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국립광주박물관 (지은이)
디자인나눔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97595662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21-07-30

책 소개

국립광주박물관은 발굴 30주년을 기념하며 특별전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를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처음으로 고분 출토 유물을 한데 모아 전시하고, 그간의 발굴 과정과 학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분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자리이다.

목차

01 뜻밖의 발견, 드러난 실체
02 죽음과 삶, 기억의 공간
03 무덤 속 비밀의 실마리
04 반듯한 돌방 속 시대의 반영
부록

책속에서

함평 신덕 1호 무덤 금동관의 관찰
금동관으로 추정되는 파편이 함평 신덕 1호분 돌방의 관대석 중앙부에 인접한 남·북쪽의 바 닥면에서 산발적으로 출토되었다. 파편의 형태로 보았을 때 금동관의 대부帶部와 이에 부착 된 입식立飾으로 추정되는데, 표면에 금박이 남아있는 편이 있어 금동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는 심하게 파손되었지만 가장 큰 편을 보았을 때 최대 높이는 10cm 정도로 판단된다. 남은 형태로 추정해 볼 때 대부가 2개의 산을 이루는 모양인 광대이산식 관廣帯二山式冠으로 추정한 다. 문양은 타출기법으로 여러 개의 점을 연달아 찍어 선으로 표현하였다. 위쪽 가장자리와 아 래쪽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1줄의 점열문을 시문하였고, 두 줄의 점열문 사이에는 육각문을 표 현하였다. 대부에 시문된 육각문은 기본적으로 한 변이 상하에, 꼭짓점이 좌우에 위치하는 형 태( )이다. 육각문 내부에는 꽃무늬가 표현되어 있는데 타출기법으로 꽃술花柱과 꽃잎花弁을 표현하였다. 꽃술은 중앙 점문과 그 주위를 감싸는 점원문을 금속판 안쪽에서 시문하였고, 여 기에 5개의 점원문을 금속판 바깥쪽에서 시문하여 꽃잎을 묘사하였다. 꽃술 부분에는 남색이 나 녹색의 유리구슬을 부착하였다. 대부의 가장자리에 시문된 점열문과 겹치게 2공 1조의 구 멍이 뚫려있으며, 구멍에는 금속제 실이 확인된다. 녹색의 연주형유리구슬이 부착된 금속판도 확인되는데, 구슬을 금속판에 부착한 방법은 알 수 없다. 또한 직물 흔적이 있는 파편의 뒷쪽에 대부 뒤를 보강하기 위해 천을 고정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달개 장식은 원형圓形과 물고기형魚形이 확인된다. 기본적으로 원형 장식은 육각문의 꼭짓점 6곳에 부착된다. 원형 장식을 매단 금속제 실을 꼭짓점에 뚫은 2개의 구멍에 통과시키고 안쪽 에서 접어서 고정하였다. 물고기형 장식은 따로 떨어져서 수습되어 원래 부착된 위치를 확정 하기 어렵다.
입식은 나무줄기로부터 가지가 좌우로 뻗어나가는 모양인데, 좌우가 대칭으로 제작되었다. 가 장자리를 따라 점열문, 중앙에는 파상문을 시문하였고 남색 유리구슬과 원형 달개 장식을 부착 하여 장식하였다. 꽃무늬가 시문된 대부편의 바깥에 입식으로 추정되는 편이 못으로 고정된 조 각도 확인되어, 입식은 대부의 바깥 면에 고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로 문양 등 장식 요소가 대부 편의 것과 유사한 금동 조각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시문 된 육각문의 한 변이 좌우에, 꼭짓점이 상하에 위치하는 형태( )로, 대부와는 다른 특징을 보 인다. 또 대부를 이루는 편에 비해 휘어진 정도가 심하다. 따라서 대부나 입식이 아닌 별도의 장식품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속발束? 묶은 머리을 덮어씌우는 반통형금구半筒形金具로 추정된다高田貫太 2021. 추가로 대부에는 못으로 고정된 별도의 금속판이 확인된다. 현재는 파 손되었으나 원래 가로로 긴 한 매의 부품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금속판에는 남색의 유 리구슬이 부착되어있고 달개 장식을 부착하기 위한 2개의 구멍도 존재하는데, 이는 대부의 중 앙을 장식하는 접형금구蝶形金具로 추정된다高田貫太 2021. 반통형금구와 접형금구는 왜일본의 광대이산식 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