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입문서

불교입문서

(선묵혜자 스님과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 산사순례기도회)

선묵 혜자 스님 (지은이)
아침단청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개 3,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입문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입문서 (선묵혜자 스님과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 산사순례기도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96622017
· 쪽수 : 351쪽
· 출판일 : 2011-08-01

책 소개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산사순례기도회’를 창립하여 한국불교 포교의 신기원을 만들어 가고 있는 선묵 혜자 스님이 108산사순례 회원들과 불자들을 위해 불교입문서를 펴내었다. 선묵혜자 스님은 그동안 전국 각지에서 온 불자 7천여 명을 이끌고 108산사 순례기도회를 이끌고 있는 스님이다.

목차

불교입문서를 펴내며 4

1부처님의 생애
부처님은 누구인가 13
부처님의 10대 제자 18
불교의 4대 명절 29
불교의 4대 성지 32

2부처님의 팔상성도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37
비람강생상 毘藍降生相 38
사문유관상 四門遊觀相 40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44
설산수도상 雪山修道相 47
수하항마상 樹下降魔相 49
녹원전법상 鹿苑轉法相 54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60

3108산사순례기도회
108산사순례는 스님에겐 구법求法여행이며 회원에겐 보현행의 실천 71
108산사순례란 무엇인가 76
108 불공(佛供)의 의미 79
108배의 의미 80
108 번뇌란 무엇인가 82
108 자비 나눔의 의미 83
108공덕의 의미 84
108염주의 참된 의미 86
108산사 회원들은 모두 보현행원이다 88

4부처님의 위대한 가르침
팔정도 八正道 91
사성제 四聖諦 93
연기(緣起)의 가르침 94
부처님의 법(法) 102
중도(中道) 사상 104
삼법인 三法印 107
윤회와 업 111
인과설 因果說 120
보시 布施 122

5불교입문
종교의 개념 127
불자의 자세 129
수행과 기도 130

6불자의수행과 신행생활
사찰방문 151
설법을 듣기 위한 방문 152
참선을 하기 위한 신도 152
기도 불공(佛供) 의례 153
대중생활 154
공양 예절 155
삼함 三緘 156

7깨달음의 진리로 가는 길
육바라밀 수행 159
사상(四相) 168

8사찰의 구조
사찰의 전각(殿閣) 173
사찰의 문(門) 185
사찰의 기타 구조물 189
법당의 구조 193
불교 의식 법구 195
불상(佛像)과 수인(手印) 204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와 복장물(腹藏物) 223
사찰의 조형물 224

9불교가 가진 7대특징
불교는 정신(正信)이다 229
불교는 남을 제도하는 종교이다 230
염세(壓世)가 아니라 구세(救世)이다 232
유한(有限)이 아니라 무한(無限)이다 232
타력성불(他力成佛)이 아니라 자력성불(自力成佛)이다 233
신앙의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234
불교는 종교이며 철학이다 236

10제공의식과 보살수계
사찰에서의 제사 239
49재의 의미 241
백중날과 조상천도 243
구병시식(救病施食) 245
예수제의식(豫修齊儀式) 247
방생의 의미 249
일곱 가지 불살생(七大不殺生) 255
보살수계의 서문 258
보살 십중대계 260

부록1
발원문
반야심경 273 일상 발원문 277
자비 발원문 279 아침 발원문 282
저녁 발원문 284 공양 발원문 286
가내 길상 발원문 288 행복한 가정을 위한 발원문 290
자녀를 위한 부모의 발원문 292 송년 발원문 294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발원문 297 출가절 발원문 300
성도절 발원문 303 열반절 발원문 306
첫돌 발원문 309 생일 발원문 311
회갑, 칠순, 팔순 발원문 313 취직, 승진, 합격 발원문 315
개업, 이사, 안택, 준공 발원문 318 문병, 쾌유 발원문 320
사업 실패, 재난, 천재지변 발원문 322

부록2
찬불가
삼귀의 327 사홍서원 328
가야지 329 무상게 332
108산사의 노래 336 청담 큰스님 338
보현 행원 339 산회가 340
찬양합시다(찬불가) 342 청법가 343
부처님 오신 날 344 우리 스님 345
성도제의 노래 346 우란분절 348
열반의 노래 349 생일 축하 350
결혼식의 노래 351

