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북방 국경의 흐름

한국 북방 국경의 흐름

허우범, 남주성, 임찬경, 길이숙, 신민식, 남의현, 최규흥, 정택선 (지은이)
대한사랑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북방 국경의 흐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북방 국경의 흐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749451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2-01-11

책 소개

우리의 고대사 영토는 중국과 일본이 왜곡한, 한반도 내라는 역사 강역 개념에서 아직 독립하지 못하고 있다. 통일신라, 고려, 조선까지 우리의 역사 강토는 한반도 이내라고 배웠다. 그러나 이런 고정관념을 깨는 자료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목차

서문...............................................................................4
한국 북방 국경의 흐름 / 복기대................................................ 9
1. 들어가는 말................................................................ 10
2. 국경의 시대별 이해...................................................... 12
3. 맺음말....................................................................... 24

위만조선(衛滿朝鮮) 시기의 창해군(滄海郡)과 무제대(武帝臺) 위치 연구 / 임찬경 .... 27
Ⅰ. 서론......................................................................... 28
Ⅱ. 창해군의 위치 ........................................................... 30
Ⅲ. 무제대의 위치 ........................................................... 46
Ⅳ. 창해군과 무제대를 통한 위만조선의 지정학적 위치 검토 ... 50
Ⅴ. 결론 ........................................................................ 58

모본왕의 『三國史記』 요서(遼西) 정벌 기사를 중심으로 본 고구려 초기의 정복활동 / 길이숙 .......................... 67
Ⅰ. 머리말...................................................................... 68
Ⅱ. 연구사 검토 .............................................................. 71
Ⅲ. 『三國史記』 기사를 중심으로 본 모본왕의 요서(遼西) 정벌..77
Ⅳ. 맺음말.................................................................... 130

압록수와 평양의 위치 재 비정에 따른 살수 위치 검토 / 신민식... 137
Ⅰ. 머리말 ................................................................... 138
Ⅱ. 선행 연구 ............................................................... 140
Ⅲ. 살수대첩의 ‘박대천설’과 ‘청천강설’ 의문점................... 145
Ⅳ. 압록수와 평양의 위치에 따른 살수 위치 검토................. 156
Ⅳ. 맺음말 ................................................................... 177

고구려 7차 遷都와 도읍지 연구 / 남의현................................ 183
Ⅰ. 서론....................................................................... 184
Ⅱ. 일반 역사서에 기록된 丸都城 서술의 문제점.................. 192
Ⅲ. 우리나라 사료에 기록된 丸都城................................... 203
Ⅳ. 중국 사료에 기록된 丸都城......................................... 209
Ⅴ. 『新唐書』 지리지의 綠淥江과 丸都城.............................. 213
Ⅵ. 결론....................................................................... 229

윤관 9성의 위치에 대한 연구 / 남주성................................... 233
Ⅰ. 머리말.................................................................... 234
Ⅱ. 두만강 이남설의 문제점............................................. 235
Ⅲ. 9성의 위치 재검토.................................................... 239
Ⅵ. 9성의 위치 비정....................................................... 250
Ⅴ. 맺음말.................................................................... 258

고려 서경 위치 고찰 / 허우범............................................... 267
Ⅰ. 머리말.................................................................... 268
Ⅱ. 고구려 평양과 고려 서경 연구 검토.............................. 270
Ⅲ. 고려 서경의 ‘평양’ 및 ‘요양’ 비정의 문제점.................... 283
Ⅳ. 고려 서경 위치 비정.................................................. 291
Ⅴ. 맺음말.................................................................... 298

세종대왕의 육진과 일제가 인위적으로 정해놓은 육진 / 최규흥... 303
Ⅰ. 서론....................................................................... 304
II. 무산부 고지도의 위상적 분석 ..................................... 333
III. 조선조 백두산과 장백산 위치 탐구.............................. 348
IV. 동해바다 섬들의 명칭과 두만강.................................. 359

위상수학을 활용한 세종대왕의 회령부 고지도 분석 / 정택선...... 367
Ⅰ. 서론....................................................................... 368
II. 회령부 고지도의 위상적 분석 ..................................... 394

