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6408239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16-11-15
책 소개
목차
01. 한자 콤플렉스
02. 령남자파(嶺南左派)의 등장
03. 령남자파 한류종결 프로젝트
04. 한국어 원어인
05. 대칭(Symmetric)
06. 최첨단 3단 콤보 디지털
07. 문법창제
08. 날(日)과 ㄴ·ㄹ
09. 코 푸는 동이(夷)
10. 언어 방정식(language equations)
11. Mr. Lee
12. 사람(人)이란?
13. 천지 삐까리
14. If 나랏말씀 ≠ 우리말(한국어)
15. 동국(東國)이 서쪽에 있어도 놀라지 말아요
16. 거짓 역사, 없는 역사
17. 나이 많은 젊은 한국어
18. 입시울 가벼운 소리
19. 해인사-자파(左派) 오른쪽으로 가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질문> 중국 문자를 쓰는 것이 들통나서 자존심이 상함
현재 유학 생활을 하고 있는데 얼마 전 중국인 친구들에게 제 주민등록증을 보여줬습니다. 그러자 주민등록증에 괄호 치고 한자로 써져 있는 제 이름을 보고 중국어로 읽더니,?왜 한국이 중국어를 쓰냐고 너네나라 말 있지 않느냐고 묻더라고요.?순간 말문이 막히고 어떻게 영어로 설명해야 할지 몰라서?‘중국어가 아니라 한국어에 가끔 한자를 쓰는?단어가 있다’라고?대충?말했는데?그 친구들은 한국이 한자를 쓴다는 사실에 좀 뿌듯(?)해하고 자랑스러워하는 것 같았어요. 한자를 중국에서 들여온 것은 맞지만 괜히 자존심이 좀 상하더라고요.^^; 우리나라엔 한자보다 우수한 언어(삐~ 문자)인 한글이 있는데.......
아무튼 제가 한국이 한자를 쓰는 이유를 그 중국인 친구들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 것 같아 그날 이후로 계속 신경이 쓰이더라고요.
엄밀히?말하면 우리는 한자 자체를 쓰진 않지만 대부분의 단어가 한자 뜻을 가지고 있잖아요. 이런 걸 그 친구들에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앞으로 또 외국인 친구들이 물어보면 어떻게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한자 콤플렉스’ >
softball
위의 영어 단어를 보자. 야구공보다 큰 공을 사용하는 소프트볼이라는 경기다. 이 소프트볼을 영어 원어민에게 말해 보라 하면 열이면 열 “솝볼”이라 말한다. 수학적으로 말하면 원래 2음절이었던 말을 우리는 4음절로 하고 있는 셈이다. 왜 그럴까? 왜 그런지는 둘째로 하고 이런 것이 원래 당연한 것이 아닐까? 외국어가 어떤 새로운 언어 체계에 들어오면 그 나라 사람들이 말하기 편하게 그렇게 된다. 그런데 쌀은 왜 쌀일까? 지금도 우리는 쌀이라 한다. 쌀의 원산지라는 인도의 말 산스크리트어를 보면 ‘사리’라고 하고 타밀어에서는 ‘소루’라 한다. 마치 일본 사람들이 한국어 받침을 발음하기 힘들어 그것을 연음시켜 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다. 원래 쌀이 무엇이었던 간에 15세기 우리말과 산스크리트어나 타밀어의 쌀을 비교했을 때 발음의 편의 측면에서 보면 어느 쪽이 쉬울까? < ‘한국어 원어민’ >
李(리)는 나무는 나무인데 子(자), 이런 특성을 가진 나무라는 뜻이다. 子(자)를 자세히 보면 표면이나 공간(ㅡ)에 밭 田(전)에 보이는 열 十(십)이 달려 있다는 뜻이다. 十(십)은 음양(공간과 실물)이 결합해 있음을 뜻한다. 이것이 무슨 말이냐면, 앞서 마을 里(리)에 대한 설명 때 한 것의 또 다른 실제 좋은 예가 이것이다. 실체(丨)가 양이라면 그것이 음(ㅡ)의 형태 즉 공간의 형태가 되었다는 말이다. 오렌지의 단면을 보면 정말 그렇다. 오렌지 조각 하나(丨)가 내부(ㅡ)를 채우고 있다. 아들(子)이라는 말 자체도 외부를 향하고 달려 있다는 뜻이다(아달). 여기에 나무 木(목)의 의미까지 더하면 나서 모여 있는데 밖을 향해 달려 있는 것이라는 총정리가 가능하다. 오렌지 또한 원산지는 북부 인도라 한다. < ‘Mr. L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