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워크북 : 지속노출치료, 제2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워크북 : 지속노출치료, 제2판

Edna B. Foa, Barbara Olasov Rothbaum, Elizabeth A. Hembree, Sheila A. M. Rauch (지은이), 조용범, 채송희 (옮긴이)
더트리그룹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워크북 : 지속노출치료, 제2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워크북 : 지속노출치료,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6783985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2-06-10

책 소개

피해생존자가 성폭력이나 학교폭력, 범죄, 전쟁 혹은 재난을 경험한 후 겪는 심리적 피해, 즉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치유하는 방법을 담은 치료서다. 개별적인 문제들과 특정한 문제들을 평가하고 치료하며 진단하는 상세한 절차들을 단계별로 소개하고 있다.

목차

한국어 초판 저자 서문
초판 역자 서문
대표 편집자 서문

제1장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지속노출치료(PE)바로 알기
제2장 지속노출치료(PE), 나에게 맞는 프로그램일까?
제3장 첫 번째 도약 / 준비하기: 회기 1
제4장 두 번째 도약 / 외상과 실제상황 노출의 지식 습득하기: 회기 2
제5장 세 번째 도약 / 외상기억 첫 번째 직면: 회기 3
제6장 치료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방안
제7장 중반부 도약 / 외상기억 프로세싱하기: 회기 4 - 마지막 회기
제8장 최종 도약과 졸업 / 변화된 나를 발견하기: 종결 회기
초판 역자 에필로그

