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97255054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11-09-15
책 소개
목차
| 서문 | 백 년 전 한국과 일본의 문제 작가
제1부
01 이인직 신소설 <혈(血)의 누(淚)> 연구 - 서사 구성의 특성과 서사적 거리
1. 근대계몽기와 <혈(血)의 누(淚)>
2. 청일전쟁의 반영과 서사 구성
2.1 백성의 수난 확대 구성
2.2 전황 축소 구성
2.3 아시아주의 담론 축소 구성
3. ‘일청전쟁’ 과 서사적 거리
4. 결론
02 이인직 신소설 <은세계(銀世界)>의 서사 구성과 정치적 담론
1. 신소설 <은세계>와 문학적 기록
2 정치 비판 확대의 서사 구성
2.1 부민(富民) 최병도 불법 체포
2.2 향반의 몰락과 관료 학정(虐政)
2.3 민요(民擾) 거부
2.4 주체적 희생과 희생제의(犧牲祭儀)
3 정치 현실 축소의 서사 구성
3.1 부민의 경제적 토대
3.2 김옥균 개혁의 방향성
3.3 정미칠조약(丁未七條約)과 의병운동
4. 정치적 담론
5. 결론
03 일본 명치기 ‘사회소설’ 과 한국 개화기‘신소설’ 비교 연구 - ‘사회소설’과 ‘신소설’의 특성
1. ‘사회소설’과 ‘신소설’의 등장
2. 일본의 ‘사회소설’
3. 한국의 ‘신소설’
4. 결론
04 일본 사회소설 <흑조(黑潮)>와 한국 신소설 <은세계(銀世界)> 비교 연구(1) - 장르 특성과 서사 구성
1. <흑조>·<은세계>와 문학적 기록
2. 장르 특성
2.1 사회소설 <흑조>
2.2 신소설 <은세계>
3. 서사 구성
3.1 발단 구성 :연예회(犧牲祭儀)와 폭설
3.2 확대 구성 :정책 논쟁과 희생제의 (犧牲祭儀)
3.3결말 구성 :패배 인식과 유지(遺志) 계승의 신교육
4. 결론
05 <은세계(銀世界)>와 <흑조(黑潮)> 비교 연구(2) - 1900년대 한일 문제소설 속의 역사적 인물 기술과 작가 담론
1. <은세계>·<흑조>와 역사적 인물
2. <은세계)>의 김옥균 기술과 작가 담론
2.1 김옥균과 민권사상
2.2 김옥균 죽음 기술과 작가 담론
3. <흑조>의 메이지 유신 삼걸 기술과 작가 담론
3.1 사이코, 오쿠보, 기도 기술과 그 영향력
3.2 메이지 정부의 실력과 작가 담론
4. 결론
제2부
06 근대 일본과 한국의 사회진화론과 아나키즘 연구 - 고토쿠 슈스이와 신채호를 중심으로
1. 사회진화론 수용
2. 고토쿠 슈스이와 사회주의 이상(理想) 실현의 사회진화론
3. 신채호와 자강(自强)의 사회진화론
4. ‘직접 행동’ 아나키즘
5. 민중혁명의 아나키즘
6. 결론
07 고토쿠 슈스이의 <기독말살론> 비판 - 사회진화론을 중심으로
1. 사회주의자 고토쿠 슈스이
2. <기독말살론> 비판
2.1 고토쿠 슈스이와 사회진화론
2.2 <기독말살론>과 사회진화론
2.3 <기독말살론>의 문제점
3. 결론
08 신채호 아나키즘 사상의 문학적 형상화 - 하늘(天)과 용(龍) 이미지의 전도(顚倒)
1. 신채호의 소설 <용과 용의 대격전>
2. 아나키즘과 신채호의 혁명 담론
3. 하늘(天)과 용(龍) 이미지의 전도(顚倒)
3.1 하늘과 지배 이데올로기 전도
3.2 용 이미지의 분열과 드래곤의 형상 부재
4. 고토쿠 슈스이의 <기독말살론>과 용(龍) 이미지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