저자소개

선묵혜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법명 혜자(慧慈), 법호 선묵(禪?), 스님은 14세 때 청담 대종사를 은사로 모시고 삼각산 도선사에서 출가, 통도사 강원에서 경학연찬, 송광사 선방에서 수선안거를 하였다. 삼각산 도선사 주지와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장과 사서실장, 소청심사위원장, 북부경찰서 경승실장, 동국대 불교대학원 출가공동체모임 동림회 회장, 청담학원 이사장, 혜명복지원 이사장, 풍경소리 대표를 엮임했다. 불교환경연대회의 공동대표, 한국문학평화포럼 이사, 불교신문사 사장, 군종특별교구장을 거쳐 현재 (사)108산사순례기도회와 수락산 도안사 회주로 있으며 2023년 조계종 대종사 품계에 올랐다. 캄보디아 정부로부터 금관문화훈장, 필리핀 대통령 직속 고등교육위원회로부터 고등교육문화대상, 팔라우 정부로부터 교육훈장, 네팔 정부로부터 평화훈장과 공로훈장,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문화훈장 수상했다. 그 외 대한불교조계총 종정 표창,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표창, 제12회 만해대상 서울특별시장 표창과 문화부 장관 표창, 대통령 표창 및 포장, 스님은 자작시 ‘파랑새’로 제5회 윤동주문학상 대상, 대한민국 무궁화평화 대상, 국위선양 세계평화공헌 부문 최고대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그대는 그대가 가야 할 길을 알고 있는가』, 『선묵 혜자 스님과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산사』, 『사람 노릇하고 살기가 어디 그리 쉬운가』, 『절에서 배우는 불교』, 『빈 연못에 바람이 울고 있다』, 『캄보디아』, 『산중 명상집』, 『평화의 불』이 있으며, 엮은 책으로『영원한 대자유』, 『마음 꽃다발』, 『마음으로 간직할 부처님 말씀 108』, 『살아있는 동안 꼭 읽어야 할 부처님 말씀 108가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느 날 마야부인은 태몽을 꾸었다. 차가운 겨울이 지나고 푸릇한 봄빛이 찾아 왔을 때 그녀는 꿈속에서 여섯 이빨을 가진 눈이 부시도록 하얀 코끼리가 자신의 뱃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다. 태몽이었다. 10개월 후 산월이 가까워지자 마야부인은 성을 떠나 자신의 친정인 데바다하 성으로 돌아가 던 중 룸비니 동산에 이르러 행렬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다가 갑자기 산기(産氣)을 느껴 곧 왕자가 탄생하였다.
아기 왕자가 탄생하자 몸에서는 햇빛을 가릴 정도로 큰 광명이 일제히 하늘로 솟아났다. 아기 왕자가 자리에서 뒤뚱거리며 문득 일어나 동 서 남 북, 위아래 여섯 방향으로 각각 일곱 발자국씩 내 딛자 가는 곳 마다 연꽃이 분연히 피어났고 하늘에서는 아홉 마리의 용(龍)이 향기로운 물을 내뿜어 몸을 씻겨 드렸다. 아기 왕자는 그 연꽃 가운데 우뚝 서서 오른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왼손으로는 땅을 가리키며 사자처럼 크게 외쳤다.
“하늘과 땅위에 나 홀로 존귀 하네. 온 세상이 고통 속에 헤매니 내 마땅히 이를 편안케 해 주리라.(天上天下唯我獨尊)”
아기 왕자는 이렇게 사자후를 하며 앞으로 나아갔다. 왕은 아기 왕자의 이름을 ‘모든 것을 자신의 뜻대로 성취한다.’는 뜻으로 싯다르타라고 지었다.’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중에서


‘이 세상의 더러움과 어리석의 꾐에 빠지는 것은 여인의 몸보다 더한 것은 없다. 여인은 갖가지 의복과 구슬로 화사(華奢)하게 꾸며 어리석은 사람을 쉽게 속이지만 그것은 어리석고 미련한 짓이다. 그림자와 같고, 꿈같은 것에 지나지 않을 뿐 참된 것이 아니다.’
그러던 중 싯다르타는 깊은 고뇌에 빠졌다. 출가를 결심한 싯다르타 태자에게 새로운 장애가 생겼던 것이다.?야수다라공주와의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난 것이다. 아들이 태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그는 ‘몸과 마음을 얽어매는 장애란 뜻인 ‘라훌라’로 이름을 지었다. 출가에 대한 결심은 변하지 않았다. 드디어 태자는 기회를 틈타 출가를 결행했다.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