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암
· ISBN : 9788997495078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3-11-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들어가며
제1부 기초편
01 면역치료로 암을 죽일 수 있을까?
02 자연-선천면역 ‘NK, NKT세포’의 특성, 안전성
03 수지상세포란 무엇인가?발견의 역사
04 암항원의 확인과 항원 제시
05 교차제시란
06 암백신의 역사
제2부 임상편
01 암백신 치료를 위한 수지상세포를 만드는 방법과 배양과정
02 세포배양을 위한 청정실의 기준
03 수지상세포 암백신 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암 종류
04 HLA검사와 인공항원 선택
05 수지상세포 암백신 투여법
06 수지상세포 암백신과 병용요법
07 항암제와 병용할 때 주의사항
08 치료효과 판정 기준과 유해사상 판정 기준
09 암 유전자검사의 새로운 시도
10 지금까지 면역치료요법의 성과
11 장기별 수지상세포 암백신의 치료효과
12 펩타이드 백신과의 상위(相違)
13 이후 전망
맺음말
용어해설
책속에서
수지상세포는 골수 중의 미숙한 전구세포로부터 분화된 백혈구의 일종으로 말초조직에서 나뭇가지 모양으로 여러 가닥으로 뻗은 돌기 모양에서 명명되었다. 수지상세포는 혈류에 의해 운반되어 몸속의 모든 조직과 기관에 분포하고 있다. 확인된 장소에 따라 다른 이름이 붙여진다. 예를 들면 표피의 세포는 랑겔한스세포, 흉선의 수질와 림프절의 부피질세포는 상호연결성감입세포, 수입림프관 내의 세포는 벨세포, 근육 내의 세포는 간질세포 등이다. 현재 수지상세포로 알려진 세포 중 최초로 발견된 것은 1868년 독일의 파울 랑게르한스가 표피에서 발견한 랑겔한스세포이다.
대단히 드물기는 하지만 암환자가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있다. 면역부전 환자와 고령자에게는 암 발생이 많다. 누드마우스는 T세포 기능이 없지만 암이 잘 생기지 않는다. 이는 암이 면역과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을 보여 주는데, 면역력을 증강시켜 암을 배제하려는 실험이 바로 암백신의 역사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수지상세포는 소장, 간, 피부 등에 일부 존재하지만 말초혈액에는 백혈구의 0.1% 미만의극히 소량에 그쳐 환자의 혈액에서 채취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는 것이 문제였다. 그나마 장기로부터 채취하는 것도 힘들어 수지상세포요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이 높은 벽이었는데 1996년 세계 최초로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의 아카가와 키요코 의학박사가 ‘혈액의 단구가 GM-CSF와 IL-4에 의해 미숙한 수지상세포로 분화’한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이후 각국에서 추가 실험을 통해 그 결과가 확인돼 정당성을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