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와 식민지 근대 (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9773529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3-10-29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9773529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3-10-29
책 소개
식민지 근대 시기에 종교 개념이 어떻게 법을 통해 제도화되었으며 식민지민들의 기억 속에 내면화되어 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라는 장에서 펼쳐진 근대 경험을 총체적으로 대상화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 종교를 통해 인문학을 다시 본다/ 윤해동
서장 - 제국사로 종교를 논하다/ 이소마에 준이치
1부 종교 개념과 제국사
1장 1910년 전후 ‘종교’ 개념의 행방_제국사적 관점에서/ 김태훈
2장 일제시대 종교 개념의 편성_종교 개념의 제도화와 내면화/ 장석만
2부 일상생활에서의 종교 포교
3장 1910년대 최중진의 자유교회와 그 주변_축첩과 제사를 둘러싸고/ 배귀득
4장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 불교의 사회사업을 통해 본 ‘식민지 공공성’/ 제점숙
3부 국가신도와 유사종교론
5장 종교 개념과 국가신도론_‘제국=식민지’를 중심으로/ 가쓰라지마 노부히로
6장 조선총독부의 신사정책과 유사종교_국가신도 논리를 중심으로/ 아오노 마사아키
4부 국가신도와 고유종교론
7장 식민지 조선과 종교 개념에 관한 담론 편성_국가신도와 고유신앙의 틈새/ 이소마에 준이치
8장 ‘방법’으로서의 최남선_보편성을 정초하는 식민지/ 심희찬
5부 조선민속학과 고유신앙
9장 일본인의 조선민속학과 식민주의_민간신앙론을 중심으로/ 남근우
10장 일제시대 무속 담론의 형성과 근대적 재현_식민 담론의 양의성/ 김성례
종장 - 식민지 근대와 종교_종교 개념과 공공성/ 윤해동
보론 - 종교 연구의 돌파구_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콜로니얼 비평·포스트세속주의/ 이소마에 준이치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