저자소개

신민식 (감수)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박사학위 취득 인하대 융합고고학 박사과정 저서 『수험생 동의보감』 『공부가 쉬워지고 일이 즐거워지는 두뇌혁명』 『내몸을 살리는 해독』
펼치기
최규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학과 이학박사 인하대학교 수학과 & 수학교육과 교수 인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장 인하대학교 수학과 BK21 사업팀장 코넷티갓드대학교 수학과 객원교수 서울대학교 대역해석학연구센터 연구원 대한수학회 부회장 국제수치해석, 컴퓨터, 계산학 학술회의 공동위원장 한국수학논문집 편집위원장 대학입학 수학능력고사 수리영역 출제위원장 International Colloquium. on Differential Equations, Colloquium Prize 대한수학회 교육상 현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명예교수
펼치기
남의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사학과에서 동양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동양 근세사를 전공하고 있다. 현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명대 요동지배정책 연구》, 《압록과 고려의 북계》,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등이 있다. 중국 중심의 왜곡된 역사 서술과 역사관을 변화시키는 만주사, 한중관계 사 관련 논문과 저서를 집필했다.
펼치기
허우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 인하대학교 교수. 문사철을 현장과 접목하는 융합적인 연구를 중시한다. 20여 년에 걸쳐 중국 전역의 「삼국지」 현장을 답사하여 발간한 『삼국지기행』은 역사와 문학을 현장과 융합한 저자의 대표작으로, 동아시아 최초의 연구 실적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동서 문명 교류사의 핵심인 실크로드에도 천착하여 서안에서 로마까지의 2개의 육로를 답사하였고 현재는 팬데믹으로 중단되었던 바닷길을 답사하고 있다. 이 밖에 역사 지리 연구 방법론을 통한 강역과 국경사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삼국지 기행』, 『술술 삼국지』, 『위화도의 비밀』, 『실크로드 기행』, 『여말선초의 서북 국경과 위화도』, 『홍진-우리가 기억해야 할 독립운동가』, 『황해 로드』 등이 있다.
펼치기
남주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예천 출생(1958년)으로 경동고등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중국어 전공, 문학사)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에감사행정학을 전공(정책학 석사)하였다. 1988년부터 감사원에 지방자치단체 감사를 담당하는 감사원 제3국, 공기업을 담당하는 제2국, 국가주요 전략사업에 대한 감사를 담당하는 전략감사본부, 국가 주요 건설사업과 항만물류에 대한 감사를 담당하는 건설물류감사국에서 감사실무자로서 많은 감사업무를 수행하였고, 2009년에는 심의실 심사담당관으로서 일반국민들이 제출하는 심사청구사항을 처리하였다. 2010년 3월 현재는 공직감찰업무를 담당하는 특별조사국 과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평소 우리나라 및 중국의 역사와 한학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서적을 폭넓게 탐독하였으며, 인터넷 역사 동호회 “우리역사의 비밀”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2007년 7월부터 ..흠정만주원류고..를 한글로 번역하여 최초로 동호회 사이트에 연재하여 왔다.
펼치기
임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연구교수, 국학연구소 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1990년 대에 중국에 유학하여 고구려 연구로 역사학석사 및 역사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구려는 물론 우리 민족사와 깊은 관련이 있는 흉노·선비·오환·거란·발해·여진 등과 관련한 북방민족의 기원과 발전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이들 지역에 대한 문헌수집과 현지답사로 연구활동을 진행해왔다. 최근 우리사회의 오래고 뿌리 깊은 역사왜곡 즉 ‘역적(역사적폐)’ 청산 작업을 준비 및 시도하고 있다. ■ 주요 연구 논문 · 「중국 東北史의 肅愼 認識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0) · 「女神像을 통한 紅山文化 건설 主體 批正」(2011) · 「延邊長城의 現況과 性格」(2012), 「대종교 성지 청파호 연구」(2013) · 「이병도 한사군 인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4) · 「『고려도경』·『삼국사기』의 고구려 건국 연대와 첫 도읍 졸본」(2015) · 「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2016) · 「고려시대 한사군 인식에 대한 검토」(2016) · 「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2017) · 「『수경주』를 통한 고구려 평양의 위치 검토」(2017) · 「독립운동가의 고대사 인식 : 그 계승을 통한 한국 역사학계 적폐청산 과제와 방법」(2018) · 「조선 즉 위만조선과 창해군의 위치에 관한 연구」(2018) ·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2019) · 「고구려 평양 위치 왜곡과 그 극복 방안」(2019) 등 ■ 저서 및 역서 · 『중국 원주촌 연구』(2007, 공저) · 『중국 원주촌 자료집』(2007, 공저) · 『중국의 고구려 학자와 연구 종합서술』(2007, 공역) ·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2017, 공저) 등
펼치기
정택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학과 이학박사 군산대학교 수학과 학과장 한국수학논문집 편집위원 코넷티갓드대학교 수학과 객원연구원 퍼듀대학교 객원교수 현 군산대학교 수학과 교수 저서 : 『만주에 평양성을 가진 대제국 고려』(공저) 『위상변분법을 활용한 비선형파동방정식연구』(공저)
펼치기
길이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통합과정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