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88997581344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13-10-04
책 소개
목차
1 교육, 가르침에서 가리킴으로
001 교사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 수업 명인을 목표로 삼은 교사의 철저한 수업 훈련
002 교사를 춤추게 하라 | 갈등 속에 있는 사람이 더 좋은 선생이 될 수 있다
003 교사와 학생 사이 | 그래도 교사는 교사다
004 교실의 고백 | 학교 교육 ‘불편한 진실’을 말하다
005 강수돌 교수의 ‘나부터’ 교육혁명 | 교육은 삶의 문제
006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 감정은 충분히 받아 주고 행동은 바르게 고쳐 주기
007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 삐딱하게 보아야 바로 볼 수 있다
008 사랑으로 매긴 성적표 | 오직 사랑하고 믿을 뿐
009 사유하는 교사 | 삶의 안내자로서 교사의 소명
010 성깔 있는 나무들 | 아이들은 제 성깔을 제거해 버린 합판이 아니다
011 쓰뭉 선생의 좌충우돌기 | 소심하게, 그러나 아주 세심한 사랑법
012 아들 심리학 | 남자다워야 한다?
013 어떻게 아이들을 사랑해야 하는가 | 우리는 아이를 모른다
014 5차원 전면교육 학습법 | 인간 능력을 극대화하는 전인격적 입체 학습법
015 웃기는 학교 웃지 않는 아이들 | 교육과 입시에 관한 불편한 진실
016 핀란드 교실혁명 | 경쟁하지 않고 이기게 만드는, 희망의 공부법
2 치유, 건강하게, 더불어 아름답게
017 그건, 사랑이었네 | 늘 새로운 문을 두드리는 사람
018 내 생애 단 한 번 | 현재에 충실하라
019 당신을 살리는 기적의 자연치유 |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것이 자연치유
020 상처 위에 피는 꽃 |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021 소심하고 겁 많고 까탈스러운 여자 혼자 떠나는 걷기 여행 1 | 길 위에서의 만남
022 스님의 주례사 | 사랑할 권리는 있지만 사랑을 요구할 권리는 없다
023 온전함에 이르는 대화 | 영혼의 귀로 듣고 내면의 목소리로 말하는 법
024 인생 수업 | 죽음을 앞둔 자유로운 영혼들의 이야기
025 자연 그대로 먹어라 | 자연인의 삶은 밥상에서 시작된다
026 천 개의 공감 | 생의 외로운 줄다리기를 하는 이들에게
3 철학, 사람의 길의 묻다
027 3분 고전 | 고전은 처세술이 아니다
028 겨울부채 | 겨울부채 베껴 쓰기
029 고민하는 힘 | 모든 아름다움은 어둠을 거쳐 피어난다
030 나락 한알 속의 우주 | 책 읽는 기쁨, 스승 만나기
031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 이야기 | 몸과 마음과 삶의 터전을 두루 살피는 공부
032 미쳐야 미친다 | 11만 3천 번을 읽다
033 사랑 아닌 것이 없다 | 사물이 깨우쳐 준 이야기
034 여시아문 | 선생은 완전한 학생이다
035 처음처럼 | 마치 아침처럼, 새봄처럼, 처음처럼
036 할아버지 무릎에 앉아서 | 세상을 질문하는 아이들과 할아버지의 손 글씨 답장
037 행복하기란 얼마나 쉬운가 | 하느님께 닿는 길
038 홀로 걸으라, 그대 가장 행복한 이여 | 12살 구탐바자이, 비노바의 걷기 수행을 작은 카메라에 담다
4 문학, 작가와 함께 닷새, 집을 비우는 기분으로
039 난설헌 | 시대와 불화한 천재 시인
040 눈물은 왜 짠가 | 이렇게 빛나는, 가난한 노래의 씨앗
041 땡전 한 푼 없이 떠난 세계여행 | 세상 끝! 나는 그곳에 가고 싶었다
042 멋지기 때문에 놀러 왔지 | 이옥과 김려, 두 선비의 우정과 문학
043 사랑한다면 | 저급한 사회에 대한 가슴 찡한 연가
044 속 시원한 글쓰기 | 뻔뻔한 글쓰기를 위하여
045 아름다운 마무리 | 아름다운 마무리는 새로운 시작
046 안나의 즐거운 인생 비법 | 배움과 도전, 나눔을 멈추지 않는 금빛 인생
047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 1 | 수능문제집에서 풀려난 시들
048 엄마를 부탁해 | 엄마를 사랑할 시간이 아직 남아 있다
049 임꺽정 | 길들지 아니한 생마와 같은, 알잠 사람
050 책은 도끼다 | 도끼는 장작 패기만을 도모하지 않는다
051 천천히 읽기를 권함 | 책을 너무 많이 읽어선 안 된다
052 허수아비 춤 | 돈에 환장한 인간들의 작태
053 호미 | 칠십 평생 성실한 기록자로 살아온 작가의 지혜
5 사회·역사, 걸어온 길, 함께 걸어갈 길
054 21세기에는 지켜야 할 자존심 | 공존과 연대로서의 자존심
055 곰브리치 세계사 | 영화보다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056 녹색평론 | 농민에게 용기와 위로를
057 당신을 사랑합니다 | 삶을 온전하게 끌어안은 사람들
058 마을에서 희망을 만나다 | 함께 잘 살 수 없을까?
