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유기의 비밀

서유기의 비밀

(도와 연단술의 심벌리즘)

나카노 미요코 (지은이), 김성배 (옮긴이)
모노그래프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유기의 비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유기의 비밀 (도와 연단술의 심벌리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비평
· ISBN : 9788998309022
· 쪽수 : 415쪽
· 출판일 : 2014-05-12

책 소개

일본의 『서유기』 전문가이자, 중국도상학 분야의 일인자로 손꼽히는 나카노 미요코의 문예비평서. 지은이는 황당무계하게 보이는 소설 『서유기』가 사실은 세계를 해석하려는 형이상학적 욕구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꾸며낸, 장대한 지적 유희의 텍스트라고 분석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1. 손오공의 탄생과 재생
1-1. 서문을 대신하여
1-2. 아이를 낳는 돌: 손오공의 재생
1-3. 용에서 용왕으로
1-4. 나그네의 종자들: 모모타로에서 『서유기』까지

2. 『서유기』의 오컬티즘
2-1. 오행사상과 『서유기』: 삽입시의 수수께끼
2-2. 납과 수은 이야기(1): 연단술의 비법
2-3. 납과 수은 이야기(2): 숨겨진 포르노그래피
2-4. 손오공과 금과 화: 주인공들에 대한 연단술적 해석
2-5. 성수만다라: 『서유기』 속 숫자의 신비

3. 『서유기』의 사회학
3-1. 별의 화신들: 중국 고대의 밤하늘
3-2. 신들의 위계: 도교와 민간신앙
3-3. 나타태자 이야기: 손오공의 분신
3-4. 요괴가면극: 희곡의 시대와 『서유기』

4. 『서유기』의 해부학 노트
4-1. 오승은과 구처기: 저자를 둘러싼 오해
4-2. 『서유기』의 주변: 그 성립 전후
4-3. 얌전한 제천대성: 해부의 실마리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나카노 미요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홋카이도 삿포로시 출생으로 1956년 홋카이도대학 문학부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조수(助手)가 되었다. 1961년 ‘세계 논픽션 전집’의 감수자인 요시카와 고지로(吉川幸次?)에게 지명되어, 예뤼추차이(耶律楚材)의 『서유록』을 번역하면서 요시카와에게 널리 가르침을 받았다. 1965년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 고등학술연구소 조수가 되었다가 1967년 퇴직하고 1968년 홍콩과 타이완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귀국해 1971년 홋카이도대학 문학부 조교수가 되었고, 1981년 교수가 되었으며 1983년 언어문학부 교수가 되었다. 1996년 정년퇴임해 저술활동에 전념했다. 『서유기』 등의 중국문학, 중국문화를 주제로 한 논고와 에세이, 중국이나 아시아 여러 지역을 무대로 한 소설작품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김성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8년 제주시에서 태어났다. 고려대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국문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번역기획공동체 ‘窓’의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옮긴 책으로 『삼국지강의』(공역), 『자금성의 황혼』, 『사기와 한서』, 『제자백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어판 서문]
한국의 독자 여러분! 원간본 『서유기』는 귀국(貴國)의 어딘가에 잠자고 있을 것입니다. 앞에서 인용한 『박통사언해』 부분에서도 분명하듯이, 여러분의 선조인 고려인들은 “울적할 때 읽기에 딱”인 원간본 『서유기』를 아마 다투어 사서 조국에 가지고 왔을 것입니다. 그로부터 약 700년의 성상을 거치며 산일(散逸)된 것도 적지 않겠죠. 그렇지만 저는 어딘가에 소중하게 보관되어 잠자고 있는 것도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한국에서 원간본 『서유기』가 발견된다면, 그 책은 귀국의 보물이 되겠지요.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귀국의 『서유기』 전문가, 아니면 다른 분이라도 저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p.18)

[1장]
이 소설은 흔히 황당무계한 일들을 써서 늘어놓은 터무니없는 세계로 인식된다. 그러나 황당무계한 일들을 써서 늘어놓은 터무니없는 세계에도 반드시 어떠한 논리가 분명히 관통하고 있다. 나는 줄곧 그 논리를 발견하고 싶다는 생각을 품고 있었다.(p.23)