저자에 관하여
역자에 관하여

저자소개

Edna B. Foa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의 정신의학과 교수이며 불안장애 치료 및 연구센터의 디렉터이다. 에드나 포아 박사는 불안장애, 강박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정신병리학과 치료법 연구에 헌신하고 있으며, 현재 이 분야를 주도하는 최고의 전문가 중 한 사람이다. 포아 박사는 이러한 정신병리 기저의 작용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고, 과학적인 치료기법을 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치료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PTSD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개발한 지속노출치료의 치료 효과는 높은 수준의 과학적 근거를 갖춘 치료 기법이며 미국 전역과 전 세계로 퍼져 나가고 있다. 포아 박사는 그 업적을 인정받아 수많은 상과 훈장을 수여 받았으며, 타임지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명에 이름을 올렸다.
펼치기
Barbara Olasov Rothbaum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에모리대학교(Emory University) 의과대학의 정신의학 및 행동과학부 교수이자 임상 연구 센터의 부대표이며, 동대학 참전군인 헬스케어 프로그램 및 외상과 불안장애 회복 프로그램의 디렉터를 맡고 있고, 신경정신약리학 분야 Paul A. Janssen 의장을 맡고 있다. 로스바움 박사는 불안장애, 특히 PTSD 증상과 연관된 기분장애를 보이는 내담자에 대한 치료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300여편 이상의 과학 논문과 책 저술에 참여했으며, 8권의 PTSD 치료에 관한 서적과 3권의 불안 장애에 관한 서적을 편찬하였다. 로스바움 박사는 미국전문심리학위원회(American Board of Professional Psychology)에서 행동심리학 분야의 전문가 자격을 수여 받았고, 국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Traumatic Stress Studies)의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미국 불안장애 협회 (Anxiety Disorders Association of American)와 미국 PTSD 센터(National Center for PTSD), McLean 병원에서 과학 자문 위원을 맡고 있다. 참전군인 케어 네트워크(Warrior Care Network)의 집행위원이며, 정신장애 치료에 가상현실을 응용한 선구자이기도 하다. 미국 신경정신약리학 대학(Americ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행동 및 인지 치료 학회(Association for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와 미국심리학회 56 분과(외상 심리학), National Academy of Inventors의 펠로우이다. PTSD 치료 분야에 지속적인 노력을 평가하는 Institute of Medicine’s Study의 멤버이며, 경험과학적 근거를 갖춘 PTSD 치료를 제공하는 치료자를 양성하고 있다.
펼치기
Elizabeth A. Hembree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엘리자베스 A. 헴브리(Elizabeth A. Hembree, Ph.D.) 박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Perelman School of Medicine) 정신의학과의 심리학 부교수이다. 헴브리 박사는 불안장애 관련 연구와 외상의 심리학적 영향, 그리고 외상 관련 정신병리 치료와 더불어 PTSD의 인지행동치료 보급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해 왔다. 지속노출치료(PE)가 개발된 Center for the Treatment and Study of Anxiety(CTSA)에서 20년간 교수진으로 활약하고 있다. 헴브리 박사는 1999년부터 2009년까지 CTSA에서 임상수련 디렉터를 역임하였다. 치료 및 연구 센터에서 강간 및 범죄피해자 프로그램과 수련 프로그램의 디렉터를 맡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PTSD와 불안장애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효능과 효과성에 관한 수많은 임상적 연구를 수행해왔고, 미국 전역과 해외에서 PTSD의 인지행동치료 워크샵을 통해 많은 전문가들을 양성하고 있다. 그녀의 외상 및 PTSD에 관한 전문성은 미국 국방성의 보훈처에서 인정받아 참전 군인 및 현역 군인들에게 효과적인 경험과학적 심리치료를 제공할 정신건강전문가를 수련하고 있다. PTSD 관련 수많은 연구 논문과 책을 저술하였으며 Journal of Traumatic Stress 와 Journal of Anxiety Disorders의 편집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Sheila A. M. Rauch (지은이)    정보 더보기
쉴라 로쉬(Sheila A.M. Rauch, Ph.D., ABPP) 박사는 미국 에모리대학교(Emory University) 의과대학의 정신의학 및 행동과학부 교수이며, 동대학 참전군인 헬스케어 프로그램의 임상 디렉터이자, 아틀란타 참전군인 헬스케어 시스템의 정신건강 연구 및 프로그램 평가 디렉터이다. 로쉬 박사는 노스 다코타 대학교(University of North Dakota)에서 200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PTSD와 불안장애 치료와 연구에 20년 이상 헌신해왔고, 미국전문심리학위원회(American Board of Professional Psychology)에서 행동심리학 분야의 전문가 자격을 수여 받았다. 로쉬 박사는 PTSD 치료 분야 뿐 아니라 외상이 PTSD로 발전되는 양상에 대한 생물학 및 심리학적 메커니즘을 연구하였고, 효과적인 치료 개입 방법을 연구하였다. 로쉬 박사는 2000년 부터 PTSD 치료자들을 수련시키고 있다. 로쉬박사는 불안장애의 발생, 유지, 치료에 관한 신경생물학적 요인과 의료 환경의 심리사회적 요인 및 신체 건강과 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주제로 불안장애와 PTSD에 대한 여러 학술 연구 논문과 서적을 출간했다. 불안장애에 대한 과학적으로 검증된 심리치료적 기법을 다양한 집단과 환경에 적용하는 분야를 주도하는 전문가이다. 인지 및 행동 심리학의 전문가이고, 미국 행동 및 인지 치료 학회의 펠로우이며, 미국 불안 및 우울 학회(Anxiety and Depression Association of America)의 이사이자 과학자문위원직을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조용범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심리학자로서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Clinical Psychology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의 The Zucker Hillside Hospital / Long Island Jewish Medical Center에서 임상수련을 받았다. 그는 2002년부터 동 병원에 한국인과 아시안을 위한 심리클리닉을 설립하여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뉴욕9.11 테러 희생자 가족 심리치료 지원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2003년 한국에 ‘더 트리 그룹’을 설립하여 성폭력피해생존자들과 기타 폭력피해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는 2005년 에드나 포아 박사를 초청하여 한국 전문가들을 워크숍을 개최하였으며 포아 박사와 함께 지속노출치료(Prolonged Exposure Therapy, PE)를 윤리적으로 보급하기 위한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비영리적 활동으로 성폭력 피해자와 범죄 피해자, 5.18 민주화운동 고문 피해자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한국사회에 알렸고, 이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NGO인 인권피해자를 위한 오픈클리닉을 설립하여 이들을 도왔다.
펼치기
채송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더트리그룹과 그 협력기관인 미국 EBTCS(Evidence Based Treatment Center of Seattle)에서 임상수련을 받았고, Behavioral Tech.에서 DBT(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Intensive 교육과 수련을 수료하였다. 지속노출치료,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를 통해 아동, 청소년, 성인과 가족들을 돕고 있다. 성폭력 피해 생존자와 가정 폭력, 학교 폭력, 범죄 피해 생존자들을 치료하며 이들과 관련된 여러 기관과 단체에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트라우마와 정신병리에 관한 강연을 통해 성폭력 피해 생존자를 돕는 인권운동가들의 역량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5년에 한국에서 개최한 지속노출치료(Prolonged Exposure Therapy) 개발자 Edna Foa 박사의 전문가 워크숍을 총괄하였다. 5.18 민주화운동 고문 피해자에 관한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인권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비영리단체 오픈클리닉 연구원으로 트라우마 생존자에게 치료와 교육을 제공하였다. 여성인권단체의 자문위원을 역임하였으며, 공로상을 수여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