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억을 공유하라! 스포츠 한국사

기억을 공유하라! 스포츠 한국사

김학균, 배성민, 남정석 (지은이)
이콘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7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500원 -10% 670원 11,480원 >

책 이미지

기억을 공유하라! 스포츠 한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억을 공유하라! 스포츠 한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97453023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2-02-10

책 소개

김일, 차범근, 최동원, 미도파 배구단, 허재, 박찬호, 박세리, 김연아까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울고 웃던 그들을 추억한다. 이 책은 단순히 스포츠의 역사만을 짚어주진 않는다. 스포츠가 우리의 역사와 우리의 생활 속에서 어떻게 같이 숨쉬고 변화하고 살아왔는지를 평범한 작가이자 우리들의 시각으로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스포츠에 관련된 우리들의 추억을 공유하기 위한 책이다.

목차

시작하며… _7

1940~1960년대 스포츠는 눈물이자 희망이다
해방 후부터 60년대까지, 대한민국 스포츠의 시작 _15
통증과 함성 속에 고유명사가 된 김일 _22
인생과 역사, 마라톤의 승자 마라토너 이창훈 _28
백인천 일본 프로야구 진출, 한국 스포츠 해외 수출의 원조 _34
김기수, 국가 주도 경제의 스포츠 버전 _40
선진국 필리핀, 가난한 한국에 체육관을 선물하다 _46
1966년과 2002년, 실미도 축구팀 양지를 아십니까? _52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축구 대회를 만들다-박스컵 _58
스포츠 저널리즘의 시작, 일간스포츠 창간 _66

1970년대 스포츠는 감동이다
1970년 아시안게임 개최 반납, 1년 사이에 무슨 일이 _71
남북 대치에 너덜너덜해진 스포츠 정신, ‘져주기 게임’ _77
한국 여성의 힘과 여자 탁구 세계 제패 _83
복싱 신인왕전,<슈퍼스타K>의 권투 버전에 국민이 열광하다 _89
진정한 무적함대, 여자배구 미도파 _95
홍수환, 스포테이너의 탄생 _101
남자들도 못 한 일, 한국 낭자들의 선전, 1976년·1984년 올림픽 _107
영원한 천하장사 김성률, 씨름판을 통일하다 _113
남자농구 이동균 스포츠 파동, 삼성vs현대 재벌 간 경쟁체제 돌입 _119

1980년대 스포츠는 즐거움이다
광주와 야구, 그리고 선동렬 _127
1980년 아시안컵 축구 4강전, 남북 축구 대결사의 결정적 순간 _133
80년대 최고의 수출 상품 차범근, 세계 최고의 리그를 평정하다 _139
‘쎄울’ 5공의 첫 업적, 올림픽이 유치되다 _145
고교 야구의 마지막 전성기, 선린상고의 불운 _151
‘1982년 프로야구 개막’ 3S 정책이 꽃피우다 _157
컬러TV의 등장과 천하장사 이만기 _163
헝그리복서여서 더 슬펐던 김득구의 죽음 _169
목포의 눈물. 부산갈매기 노래 속 지역감정 골은 깊어만 간다 _175
정의사회 구현, 항의하는 야구 감독 구속 _181
국기 태권도에도 배어든 분단의 흔적 _187
80년대, 스포츠광 대통령을 두다 _193
1988년 올림픽 개최, 독재개발시대 최대의 활황을 맞이하다 _198
팔 빠지게 공을 던졌던 최동원을 추억한다 _204

1990년대 스포츠는 위로다
남북 화해의 상징. 코리아팀 결성 _213
‘오빠부대’의 탄생, 농구 열풍을 이끌다 _219
한국야구의 전환점 메이저리거 박찬호 _225
LPGA를 제패한 ‘요술공주’ 박세리, IMF 시대의 아이콘 되다 _231
프로야구 해태의 9번째 우승과 KIA의 V10사이 _238
IMF 경제 위기와 허재의 불꽃 투혼 _244

2000년 이후 스포츠는 미래다
‘오 필승 코리아!’ 한일월드컵의 4강 신화와 히딩크 감독 _253
이종격투기 열풍, 왜 천하장사와 세계챔피언은 한국을 떠났을까? _260
칸첸중가에는 올랐나? 오은선 파문, 상업 등반의 명과 암 _266
여자 핸드볼, ‘우·생·순’ 신화는 눈물에서 싹텄다 _272
IT붐과 e스포츠, 그리고 ‘테란의 황제’ 임요환의 등장 _278
F1(포뮬러원) 코리아 그랑프리의 개최,
국민 소득에 걸맞은 스포츠의 탄생인가? _285
김연아의 금빛 점프, ‘퀀텀점프’로 이어지다 _292
이영하의 좌절부터 김연아의 환희까지, 한국 동계스포츠 _299
조오련, 최윤희, 그리고 박태환. 서말구, 장재근 그리고……. _305
‘베이스볼 키즈’ 세대의 등장, 그리고 게임사 엔씨소프트의 9구단 창단 _311
베팅한 대로 뛴다, 프로축구 승부조작 스캔들 _318
사라진 성동원두, 동대문의 추억 _324

