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다 밑의 진흙소 달을 물고 뛰네

바다 밑의 진흙소 달을 물고 뛰네

(덕숭산 혜암 대선사 법어)

견우회 (엮은이), 묘봉 스님 (감수)
비움과소통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500원 -10% 320원 5,530원 >

책 이미지

바다 밑의 진흙소 달을 물고 뛰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다 밑의 진흙소 달을 물고 뛰네 (덕숭산 혜암 대선사 법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9647716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1-04-25

책 소개

충남 예산 덕숭산 혜암 선사의 선어록을 모은 법어집. 혜암 선사의 구도와 깨달음, 전법의 과정에서 일어난 언행(言行)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져 있다. 이 책에서 혜암 선사는 죽기를 각오한 한결 같은 마음으로 간절히 공들이는 데서 깨달음이 일어나고 언행일치(言行一致)의 깊은 공부가 가능함을 온몸으로 일깨우고 있다.

목차

혜암 선사 진영
전법게와 오도송
묘봉 큰스님 발문
머리말

제 1부. 혜암 선사의 구도와 교화
○ 경허 만공 선사의 법을 이어 덕숭산의 선풍(禪風)을 떨치다

제 2부. 대중 법문
○ 믿음은 견성의 모체
○ 화두(話頭) 참구(參究)하는 법
○ 사구게(四句偈)
○ 새벽 별을 보고 깨달은 기연
○ 마음부처를 보아 스스로 귀의해 돌아가라
○ 종소리에 바로 깨치면 북소리에 거꾸러진다
○ 곳곳이 참되고 티끌티끌이 본래면목이다
○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고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한다
○ 파도는 물을 여의지 못한다
○ 마조 선사가 방망이를 아낀 뜻
○ 마음이 움직이면 곧 어긋남이라
○ 북산에 꽃이 피니 남산이 붉다
○ 무엇이 본래의 얼굴인가?
○ 쥐가 고양이 밥을 먹은 소식
○ 문 앞의 한길 서울로 통한다
○ 뿌리 없는 나무 한 그루
○ 법문을 들었거든 믿고 알아서 실천 수행하라
○ 다만 알지 못하는 줄 알면 곧 성품을 본다
○ 자기의 참된 성품에 예배하라
○ 좌선이란 안팎으로 걸림이 없는 것
○ 삼보에 귀의하라
○ 참으로 위해야 할 것은 어느 물건도 아닌‘한 물건’
○ 다리는 흐르고 물은 안 흐르네
○ 몸을 뒤쳐 가고 옴에 그대로 삼매 속에 노누나
○ 주행칠보(周行七步)

제 3부. 조사 공안과 선문답
○ 배가 가느냐, 물이 가느냐?
○ 부처님의 젖을 어찌 감히 먹을 수 있사오리까
○ 남산에 구름 일기도 전에 북산에 비가 내리다
○ 가섭이 미소 지은 뜻
○ 성성적적 역시 망념인 것을
○ 심야의 밀담
○ ‘무자 화두의 열 가지 병’을 벗어난 한 마디
○ 차 맛이 어떠시오?
○ 물은 흘러도 소리는 보지 못한다
○ 눈이 눈을 어찌 보랴
○ 달마가 서쪽에서 온 뜻
○ 비밀스런 깨침의 한 마디
○ 남산에 숯을 굽는데 북산이 붉다
○ 절벽의 나무와 우물 속 등나무 넝쿨
○ 관음석불의 상호
○ 처녀가 수좌에게 안긴 뜻
○ ‘태초 부처님’ 이전의 소식
○ 어느 것이 자네의 별인가?
○ 매미 소리를 잡아 오너라
○ 몸이 아픈가, 마음이 아픈가?
○ 굽은 것은 곧은 것을 감추지 못한다
○ 검산에서 칼은 가져 왔느냐?
○ 깨진 그릇은 서로 맞추지 못한다?
○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야
○ 풍류 없는 곳에 풍류 한다
○ 옛 부처가 지나갔느니라
○ 귀신 방귀에 털 난 것이니라
○ 도리천은 어느 길로 가는가?
○ 담뱃재를 부처님 손에 터니
○ 전삼삼 후삼삼
○ 신령스런 거북이가 날개를 펴느니라
○ 누구나 지닌 보배칼
○ 한 칼에 목을 자르다
○ 극락세계를 보는 법
○ 발을 하늘로 두고 머리를 땅에 붙이고 선 송장
○ 바다 밑에서 연기가 났느니라
○ 바다 밑 연기의 흔적
○ 문 밖에서 글 읽는 사람
○ 부처님과 가섭이 자리를 나눠 앉은 뜻
○ 세존께서 관 밖으로 두 발을 내보인 뜻
○ 씨 없을 제 이미 태어났다
○ 파도가 물을 여의지 않는 그곳에서 보았노라
○ 살인견(殺人犬)
○ 마상객(馬上客)과 영산 스님
○ 호리병 속의 새
○ 견성했는가?
○ 바른 눈으로 보니 모두 참이 아니다
○ 따뜻한 바람이 스스로 남쪽에서 불어온다
○ 무엇이 현문(玄門)이냐?
○ 다툼 없는 삼매
○ 스님의 나이
○ 만법귀일(萬法歸一) 화두
○ 여시아문(如是我問)
○ 사량분별 없이 설한 법
○ 형상 없는 글자
○ 팔만사천 경설
○ 양봉(兩峰)

