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서양 기괴 명화

동서양 기괴 명화

나카노 미요코 (지은이), 김정복 (옮긴이)
두성북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서양 기괴 명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서양 기괴 명화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9613065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9-10-10

책 소개

나카노식 도상학을 통해 맛보는 재미있는 그림읽기. 그냥 흘낏 보고 말 것은 그림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쏟아진다. '디테일의 신' 나카노 미요코 여사가 이끄는 대로 그림을 들여다보다 보면 ‘풋’ 하고 웃음이 나기도, 모르던 사실을 알게 되기도 한다.

목차

책을 시작하며

뒤섞이는 이형
원숭이 장군 하누만
마왕 라바나
악마와 신들의 줄다리기
새하얀 악마
마르코 폴로와 왕발이
사수자리의 기이한 표적
필사생의 장난
지껄이는 나무
귀여운 바다동물들
구름 타는 신선, 바람 타는 요괴

공간의 유희
하늘을 나는 융단
무굴의 공중정원
마을 모형과 낙원 모형
자로 그린 그림
여백을 가득 메운 인장
꼼꼼하고 빽빽한 그림
상상의 지도
종교화 속 난쟁이
하늘의 우물, 땅의 우물

동물들의 여행
과일을 바치는 원숭이들
원숭이와 이국 취향
영원을 품은 새 그림
서쪽으로 날아간 박쥐
마다가스카르에서 베이징까지
뿔 없는 코뿔소
질주하는 말들

일상의 사건
청나라의 피겨 스케이트
청명절 시가지 산책
다리 위 시장
팔라디오 양식의 리알토 다리
어른의 얼굴을 한 어린아이
북두칠성을 차버리다
영국 의사의 홍콩 스케치
제왕의 행렬
황제의 초상
『서유만기』와 손오공

책을 마치며
옮기고 나서
찾아보기

저자소개

나카노 미요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홋카이도 삿포로시 출생으로 1956년 홋카이도대학 문학부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조수(助手)가 되었다. 1961년 ‘세계 논픽션 전집’의 감수자인 요시카와 고지로(吉川幸次?)에게 지명되어, 예뤼추차이(耶律楚材)의 『서유록』을 번역하면서 요시카와에게 널리 가르침을 받았다. 1965년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 고등학술연구소 조수가 되었다가 1967년 퇴직하고 1968년 홍콩과 타이완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귀국해 1971년 홋카이도대학 문학부 조교수가 되었고, 1981년 교수가 되었으며 1983년 언어문학부 교수가 되었다. 1996년 정년퇴임해 저술활동에 전념했다. 『서유기』 등의 중국문학, 중국문화를 주제로 한 논고와 에세이, 중국이나 아시아 여러 지역을 무대로 한 소설작품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김정복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무로 ·을지로 인쇄출판업계에서 일하면서 문화학교 서울, 한국영상자료원, 각종 대안공간을 드나들며 공상하던 시절이 길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과 예술사 과정과 예술전문사 과정에서 수학하였고, 2006년 아트인컬처 주최 뉴비전미술 평론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번역과 출판기획을 하며, 미술잡지를 중심으로 비평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왕발이는 외다리로 이동하다가 햇살이 뜨거워지면 다리를 거꾸로 세워 그늘을 만들어서 휴식을 취하는 녀석입니다. 기원전 4세기 무렵 그리스 문헌에서 인도 괴물로 언급되었던 것인데, 그것이 중세 유럽인한테까지 흘러들어와 마르코의 여행 이야기와 연결되었습니다.
머리 없는 사람은 그것만으로는 기발하다고 할 정도의 괴물이 아니지만, 동서양 괴물 이야기의 대칭성을 보여주는 전형이라고 생각됩니다. 중국 고대의 공상적 지리서 『산해경』에 ‘형천’이라는 이름으로 묘사된 괴물과 조응되는 괴물입니다. 기원전 그리스인과 중국인이 서로 의견교환이라도 한 것일까요?


일본 수묵화를 포함하여 화가가 그린 작품 공간에 후세의 사람이, 아무리 황제라고 해도 제멋대로 글자를 써넣고 인장을 찍어댈 수 있는 문화란 도대체 무엇인가 생각해보고 싶었습니다. 즉, 유럽 회화에서는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 가령 다빈치의 <모나리자>에 나폴레옹이 “내가 이걸 소유했어”라고 쓰는 그런 일이 아시아 회화에선 아주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작품 공간에 대한 관념의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야무지게 과자를 베어 문 왼쪽 끝 아이의 장난꾸러기 같은 모습도 우스꽝스럽지만, 뭐니뭐니해도 어린아이한테 젖을 물리고 있으면서도 물건을 찬찬히 살피는 어머니의 표정이 압권이지요. 땀 냄새, 젖 냄새를 풍기면서 잠시 머물러 있는 이 여인의 모습은 동서고금의 인물화 중에서 1, 2위를 다투는 걸작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13세기 유럽에 이런 굉장한 풍속화가 있었나요? 알브레히트 뒤러나 피터 브뤼겔보다 300년가량 앞선 그림이라는 사실에 무지무지 감탄할 뿐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