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건강/환경
· ISBN : 9788996890904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12-12-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감사글
프롤로그: 부모들의 마음으로
Part 1: PASS 원리
Chapter 1 Pass 원리
24 1. Pass 원리란?
24 - P,A,S,S 각 글자에 담긴 의미
25 - Pass에 담긴 의미
26 - Pass 원리의 네 가지 영역
27 2. Pass 원리의 두가지 축
29 - 나는 어떤 부모인가?
30 - 양육과 훈육의 불균형
31 - 양육과 훈육의 조화
32 - Pass 원리가 필요한 이유
Chapter 2 Pass 원리: 듣기
38 첫 번째 영역 : 열정적으로 듣기 (P)
38 - 어느 부모의 고백
39 - 열정적으로 듣기란?
40 - 듣기암초
42 - 열정적 듣기 방법
45 - 잘 들어 주면 어떤 것을 얻나요?
50 - 듣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52 - 잘 듣는 것과 공감의 관계
52 - 듣기가 Pass 원리의 영역에서 차지하는 위치
Chapter 3 Pass 원리: 공감하기
58 두 번째 영역: 공감하기(A)
58 - 어느 부모의 고백
58 - 공감이란?
59 - 무엇을 공감해 주어야 하는가?
60 - 공감 방법
63 - 공감의 효과
66 - 상황에 따른 공감 방법
69 - 공감에 대한 오해와 진실
71 - 공감 암초
73 - 공감을 사용해서는 안 되는 경우
74 - Pass 원리에서 부모 자신의 공감 능력 발달시키기
Chapter 4 Pass 원리: 구조화
86 세 번째 영역: 구조화 (S)
86 - 어느 부모의 고백
87 - 구조화란?
89 - 왜 구조화해야 하는가?
92 - 사후 구조화와 사전 구조화
94 - 구조화를 위한 대화 방법
99 - 구조화할 때의 원칙
102 - 구조화의 암초
104 - 구조화의 예외 상황
105 - 구조화의 오해와 진실
Chapter 5 Pass 원리: 대안 발견
112 네 번째 영역: 대안을 발견하라 (S)
112 - 어느 부모의 고백
112 - 대안 발견하기의 필요성
113 - 대안 발견하기의 의미
114 - 대안 발견하기의 방법
118 - 계약서 작성 방법
127 - 대안발견하기의 오해와 진실
Chapter 6 Pass 원리: 적용 지침
134 1. Pass 원리에서 기억해야 할 것
134 - 한 번에 변화를 기대하지 않기
134 - 변화를 위한 지침
136 - 변화를 이끌어 낼 행동 선정 기준
139 2. Pass 원리에서의 진정한 변화란?
139 - 자신의 변화에 주목하기
140 - 자신을 용서하기
141 - '지금 여기'로 변화의 관점을 유지하기
Part 2: PASS 원리 적용
Chapter 1 Pass 원리 적용: 일상생활
148 1. 정리정돈
148 - 청소는 안하고 놀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
150 - 방과 후에 물건을 산만하게 흩뜨려 놓는 상황
152 - 잠잘 시간인데도 정리를 안 하고 있는 상황
154 2. 책임전가
154 - 같은 방을 사용하는 형제가 서로 책임을 전가하는 상황
157 3. 도움 요청
157 - 정리를 못하겠다며 엄마한테 도와달라고 하는 상황
159 4. 듣기
159 - 학교 갈 준비를 안하고 멍하니 앉아 있는 상황
160 - 밥을 먹으라고 하는데 대답을 하지 않는 상황
162 - 몇 번 불러도 대답을 안하는 상황
Chapter 2 Pass 원리 적용: 게임, TV, 컴퓨터
168 1. 게임
168 - 지하철 이동 중 스마트 폰 게임을 멈추지 못하는 상황
170 2. TV
170 - TV 보면서 저녁 식사하는 상황
173 3. 컴퓨터
173 - 심심하다고 컴퓨터 게임만 하려고 하는 상황
176 - 컴퓨터 사용을 계속하는 상황
Chapter 3 Pass 원리 적용: 학습, 시험
186 1. 학습
186 - 아침에 해야 할 학습지를 하지 않는 상황
189 2. 기말고사 준비
189 - 기말고사 준비를 해야 하는데 미루는 상황
Chapter 4 Pass 원리 적용: 정서
196 1. 떼 쓸때
196 - 약속이 없는 장소에 갑작스럽게 가자고 떼쓰는 상황
198 - 학교에 가기 싫다고 떼쓰는 상황
200 - 약속했음에도 학교에 가지 않기로 떼 쓰는 상황
203 2. 짜증
203 - 초등학교 2학년 남학생이 짜증내는 상황
204 - 장난감이 부서지면 탓을 하며 짜증내는 상황
207 - 아침 일어나는 것 짜증내는 상황
210 - 학교 갔다 와서 계속 짜증을 내고 칭얼대는 상황
212 3. 괴롭힘
212 - 엄마를 툭툭 치면서 괴롭히는 상황
213 - 엄마에게 욕을 하는 상황
214 4. 학교폭력
214 - 자녀가 귀찮아하는 상황
217 - 학교폭력이 우려됨을 발견하는 상황
220 - 자녀의 요청으로 학교에 찾아감
Chapter 5 Pass 원리 적용: 교육수기
226 - 역전의 기쁨
Chapter 6 Pass 원리 적용: 부모수기
246 - 변화의 파도와 함께
252 - 가족 행복으로 행진
260 - 28년 만에 나는 학생이다.