제 4부. 일화와 공부 점검
○ 호랑이에 대한 공포심도 이겨낸 삼매의 힘
○ 인내와 성실로 반성할 줄 알아야 공부인
○ 관음정근으로 불치병을 고친 상좌
○ 서로 탁마해야 진전이 있다
○ 불교와 기독교
○ 세 글자의 시
○ 마구니는 치성하고 법이 약해진 시대
○ 소가 없는데, 왜 그 발자국이 앞에 있는가?
○ 국수경과 호박범벅경
○ 소를 타고 소를 찾는 도리 깨친 노스님
○ 모르거든 그저 죽기로 참구하라
○ 성월 선사의 깨달음

저자소개

견우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혜암(慧菴, 1886~1985) 선사의 가르침과 법어를 받은 불자가 중심이 되어 결성한 재가 수행모임. 혜암 선사는 입적을 눈앞에 둔 1985년 5월 15일 재가불자들이 이 땅에서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터전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도록 ‘見牛會(견우회)’란 명칭과 게송을 함께 내리시었다. 학송(鶴松) 법사의 지도 아래 견우회를 이끌라 하시고, 애석하게도 동년 5월 19일 입적하시었다. 견우회 회원들은 스승의 유훈을 받들어 오늘날까지 매달 정기 참선법회를 이어오면서, 혜암 선사의 선어록 《바다 밑의 진흙소 달을 물고 뛰네》를 엮어 펴내기도 했다. 다음카페 견우회 우담바라(cafe.daum.net/UDAMBARA)
펼치기
묘봉 (감수)    정보 더보기
본은 평산이요, 속명이 신동욱으로 임오(壬午: 1942)생이다. 수덕사에서 만공 스님 제자인 덕산(悳山)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해외 포교를 하다 귀국해서 1984년 덕숭총림 초대 방장 혜암(慧庵) 스님으로부터 수법(受法)하였다. 대전 국은사와 서울 화계사에 주석하며 외국스님과 신도들을 대상으로 선(禪)을 설파해 호응을 받았으며, 현재 공주 갑사에 주석하며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저서에는 《천수경 이뭣고》,《눈 없는 돌사람이 글자 없는 책을 읽는다》, 《선문촬요》, 《육조 법보단경》, 《조사선에로의 길》, 《철학의 파멸》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만공 스님이 손가락으로 불상을 가리키며 “부처님 젖이 저렇게 크시니 수좌들이 굶지는 않겠구나” 라고 했다. 곁에 있던 혜암 스님이 “무슨 복으로 부처님 젖을 먹을 수 있겠습니까” 라고 답했다. 만공 스님이 물었다. “그대는 무슨 복을 그렇게 지었는가?” 혜암 스님이 답했다. “복을 짓지 않고는 그 젖을 먹을 수 없습니다.” 또 다시 만공 스님이 말문을 열었다. “혜암 수좌가 부처님을 건드리기만 하고 젖을 먹지는 못하는군.” 당시 혜암은 만공 스님의 질문에 답을 못했다고 한다. 훗날 혜암 스님은 “부처님의 젖을 먹는 흉내를 냈어야 했는데……” 라고 회고했다.


덕숭총림 수덕사 범종불사 회향법회 당시 혜암 스님의 법문은 불자들의 정진을 독려한 내용을 담고 있다. “종소리에 깨달으면, 북소리에 거꾸러진다” 고 한 뒤에 “대중은 각기 한마디씩 일러 보아라” 고 했지만 대중은 아무 말을 못했다. 이에 스님은 “만약 나에게 뜻을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대답하리라” 면서 주먹을 들어 보인 후 법문을 이어갔다. “이렇게 펴는 것이 옳으면 손을 이렇게 쥐는 것이 그르지 않노라.”


“선(禪)의 종자를 미국에도 심어주어야 할 것 아닌가? 종자만 심어주면 가지 뻗고 꽃피고 열매 맺는 거야 저절로 되리라 생각해.”(불교신문 인터뷰) 세수 100세에 미국 포교를 위해 손수 나섰던 혜암 스님이 출국 직전에 하신 말씀. 이때 스님은 노구에도 불구하고 미국인과 교민들에게 불법(佛法)을 전하겠다는 일념으로 비행기에 올랐다. 미국 서부 능인선원 봉불식에 참여해 ‘선의 가르침’을 서양세계에 전했던 것이다. 당시 스님은 미국에 가기 전에 매주 수덕사를 찾아오는 한 교수를 통해 영어 공부에 열중했다고 한다. 보다 쉽게 가르침을 전하기 위한 노력이었으며, 나이를 뛰어넘은 열정을 직접 보여주었던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