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7926121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13-05-30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시대발전과 사고력
Ⅰ. 왜 필요한가? 3
Ⅱ. 전통적인 교육의 한계는 무엇인가? 5
Ⅲ. 사고력 교육은 어려운가? 7
1. 몇 가지의 이유 7
2. 하나의 유추 9
Ⅳ. 사고력 교육에 대한 오해 10
Ⅴ. 시대발전, 지식 그리고 사고력 12
1. Toffler의 정보시대 12
2. Sakaiya의 지식가치 시대 13
Ⅵ. 지식가치 사회와 사고력 15
1. 몇 가지의 이론 15
2. 미래 리더의 사고기능과 평생 학습자 20
제 2 장 사고의 성질, 요소와 생리적 기초
Ⅰ. 사고의 성질 29
1. 표상조작으로서의 사고 30
2. 해석과 의미추구로서의 사고 31
3. 효과적인 사고와 비효과적인 사고 32
Ⅱ. 고차적 사고- 사고와 문제해결 33
Ⅲ. 사고의 요소35
1. 사고에 작용하는 요소 35
2. 동기의 유형과 내용 39
Ⅳ. 사고와 문화43
1. 사고와 디지털 문화 43
2. 사고와 부모의 역할 46
3. 사고와 협력학습 48
Ⅴ. 사고의 생리적 기초 50
1. 뇌: 소뇌, 중뇌 그리고 대뇌 50
2. 대뇌반구의 기능과 상호작용 52
Ⅵ. 대뇌의 신경회로와 발달 54
1. 대뇌의 신경회로와 지식의 나무 54
2. 대뇌의 발달적 특징 56
제 3 장 지식, 지능, 언어 그리고 사고
Ⅰ. 지식의 성질 63
Ⅱ. 지식의 측면과 사고 64
1. 지식의 크기 65
2. 지식의 기능성 66
Ⅲ. 지식의 몇 가지 분류68
1. 명제적 지식과 발견적 지식 68
2. 영역 일반적 지식과 영역 구체적 지식 69
3. 학구적 지식과 실제적 · 암묵적 지식 70
4. 유효한 지식과 진부한 지식 71
Ⅳ. 지식의 저장과 함정72
1. 지식 저장의 방식 72
2. 지식의 함정 73
Ⅴ. 사고와 지능 74
1. 고전적인 지능검사 74
2. 지능관의 변화 75
3. 새로운 지능관의 특징 77
4. 성공할 수 있는 지적인 사람 78
Ⅵ. 사고와 언어83
1. 언어 상대성 가설 83
2. 언어, 개념, 그리고 범주 85
3. 사고의 문화와 언어 86
제 4 장 사고와 내용지식
Ⅰ. 사고로서의 지식99
1. 지식내용과 사고의 관계 100
2. 교과수업과 학습에 대한 시사 102
Ⅱ. ‘사고- 지식’의 기능적 관계 104
Ⅲ. 지식내용의 형식 106
1. 사 실 107
2. 개 념 107
3. 일반적 법칙 112
제 5 장 사고과정의 내용과 발달
Ⅰ. 사고과정의 용어와 분류 119
1. 사고과정의 용어 119
2. 사고과정의 분류 120
Ⅱ. 기초적 사고기능 122
1. 관 찰 123
2. 추 리 126
3. 미시적 사고기능 131
Ⅲ. 발달적 사고기능 131
1. 개념형성 132
2. 설 명 132
3. 예 측 133
4. 가설형성 134
Ⅳ. 복합적 사고전략 135
1. 문제해결 136
2. 의사결정 137
3. 비판적 사고 138
4. 창의적 사고 138
Ⅴ. 초인지 사고 139
1. 성 질 139
2. 초인지 사고의 수준 141
3. 초인지 사고의 적용 요령 142
4. 초인지 사고의 개발 요령 146
Ⅵ. 사고의 나선형적 발달 149
1. 내용과 특징 149