059 밥상 혁명 | 두부 좋아하는 당신, ‘라운드업 레디’를 아십니까?
060 빼앗긴 문화재를 말하다 | 빼앗긴 문화재 되찾기 운동 5년
061 시로 쓰는 한국 근대사 | 모든 삶은 기록된다
062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다 | 아직도 못 이룬 나의 꿈, 밤무대 가수
063 육식의 종말 | 배부른 소 떼와 굶주린 사람들
064 이장이 된 교수, 전원일기를 쓰다 | 땅과 사람에게 답이 있다
065 잡지, 시대를 철하다 | 어제에서 오늘을 배운다
066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 | 18세기 조선의 문화 투쟁
067 팔만대장경도 모르면 빨래판이다 | 역사에 대한 성찰, 나에 대한 성찰
068 휴먼 필 | 인권 감수성의 현주소를 말하다
069 희망을 여행하라 | 우리의 여행은 괜찮은 걸까?
6 생태, 자연의 달력에 따라 살기
070 9월이여, 오라 | 아픈 눈을 떠야 한다
071 거 봐, 비우니까 채워지잖아 | 적게 벌어 행복하게 사는 가족 이야기
072 기적의 사과 | 내 눈과 손이 곧 농약이고 비료다
073 꽃짐 | 새와 돌, 지렁이, 논두렁, 자전거에게 상 주기
074 나무에게 배운다 | 나무, 건축 그리고 가르침에 관한 아름답고 깊은 통찰
075 날아라 새들아 | 터전에 대한 인간의 예의
076 산에서 살다 | 한 포기 풀을 존경하기
077 여기에 사는 즐거움 | 지금 이 자리, 곧 ‘여기’가 교회인 삶
078 오래된 미래 | 전통 마을에서 찾는 인류의 미래
079 월든 | 자주적 인간의 독립 선언문
080 자연달력 제철밥상 |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라 살기
081 잡초는 없다 | 자연은 제 빛깔로 살아 숨 쉬는 공동체
7 건축, 사람을 담는 그릇
082 건축, 권력과 욕망을 말하다 | 욕망의 반영물, 건축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083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 건축 감상법, 기초에서 심화까지
084 건축의 외부공간 | 바닥과 벽으로 형성되는 공간
085 건축이란 무엇인가 | 비주류 건축가 11명의 건축 단상
086 배흘림기둥의 고백 | 전통 건축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다양한 이해
087 사우스 마운틴 이야기 | ‘더 크게’가 아니라 ‘더 깊이 있게’ 성장하기
088 한옥에 살어리랏다 | 비울수록 채워지고 나눌수록 커지는 집
089 흙집으로 돌아가다 | 흙집 짓기,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대안
8 청소년, 그들의 세상을 응원하다
090 GO | 국적도 민족도 아닌 연애 이야기
091 과학 개념어 상상사전 | 과학 지식의 보물 창고
092 꿈을 살다 | 꿈을 현실로 만든 사람들
093 내가 믿는 이것 | 희망의 힘을 믿는다
094 동시 삼베치마 | 비가 오면 비를 맞고, 눈이 오면 눈을 맞고
095 방자 왈왈 | 이몽룡을 제친 유쾌한 주인공 방자
096 보통이 뭔데? | 한 장애인이 청소년에게 묻다
097 잠든 우리말을 깨우다 | 언어의 저장고를 늘리는 기쁨
098 전갈의 아이 | 인간 복제에 관한 되물음
099 케스-매와 소년 | 훈련되지 않는 야성,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매와 소년
100 토메이토와 포테이토 |사춘기를 거치지 않은 어른이 있는가?
