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95968505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07-05-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좌충우돌 한국정치
1장 개발독재와 시장주의를 넘어
1.한국경제의 대안적 모델을 찾아서
2.새로운 한국경제모델을 위한 제3의 길 - 정승일 박사에게 길을 묻다
3.대화 요약
4.스웨덴식 복지국가를 향하여
2장 민주화의 새로운 지평을 향해
1.한국 민주주의 20년 역사, 그 성과와 한계
2.한국 민주화의 역사와 미래 - 김영명 교수에게 길을 묻다
3.대화 요약
4.희망의 언어로서의 '민주주의'를 향해
3장 다시 성찰해야 할 민족문제
1.한국 민족주의의 빛과 그림자
2.한국 민족주의와 분단시대의 극복 - 도진순 교수에게 길을 묻다
3.대화 요약
4.'진보적 민족주의'의 재구성을 위하여
4장 변화하는 국제관계와 한국의 약진
1.21세기 한반도의 운명은 어디로?
2.탈냉전 이후 국제질서와 한국의 외교안보전략 - 최연구 박사에게 길을 묻다
3.대화 요약
4.동북아의 '평화교량자'로 가는 길
마치며: 다시 배운 한국정치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경제의 희망은 결국 복지국가에서 찾을 수 밖에 없다. 복지국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가 적극적으로 노동시장과 복지부문에 개입해야 한다. 금융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재벌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등 국가가 갖고 있는 정책적 수단을 사용하여 시장의 실패를 치유해 나가야 한다.-p77 중에서
아직 냉전이 해체되지 않은 동북가 국제질서에서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 국가들과의 미래지향적인 동반자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한, 미 동맹은 보다 더 수평적이고 호혜적인 관계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 중국과 일본에 대해서는 역사인식을 둘러싼 갈등을 해소하고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구축과 경제교류 활성화를 노력해야 한다.-p27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