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95897041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08-08-28
책 소개
목차
1장 초강대국에 오른 아메리카 1950-1960
전후 미국 미술계의 도약
추상표현주의-뉴욕 아방가르드 [액션페인팅] [뉴욕학파의 조각] [색채추상]
전위미술과 냉전의 정치학
2세대 뉴욕학파 그리고 후예들
기업 주도의 현대건축 | 신식 가정의 풍경-현대화된 개인 생활 | 여명기의 할리우드 | 냉전 매카시즘과 예술 검열 | 새로운 기념비적 건축 | 1950년대 전환기의 미국 연극
2장 아메리칸드림의 이면 1950-1960
진리 수호자와 반역천사들 [비트 문화] [앗상블라주.콜라주.정크조각] [미국을 보는 새로운 렌즈]
미술의 삶, 삶의 미술 [라우셴버그.케이지.존스.커닝햄] [환경’ 미술.해프닝] [플럭서스]
로큰롤 열기와 녹음 기술의 발전 | ‘쿨. 재즈의 탄생 | 비트 세대의 탄생과 질주 | 사실주의 소설의 등장 | 뉴 아메리칸 시네마 | 현대무용-우연과 즉흥성
3장 뉴 프론티어와 대중문화 1960-1967
팝문화의 지배
미니멀리즘-질서의 탐색
1964년 뉴욕 만국박람회 | 워홀의 팩토리-예술과 이미지 생산 공장 | 언더그라운드 영화 1960-1968 | ‘공간에서 환경으로’ 새로운 건축 비평 | ‘무언의 소리’로 살아남은 순수음악 | 저드슨 무용극단-포스트모던 무용의 탄생 | 구조영화 1966-1974
4장 기로에 선 미국 1964-1976
규범의 붕괴, 예술의 혁명 [별난 추상] [포스트미니멀리즘과 반형식] [어스워크] [개념미술]
다원주의-대안의 지배 [페미니즘] [패턴과 장식미술] [퍼포먼스.바디아트.비디오] [대안공간.대안미술]
베트남전과 브로드웨이 연극 | 할리우드의 가치 혼란과 분열 | 팝의 예찬-록뮤직의 지배 | 신소설-선형적 내러티브의 와해 | 새로운 논픽션 소설의 등장 | 도시로 돌아온 공공미술 | 뉴욕 ‘식스’와 캘리포니아 ‘원’ | 1970년대 전위연극의 풍경 | 할리우드의 판도를 바꾼 영화악동 | 페미니스트 문학 | 포스트모던 무용의 진화 | 주류 안팎의 퍼포먼스 예술 | 비디오아트, 영화 그리고 설치 1965-1977
5장 복원과 반응 미국 1976-1990
미술과 사진 그리고 중간계 [사진의 신지형도] [사진과 포스트모더니즘]
거리문화와 미술 공동체 [뉴라이트와 시장의 힘] [과거 예술의 창조적 귀환] [미술시장의 팽창]
표현의 자유와 문화 전쟁
오피스 파크-노동과 휴식의 결합 | 포스트모던 건축-대중주의와 권력 | 포스트구조주의의 비평적 유산 | 노웨이브 시네마 | 펑크와 펑크-무언의 외침 | 인디영화의 부상 | 뉴 할리우드-위험한 도박 사업 | 에이즈-미술의 연대, 연대의 미술
6장 뉴 밀레니엄을 향한 도전 1990-2000
아메리카니즘-미국 문화의 세계화 | 건축의 신 아방가르드 | 협동ㆍ스펙터클ㆍ정치학-포스트모던 무용 | 메갈로폴리스와 디지털 도메인 | 힙합의 탄생과 지배 | 예술 영화와 상업 영화의 줄타기 | 비디오아트와 설치
책속에서
진보적 미술을 위한 하나의 매체로서 언어의 출현은, 예를 들어 코저스, 로렌스 위너, 더글러스 휘블러 같은 미술가의 작품에서 볼 수 있듯, 후기 모더니즘과 형식주의적 방법론에 대한 과격한 공격이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미술, 철학, 이론, 비평 사이에 더욱 밀접한 관계를 허용했다. 비평은 형식주의자들과 반형식주의자들의 간극이 더욱 벌어지면서 점점 더 중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새로운 미학적 언어들이 서로 뜨겁게 경쟁했다. 이론은 모더니즘의 헤게모니에 대한 반대가 거세지면서 강력한 힘으로 부상했다. 이 시기 강한 비평적 목소리가 여럿 들려왔는데 루시 리파드, 로잘린드 크라우스, 아네트 미켈슨, 막스 코즐로프 등이 여기 포함된다. 작가 자신들도 새로운 미술을 조리 있게 설명하는 대변인들이었고, 그중 다수가 <아트포럼> 같은 잡지에 논쟁적 성격이 강한 글을 실었다. <아트포럼>은 1967년 로스앤젤레스에서 뉴욕으로 기반을 옮긴 뒤 필립 라이더와 존 코플런스 등 편집책임자들의 지휘 아래 미술 분야의 가장 중요한 이념의 전장으로서 입지를 다졌다(이런 태도는 적어도 10년간 지속되었다). (301쪽, '1964~1976 기로에 선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