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97863228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4-01-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1. 꿈 이론
1장 : 다중 의식
2장 : 우리는 왜 꿈을 꾸는 걸까?
3장 : 치유와 꿈
4장 : 꿈을 통한 영혼 만들기
5장 : 꿈의 단계와 꿈의 언어
6장 : 꿈과 함께하기
7장 : 꿈에 나오는 상징과 이미지
PART2. 개인 무의식
8장 : 꿈을 이루는 네 가지 요소
9장 : 꿈에 나오는 사람들
10장 : 꿈속의 동물
11장 : 꿈속의 새
12장 : 꿈속의 음식
13장 : 꿈속의 건물
14장 : 꿈속의 의복
15장 : 탈것과 여행
16장 : 꿈속의 죽음
17장 : 꿈과 트라우마
PART3. 집단 무의식
18장 : 원형 이미지
19장 : 영웅의 원형
20장 : 원형의 배경
21장 : 괴물의 원형
22장 : 나무의 원형
에필로그
용어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개인적인 경우에는 공허감이 찾아온다. 이 공허감은 어머니 슬하에서 자랄 때 생겨 자신에게 여성적인 무엇인가가 빠진 듯하며, 자신이 어머니가 되었을 때도 엄마 노릇을 잘하지 못하게 만든다. 인류 전체의 역사에서 보면 부계 사회 전통에서 온 힘의 불균형이다. 어머니 대자연과 여성의 역할을 존중해야 하는데도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수천 년 동안 계속된 일이지만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두고 볼 수는 없다. 인류의 상처를 치유하려면, 창조, 생산, 양육,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여성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자가 남자와 평등해져야 세상이 치유될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여자가 스스로를 어떻게 보는가보다 남자가 여자를 어떻게 보는가가 더 중요하다. 그러나 여자 스스로도 그에 일조했다. 여자들은 잘 보이기 위해 과도한 다이어트를 하느라 자신들을 거식증, 대식증으로 몰아가지 않았는가? ‘완벽한 엄마’ 증후군에 빠진 사람 또한 적지 않다.
킴은 어머니 슬하에서 사랑을 받지 못했고 자신을 사랑하지도 못했다고 했다. 아이들에게 좋은 어머니였다고 생각했지만 돌이켜 보면 자녀들과 감정적으로 유대를 맺지 못했다. 슬프지만, 자신이 배운 대로 해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꿈을 꾸기 전에는 잘 몰랐으니 치유할 수도 없었지만 이제는 치유하고 있다. 이전에 하지 못한 것은 안타깝지만 지금이라도 치유를 하고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 본문 18장 「원형 이미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