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7137305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8-08-24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_동물학대와 인간폭력이 맺는 관계
1. 동물학대 연구가 중요한 이유
동물학대의 정의
동물에 대한 폭력은 왜 무시되어왔나
동물학대를 주목해야하는 이유
2. 동물학대에 관한 사회학적 접근
폭력과 학대의 개인적/정신병리적 모델 vs. 사회적/문화적 모델
사회구조와 동물학대의 연관성
3. 동물학대와 인간폭력의 관계
가정폭력과 동물학대의 관계
여러 형태의 폭력 및 반사회적 행동과 동물학대의 관계
4 동물학대로 시작된 폭력은 인간을 향한다 “링크” 가설
폭력의 이동가설 또는 발전테제
“링크” 가설에 대한 비판적 입장
향후 링크연구의 이슈와 도전
5. 동물학대를 설명하는 이론적 관점들
페미니즘 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두 가지 접근방식의 결합 : 여성학대와 반려동물학대에 대한 페미니즘-상호작용론적 설명
동물학대에 관한 애그뉴의 사회심리학 이론
6. 정책 제안 및 향후 연구 방향
정책 제안
앞으로의 연구 방향
7. 동물학대의 사회학 : 사회학적 상상력의 확장
글을 맺으며 : 더 안전하고 덜 폭력적인 세상을 위해
역자 후기_사회적 구성물로서의 동물학대
리뷰
책속에서
의심의 여지없이 동물학대는 인간폭력과 빈번히 연계되며, 이는 가정폭력과 범죄학 분야의 연구문헌을 통해 분명히 밝혀진 사실이다.
사회학은 그동안 젠더, 인종, 계급, 나이, 성적 지향 등에 기반한 여러 억압과 불평등을 폭로하고 도전한 자랑스럽고 풍요로운 역사를 갖고 있다. 이제는 연구영역을 동물까지 확장시켜, 다른 형태의 억압과 마찬가지로 종차별주의 역시 그에 걸맞은 자리를 찾아주어야 할 때이다.
기타 산업과 달리 도축장의 노동자 채용은 그 규모가 커질수록 폭력범죄, 강간 및 여타 성범죄로 인한 해당지역의 검거율과 신고율을 함께 상승시켰다. 다른 산업에서는 노동자 채용이 늘어날수록 오히려 지역 범죄율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