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88997206346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5-09-15
책 소개
목차
차 례
서문 · 6
프롤로그 · 13
다른 관점으로 몰입하며 체험하다 · 목효정 · 21
1. 정규 교과 시간에 책과 함께 학생을 만나다
2. 학생들의 이야기는 나의 활력소!
3. 자유로운 표현력을 위해 시의 함축성을 이용하다
4. 독서 수업을 즐기는 학생들이 주는 감동
5. 다양한 관점으로 소설을 재창조하다
6. 교실 안의 독서 수업은 살아있다
7. 숨겨진 가능성, 생각의 씨앗은 오늘도 자란다
소인수분해를 활용한 암호 수업 · 최윤민 · 53
1. 독서교육을 수학으로 넓히다
2. ‘협동’을 통한 수업모형 준비
3. 암호 해독 수업: 암호 7개를 해독해서 봉인을 풀어라!
4. 협동과 대화의 힘을 느낀 수업!
책과 함께 떠나는 시간 여행 · 강인숙 · 75
1. 책, 알면 사랑하게 된다
2. 책으로 역사를 느끼는 수업 계획
3. 책 선택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4. 역사 속에서 ‘만약’을 이야기한다
5. 현실 문제에 다가가는 힘, 책의 여정이다
독서교육, 편견을 넘어 세상 읽기 · 김마리아 · 101
1. 주제 중심 토론 수업의 패턴을 창안하다
2. 토론 대회 준비와 성과
3. 사회 교과 협력수업을 위한 주제 협의
4. 학생들 자기 의견을 말하기 시작하다
5. 포스트잇을 활용한 다문화 정책 제안과 토론
6. 통합 수업의 답은 독서 수업이다
신기한 인체 모험 · 이승희 · 125
1. 새로운 도전
2. 수업에 들어가며
3. 읽기 전 - 책 소개하기(1차시)
4. 읽기 중 - 읽으며 생각하며 기록하기(2~5차시)
5. 읽기 후 - 인체도 만들기(6~7차시)
6. 읽기 후 - 발표(8차시)
7. 변화의 시작
자아를 찾는 애벌레의 꿈 · 김선미 · 147
1. 독서와 교과가 만나서 만들어내는 시너지
2. ‘마을 만들기’ 사업과 함께하는 교과 독서 연계 수업
3. 애벌레들의 자아 찾기
4. 내 안에 숨어있는 나비를 찾아서
5. 나의 삶과 연결하여 토론하기
6. 나비로 날아오를 우리들의 모습을 꿈꾸며
7. 토론은 올바른 관계 형성과 문화에서 이루어진다
중학생들에게 그림책 읽어주는 독서 시간 · 남미선 · 179
1. 독서 시간은 자유 시간
2. 그림책 읽어주기
3. 스스로 선택해서 읽기
4.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책 읽기
5. 재미있는 독서를 위해
꿈을 꾸게 하는 독서, 진학을 뛰어넘는 독서 · 박세화 · 201
1. 고3 학생들에게 적합한 독서교육 계획
2. 독서는 단지 입시를 위한 수단인가?
3. 고3, 다시 진로를 논하다!
4. 책 한 권이 너희에게 미친 영향은?
5. 관심 분야 탐구 보고서로 꿈에 날개를 달다!
6. 이상적인 독서 수업을 향해
꿈꾸는 것은 미안한 일이 아니란다 · 문인숙 · 229
1. 자아 정체성을 찾는 성장소설 읽기
2. 삶의 롤모델을 찾는 인물책 읽기
3. 아이들의 독서를 부르는 교사의 관심
4. 활동지에 진심을 담게 하려면
5. 몸으로 기억하는 공부 - 회전목마 토론
6. 독서는 사람을 사람처럼 만든다
나를 찾아 떠나는 독서 여행 · 박혜연 · 257
1. 수업으로 즐거운 읽기 경험을 쌓다
2.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를 함께하는 독서 수업으로
3. 마음 준비하기와 책 고르기
4. 말하기 수업 생각보다 어렵다
5. 반성과 함께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다
6. 2015년 또 업그레이드된 ‘나를 찾아 떠나는 독서 여행’
모방을 통한 비평과 창작 · 위현미 · 287
1. 우리는 어떻게 ‘그림’을 말하게 되었는가?
