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96042570
· 쪽수 : 239쪽
· 출판일 : 2008-09-30
책 소개
목차
서문 l Prologue
Part1. 대한민국 변화의 중심은 디자인이다
01 Design or resign!
02 지식기반 시대의 경제와 디자인
03 정치! 디자인을 이야기 하다.
04 상상력을 바탕으로 고정관념을 탈피한다.
05 공공디자인과 창조경영의 모델
06 21세기 한국 디자인의 미래
Part2. 디자인 상상과 성공신화의 창조
01 디자인 상상력으로 고정관념을 탈피해야 한다.
02 아이디어산업이 경제를 좌우한다.
03 인간을 위한 디자인과 바우하우스 정신
04 마케팅 디자인과 기업의 디자인 우선전략
05 세계적인 글로벌 Top Design의 성공신화
Part3. 세계는 지금 디자인 창조의 시대
01 Design Korea! 대한민국을 디자인하라!
02 디자인 명품이 곧 일등상품이다.
03 디자인 영역의 확대-서비스 디자인
04 국민기업 LG와 삼성의 디자인
05 Good design is Good business
06 이제는 누구나 디자이너가 되어야 한다.
Part4. 디자인 코리아의 비전과 과제
01 디자인을 통해 부르는 한국경제의 희망가
02 웰빙 디자인이 한국기업을 살린다.
03 디자인이 우리의 삶을 디자인 한다.
04 문화산업은 경쟁력과 사회 통합의 뿌리를 내린다.
05 명품 대한민국에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06 창조적인 디자인산업에 투자하자.
나가는 글 l Epilogue
저자소개
책속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선택받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엇비슷한 수준의 품질과 가격으로 경쟁할 수 없다. 소비자들의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디자인 요소가 있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애플의 매킨토시 컴퓨터와 MP3 플레이어 아이팟, BMW MINI 등은 디자인의 힘을 빌려 세계적으로 히트한 상품이다. 독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을 개발하지 않으면 치열한 글로벌 경제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이는 기업의 제품뿐만이 아니라 국가나 도시의 브랜드까지 포함된다.
세계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상품을 만들고 부(富)의 확대를 가져오는 창조적인 산업이 무엇인지 찾아내고 국가의 프리미엄도 만들어 가야한다. 우수한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자인에 투자해야 한다. 어느 날 갑자기 세계적인 상품이나 국가 브랜드가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선진국 사례에서 보면 일찍이 디자인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영국은 디자인산업을 육성했다. 그 결과 현재는 창조산업으로 총 부가가치 생산의 10%, 수출의 9%를 차지하며 고성장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EU는 디자인?브랜드?기술과 환경을 접목한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이웃 일본은 기업들이 디자인 중심 조직 재편으로 불황탈출과 시장점유율 향상을 시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은 자원 투입 대비 그 효과는 기술개발에 비해 4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산업 활성화 인프라 구축은 미흡하고 투자는 전체 국가기술개발 투자의 1/400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경쟁력 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자인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과거 형태 디자인에서 벗어나 기업 경영뿐 아니라 정치, 행정 분야의 무형 서비스 영역까지 디자인 개념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머리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