 경동고등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중국어 전공, 문학사)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에감사행정학을 전공(정책학 석사)하였다. 1988년부터 감사원에 지방자치단체 감사를 담당하는 감사원 제3국, 공기업을 담당하는 제2국, 국가주요 전략사업에 대한 감사를 담당하는 전략감사본부, 국가 주요 건설사업과 항만물류에 대한 감사를 담당하는 건설물류감사국에서 감사실무자로서 많은 감사업무를 수행하였고, 2009년에는 심의실 심사담당관으로서 일반국민들이 제출하는 심사청구사항을 처리하였다. 2010년 3월 현재는 공직감찰업무를 담당하는 특별조사국 과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평소 우리나라 및 중국의 역사와 한학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서적을 폭넓게 탐독하였으며, 인터넷 역사 동호회 “우리역사의 비밀”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2007년 7월부터 ..흠정만주원류고..를 한글로 번역하여 최초로 동호회 사이트에 연재하여 왔다.
펼치기
이병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이학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료, University of Hawaii(Manoa) 대학원(석사, 박사), 영남대학교 사학과 교수, Portland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Montana 초빙교수(한국사, 중국근대사), 중국현대사연구회 회장, 중국사학회 회장 등을 지냄. 2010년 현재 중국사학회 명예 회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