좌담 | 시골 학교 교사들의 책 읽기
저자 소개
도서 목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글을 써 본 적이 없는 시골 학교 교사들이 모여 이렇게 책을 엮게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글을 쓰려고 한 것은 아닙니다. 충남 청양중학교의 교사 일곱 명이 한 달에 한 번씩 만나기로 했습니다. 그냥 만나는 게 아니라 책을 한 권 읽고 만나기로 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무슨 생각을 했는지, 어떤 느낌이 들었는지 이야기를 하자고 했습니다. 이유는 딱 하나였습니다. 뭔가 신 나고 재미있는 일을 한번 해 보자는 것. 지하철을 타 보면 휴대폰을 들여다보고 있지 않은 사람을 찾아보기 힘든 것처럼 교무실에도 컴퓨터 화면을 들여다보고 있지 않은 교사가 없습니다. 모두 업무 포털에 접속하여 하루만 열지 않아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공문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교사는 학생들을 바라볼 틈이 없습니다. 자신을 돌아볼 여유는 더더욱 없습니다.
이렇게 이상한 세상에서 걸음을 멈추고 생각이란 걸 한번 해 보자고, 이제 학교에서는 거의 불가능해진, 신 나고 재미있는 일을 한번 만들어 보자고 시작한 것이 ‘책 읽기’였습니다. 운동도 아니고 음주 가무도 아닌 책 읽기가 신기하게도 숨 막히는 학교 생활에 조그만 창窓을 열어 주었습니다. 창을 넘어 시원한 바람이 불어왔습니다. 아무리 바빠도 독서 모임 하는 날
이 되면 만사를 제쳐 두고 교무실을 나섰습니다. 책을 읽고 교사들은 자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응시하게 된 자신의 삶에 대하여 어눌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책의 메시지에 부딪히고, 저항을 느끼고, 통째로 흔들리는 것을 경험하면서 인간으로서, 교사로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처음엔 일곱 명의 조촐한 사랑방 모임이었는데 회원들이 하나 둘 늘고 신학기 이동에 따라 근무하는 곳도 공주, 아산, 천안까지 넓어지게 되었습니다. 소문을 듣고 ‘청양신문사’에서 선생님들이 무슨 책을 읽는지 소개해줄 수 있겠느냐는 요청을 해 왔습니다. 대부분 글을 써 본 일이 없는 교사들이어서 처음엔 모두 난색을 보였지만 결국 서툰 대로 책 소개 글을 연재하기로 했습니다. 지역에서 발행되는 신문은 중앙 일간지보다 지역 독자가 많습니다. 교사의 독후감이 학생과 학부모, 지역민들 그리고 다른 교사들에게 독서의 계기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처음 글을 써 보는 교사들은 차례가 다가오면 몸살을 앓았습니다. 잘 쓰진 못해도 성실하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밤잠을 설치면서 애를 썼습니다. 그렇게 쓴 원고 중에서 100편을 추려 묶은 것이 이 책입니다.
우리는 교사이므로 교육을 가장 중심에 두고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고, 우리의 터전에 닥친 문제들 중에서도 가장 절박한 생태 환경의 붕괴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문학도 즐겼고 역사의 한 지점을 함께 사는 인간이며 공동체의 구성원인 자신의 위치를 끊임없이 일깨워 줄 수 있는 책과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과는 너무도 동떨어져서 공염불처럼 느껴지는 동서양의 교육 철학, 성찰의 글도 찾아 읽었습니다. 우리가 얼마나 멀리 와 버렸는지, 점점 더 멀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중략)
이런 소모임이 여러 곳에서 생겨나 교사와 교사 사이, 교사와 학생 사이, 교사와 학부모 사이, 학부모와 자녀 사이, 학부모와 학부모 사이, 학생과 학생 사이 그러니까 가까운 모든 이웃 사이에 책이라는 징검돌이 놓이고 빛나는 사귐이 일어나길, 함께 성장하는 기쁨을 누리길 바라는 마음으로 출간을 권유했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선생님들의 책꽂이에서 학생들이 책을 많이 뽑아 갔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배우면서 함께 걸어가야 할 가장 절친한 벗이니까요.
- 책을 내면서(본문 8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