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향파 이주홍 선생의 다양한 편모

향파 이주홍 선생의 다양한 편모

(해양인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남송우 (지은이)
(주)베토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향파 이주홍 선생의 다양한 편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향파 이주홍 선생의 다양한 편모 (해양인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96696658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향파 이주홍은 우리나라 해양인문학의 뿌리다. 그는 해양문학의 장을 열었다. 80여년의 향파 생애는 외세의 침략과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삶이었고, 해방기의 좌우익의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인간의 삶의 본질을 시, 소설, 수필, 희곡, 회화, 서예 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통해 형상화시켰다.

목차

Ⅰ. 향파와 해양인문학
향파 이주홍과 유년의 문학 수업 12
해양문학을 통해 해양인문학에 이르는 길 19
향파 선생의 바다인식 23
바다는 생명의 원천이자 생명을 삼키는 공간 27
죽음을 넘어선 바다에 대한 집념 32
바다를 향한 관심은 노래가사 작시로 번져 36
바다로 나아가는 청년상 40
물고기를 의인화한 동화의 세계 44
멸치 이야기 48
동화 「꼬리 긴 물고기」에 나타난 동심 52
숭어와 광어 탄생 이야기 56
동시 속의 바다 노래 60
「아침 새우」에 나타난 동화적 상상력 65

Ⅱ. 향파 문학과 인문정신
인문학으로서의 문학 72
등단작품 「배암새끼의 무도」가 지니는 의미 76
개구리와 두꺼비 이야기의 현재성 80
연극활동과 인문교육 정신 85
향파가 생각하는 문학정신이란? 89
소설 속 일상에 부대끼는 인간상 93
수필에서 확인하는 시적 감수성 97
방파제에서 펼쳐진 사랑 이야기 101
「섬에서 온 아이」 속에 숨긴 동심 106
「청어 뼈다귀」에 얽힌 가난한 이들의 삶의 실체 110
소년소설 「도둑섬과 김장군」에 나타나는 영웅담 114
소년소설 「아름다운 고향」에 나타나는 역사의식 119
「피리부는 소년」에 나타난 고통의 의미 124
역사 속 인물을 인문정신으로 재구성 128
이순신 장군을 활용한 어린이용 연극 132
「메아리」에 담긴 생태학적 사유 137
이주홍이 그려낸 어머니상 141
개미가 부지런해진 사연 146
소가 된 게으름뱅이 이야기 152
「우렁이 아내」가 주는 현재적 의미 157
소년소설 『정만서 무전여행기』에 나타난 익살들 162

Ⅲ. 향파와 매체
『갈숲』에 스민 향파의 인생 가을 내음 170
『갈숲』에 실린 향파의 일기가 지닌 문화사적 의의 (1) 175
『갈숲』에 실린 향파의 일기가 지닌 문화사적 의의 (2) 180
『갈숲』에 실린 향파의 일기가 지닌 문화사적 의의 (3) 185
『갈숲』에 실린 향파의 일기가 지닌 문화사적 의의 (4) 190
1960년대 《문학 시대》가 지닌 문예지로서의 성격 195
향파 이주홍 선생이 주관한 동인지 《윤좌》 246
《윤좌》 속에 남겨진 향파 선생의 흔적 (1) 318
《윤좌》 에 남겨진 향파 선생의 흔적 (2) 323

Ⅳ. 향파의 삶과 문학
향파 이주홍의 삶과 문학 330
향파와 요산 문학의 근저 더듬기 355
향파 이주홍과 소파 방정환 379

저자소개

남송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1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윤동주 시에 나타난 자기의 문제」로 당선해 등단하였다. 한국문학회 회장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이다. 펴낸 평론집으로는 『전환기의 삶과 비평』(1988), 『다원적 세상보기』(1994), 『지역시대의 문화논리』(1995), 『생명과 정신의 시학』(1996), 『대화적 비평론의 모색』(2000), 『비평의 자리 만들기』(2007), 『윤동주 시인의 시와 삶 엿보기』(2007), 『이것저것 그리고 군더더기』(2008), 『부산지역 문화론』(2013), 『지역문학에서 지역문화 연구로』(2018), 『인문학적 사유의 글쓰기』(2018), 『한국 문예비평의 해석학적 연구』(2020), 『고석규 평전』(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내가 진작 이 장자(莊子)의 소요유편(逍遙遊篇)을 읽었더라면 바다라는 것이 얼마나 큰 것이란 공간개념이 생겼을지도 모르는 일이지만 사방을 산으로 에워싼 두메고을 합천(陜川)에서 어린 날을 보낸 나는 바다라는 것이 큰 못만큼 밖에 안 되는 것으로만 알고 있었다. 합천에는 잉어가 많이 나기로 유명한 정양(正陽)못이 있다. 그래서 바다라는 것이 아무리 넓다하더라도 그 정양(正陽)못 몇 개쯤이나 되는 것이겠거니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하늘과의 對話者」중에서, 수대학보 75호,1966년 9월 25일) -향파선생의바다인식 중에서


◯내가 바다를 처음 본 것은 열다섯 살 때 인천엘 가서다. 그러나 고학을 하느라 밥을 몇 때씩이나 굶던 때의 기아의 여행이어서 그 훤출히도 넓은 바다는 도리어 내게 고독과 절망과 두려움만 몰아다 주었다. 그러다가 정말 바다다운 바다는 몇 해 전인가 국도(國島)에 가서 실감할 수가 있었다. 내가 발을 붙이고선 그 섬 이외엔 글자 그대로 일망무제한 대공간! 바다는 영기(靈氣)를 품고서 저 장장한 하늘과 대화 하고 있는 오직 하나만인 생명체인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세월의 증언자 바다! 바다는 어구(漁具)와 산호(珊瑚)의 울안이기 전에 먼저 이 지저분한 육지에 대한 냉엄한 비평자인 것 같게만 생각이 된다.(「하늘과의 對話者」중에서, 수대학보 75호,1966년 9월 25일) -향파선생의바다인식 중에서


◯1963년 12월30일 일어났던 사고로 어선은 침몰하고 선원 전원이 남태평양의 고혼이 되었다. 선장 강정주씨(어업학과 13기생)를 포함하여 최초로 부산수대 졸업생 4명이 바다에서 희생된 사고였다. 이 사고를 접하고 향파 이주홍은 「제2지남호의 영웅들」(1964년 1월 18일 사모아 희생자들의 위령제에서 읊은 조시, 『백경』 7집에 이 시는 게재. 1965, 1, 20)이란 시로 고혼이 된 제자들을 위무했다. 생명을 삼킨 바다를 통해 바다가 내재한 또 다른 측면을 인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가 다음의 조시이다.
지금은 바람을 재우고 / 저 창창한 하늘을 더부러 슬픈 영혼들을 / 달래고 있는가 바다는 ...
지구의 광장, 남태평양의 사모아 / 지금은 망년된 노기를 걷고 사나이들을 오라 / 손짓하고 있는가 바다는...
1내지 2미터 / 미친 휘오리바람에 몸을 물 밑으로 감춘 / 우리의 개척자 제2지남호...
후략... -바다는생명의원천이자생명을삼키는공간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