2.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예시 152
제 6 장 사고기능의 개발
Ⅰ. 매개와 개발의 조건 163
1. 특성의 기술 163
2. 매개적인 학습경험 165
3. 훈련 재료의 개발 166
Ⅱ. 관 찰167
1. 관찰-확인 168
2. 관찰-차이(변별) 169
3. 관찰-유사성 170
4. 관찰-변별 171
Ⅲ. 비교와 분류171
1. ‘비교와 분류’의 과정 171
2. ‘비교와 분류’의 지도과정 174
3. 기타의 예시적 자료 175
Ⅳ. 순 서177
1. 종 류 177
2. 예시적 자료 180
Ⅴ. 조 직 화181
1. 자료의 조직화 181
2. 조직화의 양식 182
Ⅵ. 추 리184
1. 추리의 성질 184
2. 추리의 유형 185
Ⅶ. 유 추190
1. 유추의 성질 190
2. 예시적 자료 190
3. 유추에 의한 추리 194
제 7 장 독서이해와 독서법
Ⅰ. 글의 성질과 독서이해 199
1. 글/텍스트의 성질 199
2. 글의 이해 200
Ⅱ. 독서의 사고과정과 수준 202
1. 수준 1: 확인과 기억을 위한 독서 202
2. 수준 2: 깊은 이해를 위한 독서 202
3. 수준 3: 비판을 위한 독서 203
4. 수준 4: 종합/창의를 위한 독서 203
Ⅲ. 글/텍스트의 조직구조와 전개형태 204
1. 글의 목적 204
2. 글의 조직구조 205
Ⅳ. 글의 중심내용 207
1. 중심내용의 위치 208
2. 장/절에서의 중심내용 211
Ⅴ. 글의 세부내용212
1. 보 기 212
2. 이 유 213
3. 재 진 술 214
Ⅵ. SSTAR-M 독서법 215
1. 독서이해의 원리 216
2. SSTAR-M 독서법의 6단계 218
Ⅶ. 창의적인 독서 224
1. 예상해 보기 225
2. 읽은 것을 가지고 무엇을 해 보기 226
Ⅷ. 독서이해와 속독 227
1. 안구 운동과 시각 범위 228
2. 속독 훈련의 가정과 오류 230
3. 효율적인 독서 속도 230
제 8 장 비판적 사고(Ⅰ)
Ⅰ. 목적과 특징 235
1. 비판적 사고의 목적 235
2. 비판적 사고의 기능 236
3. 약한 의미와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237
Ⅱ. 비판적 사고의 이론과 성질 238
1. 비판적 사고의 이론 238
2. 비판적 사고의 내용 240
Ⅲ. 논증과 논증문244
1. 주장과 논증문/주장문 244
2. 사실, 의견 그리고 추리를 통한 판단/주장 246
3. 주장과 이유의 확인 248
Ⅳ. 비판적 사고의 과정 250
1. 비판적 사고의 단계 250
2. 주장의 기각과 기각의 이유 255
Ⅴ. 추리의 요소와 지적인 수행 257
1. 추리의 요소 257
2. 추리의 요소와 지적인 수행의 준거 258
3. 추리의 요소와 교과내용 259
Ⅵ. 논리, 논증분석 그리고 비판적 사고 261
1. 논 리 261
2. 논증분석과 비판적 사고, 그리고 형식논리와 비형식논리 263
제 9 장 비판적 사고(Ⅱ)
Ⅰ. 비판적 사고의 개별적인 사고기능 271
Ⅱ. 사고의 태도276
1. 비판적 사고와 사고태도 276
2. 사고태도의 개발 278
Ⅲ. 진실판단과 비판적 사고 279
1. 진실판단의 기준 279
2. 과학적 사고로서의 비판적 사고 280
Ⅳ. 비판적 사고의 ‘전쟁’ 이미지와 건전한 판단 282
1. 비판적 사고의 부정적 이미지 282
2. ‘의도’ 그리고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 284