[2장]
『서유기』의 세계를 즐기는 첫걸음은 그 줄거리만을 열심히 따라가는 것이다. 그 경우, 소설 여기저기에 삽입된 시사(詩詞) 따위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좀 더 깊이 즐기려 한다면, 그러한 시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앞에서 사오정의 모습을 읊은 사가 사오정의 모델을 암시하는 말들을 숨기고 있듯이, 시사(詩詞)의 대부분은 이야기의 줄거리보다도 이 소설의 세계를 구성하는 비밀을 말하고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p.84)

『서유기』가 황당무계한 소설이라는 평가는 예로부터 종종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돌고 돌아온 길을 되돌아보면, 『서유기』만큼 관념적인 추상이론에 집착한 소설도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그 이론이라는 것은 송·원대 이래 형성된 연단술의 관념적 유희라고도 할 수 있었다. 앞에서 나는 유럽의 중세 연금술에 담긴 메르쿠리우스의 용 이론을 일부 소개했는데, 서양과 동양의 연금술이나 연단술이 똑같이 실험과정의 최후단계에서 이렇게 사변적인 심벌리즘 조작에 이르렀다는 사실에 강한 흥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p.135)

『서유기』의 숫자들은 성수 9를 핵심으로 하는 만다라의 세계이다. 우리의 눈에 보이는 모습은 만다라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언뜻 보기에 무의미하고 터무니없는 숫자의 범람이다. 하지만 이 성수 만다라의 세계도 중국인들의 긴 우주론(cosmology)의 역사가 조심스럽게 모습을 바꾸어 소설 『서유기』 속에 나타난 것임이 틀림없다. 어쨌든 우리는 『서유기』 성립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본모습 감추기, 즉 ‘도회’(韜晦, mystification) 취향 또는 비교(秘敎, esoterism) 취미에 오랫동안 미혹되어왔던 것 같다.(p.180)

[3장]
비록 성공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옥제와 삼청의 관계 및 옥제와 석가의 관계는 대강 밝힌 셈이다. 알기 쉽게 “어느 쪽이 더 높은 지위였는가?”라는 소박한 의문을 출발점으로 삼아 생각한다면, 표면상의 위계를 유지하면서도 마음속의 위계가 기능했다고 말할 수 있다. 천계에서 옥제는 마치 지상의 최고 권력자인 황제처럼 권력자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손오공을 퇴치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보자면, 옥제는 표면적으로만 위계의 정점에 선 통치자가 되고, 그 대신 석가여래가 실질적인 최고 통치자의 임무를 수행한다.(p.225)

확실히 『서유기』에는 동물이 많이 출현한다. 그럼 어떤 동물들이 있을까? 그중에서 진귀한 동물은 극히 드물고, 대부분은 매우 친숙한 동물뿐이다. 호랑이, 곰, 소, 뱀, 담비, 악어, 사슴, 양, 거북, 궐파(?婆, 쏘가리), 전갈, 육이미후(六耳??, 귀 여섯 달린 원숭이), 메기, 이리, 거미, 사자, 코끼리, 대붕(大鵬, 붕새), 백여우, 쥐, 코뿔소 등이 그런 예이다. 친숙한 동물이라고는 했지만, 사자나 코끼리가 근처 동물원에 있었을 리는 없으므로, 어쩌면 “실존하는 것으로 인식되던 동물”이라고 바꿔 말하는 편이 나을지 모르겠다.(p.245)

[4장]
혁명 이후의 중국에서 『서유기』의 해부학은 정치적으로 성공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민중이 품고 있는 손오공의 저항적 이미지가 이방인인 우리에게도 깊이 각인된 점을 생각할 때, 손오공이 국가권력을 상징하는 천계에 대해 승리를 거둔 사실은 역설적으로 현재의 국가권력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을 예고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즉 『서유기』는 언제라도 다시 해부될 운명을 짊어진 상황인 셈이다.(p.30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