마치며… _330
1940~199
부록 스포츠와 대한민국의 역사 _333

저자소개

김학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부터 애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에서 일했고, 현재는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을 맡고 있다. 저자는 연말이면 증권사들이 장밋빛 전망을 내놓는 관행에서 벗어나, 리서치센터 연구위원들과 함께 빗나간 전망의 원인을 분석한 「나의 실수」라는 보고서를 발간해 주목을 받았다. 감추고 싶은 실수를 공개적으로 복기한 이유에 대해 “지나간 실수에서 배우지 못하면 가까운 미래는 물론 현실마저 제대로 직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저자는 자기 성찰적 태도와 시장의 역사, 데이터 등에 기반한 깊이 있는 분석으로 투자자들의 신뢰를 받고 있다. 「조선일보」 등 언론 매체에서 선정하는 베스트 애널리스트에 여러 차례 이름을 올렸고, 최근에는 「경향신문」, 「중앙일보」 등에 칼럼을 기고하며 투자자들과의 소통에 힘을 쏟고 있다.
펼치기
배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한국일보, 코스닥위원회를 거쳐 머니투데이에서 일하고 있다. 국민학교(지금의 초등학교) 때 프로야구 출범을 보며 환호하는 어린이였고 중학교 때 아시안게임, 고등학교 때 88올림픽, 직장인이 돼서 년 월드컵을 경험했다. 연이어 창간한 스포츠신문을 보느라 성적이 떨어졌다고 핑계를 대기도 했고 오승환, 이상훈, 최동원(이상 야구), 방수현(배드민턴) 선수와 동문인 것에 가끔 우쭐해지곤 한다. 이전에는 스포츠 스타와 경기 결과에 대한 관심이 주였다면 기자가 되고 나서는 스포츠를 대할 때나 일을 할 때 ‘사람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일을 하자’고 스스로 다짐한다. 스타든, 팬이든, 스포츠든, 역사든 사람이 주인공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펼치기
남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을 전공한 후 광고회사인 대홍기획을 거쳐 스포츠조선에 입사했다. 스포츠팀에서 프로야구, 프로축구, 프로농구, 모터스포츠 등을 취재하며 2002년 한일월드컵과 부산아시안게임, 2004년 아테네올림픽, 다수의 F1 그랑프리를 현장에서 지켜봤다. 문화레저팀에서는 등산과 레포츠, 여행, 그리고 경제산업팀에서는 게임과 e스포츠를 담당했다. 2012년 현재는 스포츠팀에서 스포츠와 게임 산업을 함께 담당하며 ‘융합형 기자’를 시도하고 있다. 자신의 분야에서 정직한 땀을 흘리는 사람들을 만나고, 가슴 뛰는 스포츠 현장을 누비는 것에 보람과 재미를 느끼며 살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먹는 것, 입는 것 다 좋아졌으니 운동선수가 운동만 생각했으면 좋겠다.”
굶주렸던 조선의 청년은 대한만국 태극기를 가슴에 달았지만 여전히 배고픔에 시달려야 했다. 그들은 이를 악물고 달려야 하는 마라톤이거나 역기를 들어 올리는 역도에서, 혹은 죽을힘을 다해 치고받는 권투에서 빼어난 성과를 냈다. 미는 뒷전이었고 힘이 앞섰다. 투박하지만 그들의 팔뚝은 불뚝거렸고 낡은 유니폼은 땀에 절었다. 빛바랜 사진 속 울고 웃는 그들은 우리의 아버지이지 할아버지였다.
해방 후부터 60년대까지, 대한민국 스포츠의 시작 중에서-


프로레슬링 선수 김일은 고유명사다. 그를 떠올리면 변변찮은 스포츠 중계가 없던 60~70년대 서민들의 체육관 안, TV속 함성이 연결된다. ‘땡땡땡’으로 경기 종료를 알리는 종소리와 ‘원, 투, 쓰리’로 이어지는 경기 캐스터의 숨 가쁜 경기 중계도 귓가를 맴돈다……하지만 프로레슬링의 인기는 오래가지 않았다. 야구, 농구 등 각종 스포츠로 볼 것이 많아지고 약물로 근육을 빵빵하게 키운 WWF 등 미국 프로레슬링의 시대에 단색 경기복만을 입은 배 나온 아저씨들의 아날로그식 프로레슬링은 통하지 않게 된 것이다. ‘프로레슬링은 쇼’라는 고백은 여전히 레슬러들의 발목을 잡았다……화끈한 박치기의 추억을 남기고 반칙이 특기인 일본 선수들은 박치기와 코브라 트위스트, 풍차돌리기 등으로 혼내주던 김일의 모습에서 국민들은 쾌감을 넘어선 승리감마저 느꼈다. 그가 떠난 날 환호와 추억은 사라졌다. 프로레슬링의 한 페이지이자 한 세기도 끝이 났다.
통증과 함성 속에 고유명사가 된 김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