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8899745388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7-07-07
책 소개
목차
1장 위험관리
1. 피습 그 후 -008
2. 스크랩 -013
3. 고민, 점심시간 -018
4. 사고의 방법 -021
5. 1년 전 사건 -028
6. 누구의 짓일까 -032
7. 현재진행형 -038
8. 위험관리의 필요성 -048
9. 매뉴얼 -057
10. 생활 속의 위험관리 -067
* 로이의 노트 -079
2장 가치사슬
1. 가치사슬 -082
2. 연결고리 -092
3. 재무상태표 -103
4. 손익계산서 -123
5. 재무제표 분석 -132
6. 재무회계보다 관리회계 -142
7. 기업소득세 납부신고서 -148
* 로이의 노트 -156
3장 개인소득세
1. 김 부장의 출장 -160
2. 개념 정의의 중요성 -167
3. 거주자와 비거주자 -175
4. 한중조세협정 -182
5. 국가별 조세협정 -190
6. 주재원의 개인소득세 -199
7. 차지백 구조 -207
8. 5년 이상 거주한 경우 -213
9. 개인소득세 계산 ?221
10. 공제사항 -231
11. 상여에 대한 개인소득세 계산 -241
12. 연도신고 -246
* 로이의 노트 -250
4장 고정사업장
1. 고업사업장 이슈 -254
2. 고정사업장의 정의 -270
3. 고정사업장을 알아야 하는 이유 -277
4. 현 과장은 어떻게 해야 할까 -285
5. 고정사업장의 구성요건 -291
6. 비구성요건 -305
7. 고정사업장의 구성효과-개인소득세 -315
8. 고정사업장의 구성효과-기업소득세 -322
9. 그럼 그 대책은? -328
10. 주재원의 고정사업장 구성 -332
* 로이의 노트 -342
5장 협력업체
1. 선배의 탄식 -346
2. 협력업체의 고민 -353
3. 다르지만 같은 고민 -362
4. 우리의 고민 -370
5. 세계는 지금 -376
6. 가치사슬의 확장 -383
* 로이의 노트 -391
저자소개
책속에서
회사에서는 이번 일을 계기로 위험관리(risk management)의 영역을 확장하여 회사 비즈니스의 위험관리뿐 아니라 임직원의 안전관리를 포함한 전방위 관리를 할 필요가 있겠어요. 특히 환경을 잘 모르는 해외사업장에서는 말이지요. 모든 나라에는 그 나라의 특색이 있습니다. 그것이 위험으로 작용할 때 우리는 이를 컨트리 리스크(country risk)라고 하지요. (p. 9)
중국은 한국보다 이직률이 높습니다. 많은 투자를 해서 교육을 하면 이직하지요. 안타깝기는 하지만 자신들의 이상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니 보는 관점이 다를 뿐 뭐라 비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직률이 높은데 계속 같은 업무 수준을 유지하려면 매뉴얼이 더욱 중요합니다. 또 하나, 긴급상황 대처 시에 매우 중요합니다.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당황하면 평소와 달리 마음이 급하다 보니 실수하기가 쉽습니다. 이럴 때 잘 정비된 매뉴얼은 힘을 발휘하지요. 결국 시간을 단축해서 업무효율을 증진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p. 65)
관리를 위해서는 일단 회사가 어떻게 구성되어 돌아가고 있는지를 아는 게 우선입니다. 회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들의 전체적인 흐름을 큰 틀에서 개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다음에 각 분야별 주요사항들을 알아보는 것이지요. 숲을 먼저 알고서 숲 안으로 들어가 나무를 보자는 것입니다. (p.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