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9603457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9-03-2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지금 당장 장기투자에서 탈출하라
1장 적립식 투자의 위험한 진실
1. 적립식 투자, 지금은 현명한 판단이 아니다
2. U자 곡선과 역U자 곡선
3. 평균매입단가를 알면 돈이 보인다
4. 상승장과 하락장에서의 평균매입단가를 파악하라
5. U자 곡선 이후의 투자 판단이 관건이다
* 평균매입단가 정리
* 펀드의 기준가격과 인덱스펀드
* 변액보험과 적립식 펀드
2장 평균매입단가, 제대로 알기
1. 모의분석을 위한 사전 준비
2. 비싸고 적게 사야 좋다
3. 짧은 U자 곡선
4. 조금 긴 U자 곡선
5. 긴 U자 곡선
6. 아주 긴 U자 곡선
7. 주가상승을 기다리느니 차라리 환매하라
8. 기다려도 일본처럼 주가가 오르지 않는다면 큰일
3장 진짜 싸게 많이 사는 비법
1. 환매 후 재투자가 안전하고 수익률도 좋다
2. 짧은 조정장에서의 환매 후 재투자
3. 조금 긴 U자 곡선 구간에서의 환매 후 재투자
4. 외환위기 전후에서의 환매 후 재투자
5. 대공황 시기에서의 환매 후 재투자
6. 단순 적립식 투자와 환매 후 재투자, 어느 쪽이 이익일까?
4장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장기투자
1. 장기적으로 주가는 틀림없이 오른다?
2. 미국 주식시장이 장기상승한 데는 이유가 있다
3. 일본 주식시장이 장기하락한 원인은 따로 있다
4. 지난 10년간 미국 장기투자는 마이너스
5. 2010년대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은 상승하기 어렵다
6. 2010년대 한국 주식시장은 내리막길이다
5장 집값 하락이 주가를 끌어내린다
1. 40대와 부동산이 주식시장을 흔든다
2. 가구 수가 늘어도 집값은 떨어진다
3. 늘어나는 가구 수도 1인 가구뿐
6장 희망과 대안을 찾아서
1. 세계경제 회복 이전
2. 세계경제 회복 이후
3. 더 이상 국내주식만을 고집하지 마라
4. 투자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5. 투자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금’이다
7장 그렇다면 지금은 어떻게 할 것인가?
1. 기다리며 참는 자에게는 복이 없다
2. 환매에도 타이밍이 있다
맺음말 - 현실을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 성공투자의 비결이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에어백만을 믿고 자동차로 비탈길을 질주하는 것
많은 적립식 펀드 투자자들이 2008년 내내 주가가 크게 폭락했는데도 불구하고 싸게 많이 사서 평균매입단가를 낮추겠다거나 손실이 크지 않아 견딜 만하니 주가가 오를 때까지 기다려 보겠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거치식으로 펀드에 투자한 이들 중에도 주가가 언젠가 오를 것으로 믿고 기다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특히 적립식 펀드 투자자들 중에는 손실률이 크지 않기 때문에 주식시장 회복을 믿고 장기투자를 결심하는 분이 많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이런 결심을 하게 된 것은, 그동안 금융기관들이 투자자들에게 주입시켜온 주식시장의 장기상승과 평균매입단가 효과에 대한 믿음 때문입니다.
많은 적립식 펀드 투자자들은 이 두 가지 믿음을 갖고 있어서 불안한 마음에도 불구하고 주식형 적립식 펀드에 장기투자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믿음을 갖고 적립식 펀드 투자를 계속하기로 했는데, 만일 첫 번째 장기투자의 믿음이 잘못된 것이라면 지금의 ‘고난의 행군’은 승리를 향한 것이 아니라 ‘죽음을 향한 행군’이 되고 말 것입니다. 두 번째 평균매입단가에 대한 믿음으로 1년이 넘게 계속되는 폭락장에서도 월부금을 계속 불입하는 것은 마치 에어백만을 믿고 자동차로 비탈길을 질주하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주가가 오른다면’이라는 말에 숨은 비밀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에는 ‘장기적으로 주가는 틀림없이 상승한다’는 인식이 자리잡았고, 이 인식에 근거해 적립식 투자는 언제든 OK라는 논리가 지배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단기적으로 주가가 떨어진다고 해도 이때는 오히려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며, 이때 주식을 많이 사두면 장기적으로 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단순하고도 명쾌한 논리였던 것입니다. 맞습니다. 틀림없이 ‘장기적으로 주가가 오른다면’ 예측하기 어려운 주가의 단기 변동에 휘둘리지 않는 장기투자가 올바른 투자자세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짚어봐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장기적으로 주가가 오른다면’이라는 말인데, 이 말은 적립식 투자 역시 주가가 오를 때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바꿔 말하면 적립식 투자도 거치식 투자와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이 대세 상승기일 때 하는 것이지 대세 하락일 때 하는 건 아니라는 뜻입니다.
주식시장이 대세 상승기의 강세장일 때 단기적인 주기 하락에 휘둘리지 않고 적립적으로 투자를 하면 다시 주가가 올랐을 때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적립식 투자의 원리이지 대세 하락기에도 무조건 투자를 한다고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따라서 적립식 투자가 언제든 OK일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