2. 감상과 창작을 종합한 수업설계
3. 명화에 대한 흥미 돋우기
4. 자신만의 시점으로 그림 감상
5. 좋아하는 그림을 이야기로 표현하기
6. 아이들이 ‘명작’을 그리다
7. 아이들에게 힘이 되는 시간이기를
그림책을 활용한 소설 쓰기 · 이재연 · 321
1.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책에서 시작하다
2. 성공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3. 소설 쓰기를 위한 준비
4. 1차시 ‘그림책과 친해지기’와 ‘발문을 통한 소설 쓰기’
5. 2차시 자유롭게 소설 쓰기
6. 가슴에 닿는 독서 수업
성찰하는 학습을 위한, 메타인지 독서 전략 · 최선아 · 343
1. 방황하며 자신을 찾아가는 독서
2. 메타인지를 활용한 독서란 무엇인가?
3.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한 수업 계획
4. 책을 읽으며 자신과 대화하기: 내적 대화
5. 추천 도서 목록 준비
6. 독서 몰입을 돕기 위한 교사의 역할
7. 메타인지를 돕기 위한 교사의 피드백
8. 나의 성장을 인식하는 시간
에필로그 · 37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터넷에서 찾은 답이 정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자 학생들은 배경지식에 집중해서 다양한 의미를 상상하기 시작했다.
“쫓아오던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 꼭대기 십자가에 걸렸습니다. 저희 조는 십자가 뒤로 보이는 햇빛을 본 건데, 윤동주는 햇빛이 십자가에 걸려서 가지 못하는 상황으로 표현했어요. 가고 싶은데 십자가 때문에 갈 수 없다고, 답답하다고 생각했고 우리나라의 답답한 현실에 비유한 것 같아요.”
……
“선생님, 저희는 좀 다르게 생각했는데요. <십자가>는 윤동주가 자취하던 시절에 쓴 건데 졸업하면 취직해야 되잖아요. 저희는 독립이 되어야 제대로 취직도 하고 그럴 것 같은데 원하는 일을 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불안감? 윤동주의 개인적인 걱정 같은 것으로 봤어요.”
“돈을 벌어야 능력 있는 가장인가요? 아내가 체했어요. 손도 따주고 등도 두들겨주고, 아내는 그런 것을 원했을 거예요.”
“전 돈을 벌러 나간 건 괜찮은데 친구 치삼이하고 술을 먹은 게 잘못인 것 같아요. 술만 안 먹고 일찍 들어왔다면 아내가 살아있었을 수도 있었죠.”
“김첨지는 가장이에요. 비가 와서 하루 종일 인력거를 끌고 다니기가 더 힘들었겠죠. 우리 아빠들도 그러잖아. 술 한 잔 먹으면서 하루의 피로를 푸는 거예요. 그 정도는 이해해줘야지.”
김첨지를 옹호하는 남학생들과 아내의 편인 여학생들 간에 감정이 담긴 논쟁의 목소리가 커졌다.
“아내가 오늘은 나가지 않으면 안 되냐고 했는데 어떻게 그래?”
암호를 해독한 모둠의 아이들은 약속이나 한 듯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없이 아직 해결하지 못한 모둠으로 흩어져 함께 암호를 풀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교실 안은 굉장히 시끌벅적했다. 그 시끌벅적함은 아이들의 움직임에서 나오는 효과음이었고, 누구 하나 큰 목소리로 소리치거나 딴전을 부리지 않았다. 모두가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힘을 합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