263 - 생활부장 명찰을 달고
에필로그
274 에필로그: 다리꿈학교를 아시나요?
282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녀 양육에 있어서 정해진 답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자녀와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과는 달리 아주 사소한 일에서부터 자녀와의 갈등은 끝이 없습니다. 자녀들이 말을 듣지 않으면 힘들어지고 이것이 반복되다보면 부모들의 가슴은 답답해집니다.
Pass 원리는 이 답답함을 뚫어주는 해법입니다. Pass 원리는 자녀와 부모 간에 마음과 마음이 통하게 하는 대화 원리입니다. 이제 그만 자녀와 부모 사이의 무의미한 싸움을 멈추고 이 Pass 원리를 통해 서로가 win-win 하길 바랍니다. Pass 원리는 발생한 문제가 즉각적으로 해결한다기보다는 관계 형성과 소통에 초점을 둔 대화 원리입니다. 열심히 듣고, 공감하고, 구조화하고, 대안을 발견하는 Pass 원리를 통해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평정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P,A,S,S 각 글자에 담긴 의미
Pass에서 P는 '열정적으로 듣는다' 는 의미 (Passionately listening)입니다. A는 '공감하다(empathy)'의 A를 뜻하고, S는 제한을 설정한다는 set the limit을 뜻합니다. 제한 설정의 의미는 결국 구조화를 뜻하기 때문에 어감상 '구조화' 로 명명하고 S로 표기하였습니다. 마지막 S는 '대안을 발견하기'의 뜻으로 spot the alternative에서 S로 표기하였습니다.
대안 발견하기에는 대안 제공하기, 대안 찾기의 의미도 포함합니다. 대안 제공하기는 부모가 환경을 제공한다는 의미가 강하고, 대안 발견하기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찾는다는 의미가 강합니다. 더 나아가 자녀들이 대안을 찾을 뿐 아니라 현실에 답이 없다고 생각할 때 번뜩 생각이 나는 spot의 대안 발견하기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Pass란 Passionately listening에서 P, empathy에서 A, set the limit에서 S, spot the alternative에서 S의 약자를 칭한 명칭입니다.
- Pass에 담긴 의미
단어 'Pass' 의 의미는 여러 가지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본 책에서 사용되는 Pass의 의미는 다음 세 가지의 사전적 의미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첫째, …을 무시하다, 받아 넘기다, 눈감아 주다, 뛰어 넘다는 뜻으로 자녀들의 증상이나 실수, 시행착오는 받아 넘기거나 뛰어 넘어 '꿈돌이' 의 문제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둘째, 사람이 시험·검사 등에 합격하다는 뜻으로 우리 자녀들 '꿈돌이' 가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배워야 할 기본 규칙과 원리를 합격해서 뛰어 넘자는 뜻입니다.
셋째, 능력이 …을 넘다, 초월하다, 능가하다는 뜻으로
'꿈돌이' 가 자신의 재능을 뛰어넘고 증상을 초월하여 세상을 즐겁게 살도록 하자는 뜻입니다.
- Pass 원리의 네 가지 영역
Pass 원리란 열심히 듣고, 공감하고, 구조화하고, 대안을 발견하는 과정입니다. 첫 번째의 '열심히 듣기'란 자녀들의 이야기를 잘 듣고 어려움을 겪는 당사자가 직접 이야기하고 표현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주는 영역입니다.
두 번째의 '공감'은 문제에 처한 당사자의 준비된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나오게 하고, 감정이 고조되어 있을 때는 그 감정을 조절해 주면서 감정을 덜어주는 영역입니다.
세 번째 '구조화'는 강한 리듬을 가진 영역입니다. 공감을 할 때 문제 당사자가 감정이 격해지거나 이야기가 위험한 수위로 넘어가게 되면 이야기를 듣는 사람은 방향을 설정해 줍니다. 그 영역이 구조화입니다.
네 번째의 대안 발견하기는 마무리 영역입니다. 잘 이끌어 온 이야기의 마침표를 찍어 서로 합의된 의견이나 방법으로 마무리하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Pass 원리의 네 가지 영역은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만은 아닙니다. 듣기를 잘해야 공감을 하고, 공감이 잘 되어야 구조화를 하고 대안 발견하기가 되는, 순차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물론 순차적으로 진행될 때도 있지만 듣기와 공감은 거의 동시에 일어납니다. 구조화와 대안 발견하기는 듣기와 공감을 함께 사용해야 더욱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