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6121374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3-12-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책머리에
김성곤 | 문화대사, 문화통역, 문화가교를 지향한 나의 학문과 삶
I. 정년퇴임 후 맺은 세 가지 학문적 결실
II. 내 학문적 여정의 시작
1. 부친에게서 배운 통역/번역의 중요성
2. 영문학을 전공하게 된 이유
3.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만난 내 학문적 안내 성좌 레슬리 피들러
4.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만난 내 학문적 안내 성좌 에드워드 사이드
5. 미국에서 만난 포스트모던 시대의 작가들
III. 서울대학교에서의 내 학문과 삶
1.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의 시작과 확산, 그리고 결실
2. 영화 속 문화읽기: 문학연구에서 문화연구(Cultural Studies)로
3. 서울대학교 본부 보직과 내 전공분야
IV. 서울대학교를 넘어서 전공분야의 확장
1. 출판인, 작가, 언론 칼럼을 통한 내 전공분야의 확대
2. 전공 분야 학회 회장
3. 문예지 편집위원: 『외국문학』, 『21세기문학』, 『문학사상』
V. 수상 및 학문과 삶의 확장
1. 문학상/학술상 수상과 ‘명예의 전당’
2. 서울 국제문학 포럼/ 국제학술대회 조직 및 운영
3. 해외 대학에서 넓힌 내 학문과 삶
4. ‘한국 문학번역원’: 내 학문과 삶의 연장
VI. 나의 멘토
1. 내 학문과 삶을 이끌어 준 멘토: 서울대 이상옥 교수
2. 내 학문과 삶을 이끌어 준 멘토: 고려대 김우창 교수
3. 내 학문과 삶을 이끌어 준 멘토: 이화여대 고(故) 이어령 교수
4. 내 학문과 삶을 이끌어 준 멘토: 고(故) 채동배(Don Chae) 텍사스 판사
5. The Korea Herald 칼럼니스트: 동서양을 연결하는 문화대사/문화통역/문화가교의 역할
VII. 포스트모더니스트의 회의와 모더니스트로의 회귀
VIII. 내가 걸어온 길: ‘자유로운 영혼’과 ‘정신적 방랑’
IX. 서울대학교: 나의 학문과 삶의 영원한 고향
최덕근 | 삼엽충이 알려 준 한반도 땅의 역사
I. 머리말
II. 성장과정
1. 어린 시절
2. 대학 시절
3. 대학원 시절
4. 미국 유학 시절
III. 지질학자로의 활동
1. 한국동력자원연구소에서 연구 시작
2. 서울대학교에 부임
3. 삼엽충을 만나다
4. 영월은 삼엽충 화석의 보고
5. 삼엽충 연구를 도와준 사람들
6. 연구 영역의 확대
7. 새로운 강좌 개발
8. 5억 년 전, 태백산분지는 얕은 바다였다
9. 캄브리아기에 태백산분지와 히말라야 산맥이 연결?
10. 7억 년 전, 눈덩이지구 빙하시대
11. 태백산분지의 역사를 편찬하다
IV. 대중을 위한 강연과 교양서적 출간
V. 맺음말
이돈구 | 나의 학문, 산림과학 그리고 나의 삶, 나의 희망
I. 나의 학문
1. 임학(林學; 산림과학)을 공부하게 된 시작점을 돌이켜 보다
2. 산림과학을 더 깊게 공부하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1969~1971)과 조교 시절(1971. 1.~1973. 5.)
3. 내 산림과학 전공을 세계로 넓혀 배우고 익히다: 미국 대학원 유학 시절(1973. 5. ~ 1979. 5.)
4. 우리나라로 돌아와 산림과학을 연구, 교육하다
5. 산림과학의 연구와 교육을 산림정책에 접목하다
II. 나의 삶, 나의 희망
1. 출생, 배경 및 어린 시절(1946~1952)
2.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1953~1964)
3. 수상과 명예박사 학위
III. 마무리, 숲 운동, 신앙생활 그리고 감사
한무영 | 빗물박사의 삶과 학문
I. 들어가며
II. 나의 삶
1. 학창 시절
2. 직장 시절
3. 학문의 길
4. 가족관계
III. 나의 학문: 기존의 이론을 탈피하는 여정
1. 기존의 벽을 뛰어넘기: 응집의 이론을 깨다
2. 빗물에 대한 편견 깨기 여정
3. 모범사례 만들어 증명하기
4. 빗물관리의 이론 정립
5. 빗물의 동조자를 찾는 여정
6. 공동체단위의 빗물식수화 시설(CBRD: Community-Based Rainwater for Drinking)
7. 사회적 인정을 받기
8. 태극이론에 근거한 미세기포 기술
9. 빗물박사, 똥박사 되다
IV. 빗물박사의 탈피는 현재 진행형
1. 물관리 철학
2. 물과 문화
3. 기후위기의 해법은 빗물관리로부터
4. 물관리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V. 나가며
안윤옥 | 학문역정과 삶을 회고하면서
I. 나의 학문역정(歷程)
1. 19세에 지우학이어라(十九而志于學)
2. 25~33세에 전공분야 목표를 세우다(二十五 三十三而立)
3. 48세에 불혹(不惑)이라
4. 58세에 지천명(知天命) 경지에 이르다
5. 인과성에 대한 과학적 추론, 논증 방법들
6. 역학에서의 인과성 추론/논증 기준들
II. 나의 삶: 진위판단과 가치판단, 그리고 생활양식
1. 삶의 목적과 생활양식
2. 인간 삶의 내용: 판단과 선택
3. 진위(眞僞, authenticity)판단과 가치(價値)판단
4. 필자 나름의 바람직한 삶, 생활양식에 관한 지침을 세우다
III. 의학자 및 전문가로서의 나의 삶
1. 의학자로서의 삶
2. 전문가로서의 사회봉사, 공익(公益)활동
IV. 일상생활에서의 나의 삶
V. 동양경전(經典), 과학연구 결과에서 나오는 바람직한 생활양식,
덕목(德目, , Virtues)
호문혁 | 생즉시학 학즉시생(生卽是學 學卽是生): 점묘(點描)
I. 프롤로그: 무너진 공학도의 꿈, 그리고 방황
II. 법학도의 길
1. 유기천 선생님과 형사모의재판
2. 민사소송법과의 인연
3. 시련 속의 석사과정
4. 지뢰복(地雷復)
III. 법학자의 첫 걸음
1. 서울법대 조교
2. 영남대학교
3. 유학 준비
IV. 독일 유학
1. 만하임
2. 프라이부르크
3. 훔볼트 여행
4. 박사과정
5. 아데나워 세미나
6. 학회 참석
7. 아렌스 선생님
8. 동베를린의 인상
9. 박사논문 집필
V.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1. 영남대학교와의 작별
2. 서울법대 신임 교수
3. 초기의 학술활동
4. 지록위마(指鹿爲馬)
5. 학회활동
6. 제자들
7. 대학신문 주간
8. 법학전문대학원
9. 제주대학교 강의
10. 교수협의회와 서울대 법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