Ⅴ.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286
1. 내 용 286
2. 대화의 요령 287
Ⅵ. WRAITEC 질문기법 289
1. WRAITEC 질문의 내용 290
2. 질문의 요령 292
3. 적용의 요령 293
제10장 창의적 사고(Ⅰ)
Ⅰ. 창의력의 개념적 이해 297
1. 창의력의 수준적 접근 297
2. 창의력의 4P 298
3. 창의력의 3C 300
4. 창의력의 합류이론 300
Ⅱ. 창의력의 요소, 발산적 사고도구와 가이드라인 301
1. 창의력의 요소 301
2. 발산적 사고도구 304
3. 발산적 사고의 가이드라인 311
Ⅲ. 수렴적 사고와 행위계획의 개발 313
1. 수렴적 사고도구 313
2. 수렴적 사고의 가이드라인 317
3. 행위계획 개발을 위한 사고도구 319
Ⅳ.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의 정신적 과정 320
1. 단계 1: 자료의 수집과 분석 321
2. 단계 2: 관련 자료의 반추와 이해 322
3. 단계 3: 부화의 시간 322
4. 단계 4: 아이디어의 출현 323
5. 단계 5: 아이디어의 개발 323
Ⅴ. 창의적 문제해결324
1. Osborn-Parnes의 CPS 324
2. CPS의 구조와 내용 325
3. 창의적 문제해결의 단계 326
제11장 창의적 사고(Ⅱ)
Ⅰ. 창의력의 개발과 수업 343
1. 창의력과 교과수업 343
2. 창의적 문제해결의 과정 요소별 수업 346
3. 창의적 사고력 수업의 방법 352
Ⅱ. 창의력 교수-학습의 일반적 요령 353
1. 창의적 사고기능의 교수-학습 354
2. 창의적 사고태도의 교수-학습 357
3. 창의적 초인지기능의 교수-학습 359
Ⅲ. 창의력 교육의 자세 361
1. 적극적인 사고 362
2. 새로운 방식을 추구하는 사고 363
3. 폭넓은 사고 363
제12장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Ⅰ. 문제와 문제해결 367
1. 문 제 367
2. 문제해결 368
3. 의사결정 370
Ⅱ. 문제해결의 단계 373
1. 일반적 문제해결의 단계 373
2. 과학적 문제해결의 단계 375
Ⅲ. 문제의 표상과 해결전략 377
1. 효과적인 문제 표상의 방법 378
2. 문제해결의 전략 380
Ⅳ. 문제해결 전략의 수업 381
1. 문제해결 수업의 전제 382
2. 문제해결 탐구학습의 수업모형 383
3. 탐구적 수업의 예시 386
제13장 사고력 수업(Ⅰ)
Ⅰ. 사고력 개발과 수업 395
1. 사고력 중심의 수업 395
2. 사고력 중심 통합적 수업의 유형 397
Ⅱ. 사고력 수업의 접근법 400
1. 통합적 사고력 수업의 구조 400
2. 교과내용과 사고기능/전략의 통합 접근법 402
Ⅲ. 사고력 수업의 설계 403
1. 사고력 수업과 ‘사고’의 의미 404
2. 사고력 수업의 설계 404
Ⅳ. 통합적 사고력 수업의 모형 407
1. 교과내용과 사고기능/전략의 도입 409
2. 적극적으로 사고하기: 사고기능의 개발 409
3. 사고에 대하여 사고하기: 수업의 반성 410
4. 학습한 내용과 사고기능의 적용: 전이 410
Ⅴ. 사고력 수업의 단계 411
1. 사고기능/전략의 도입 412
2. 피드백의 제공 414
제14장 사고력 수업(Ⅱ)
Ⅰ. 통합적 사고력 수업의 실제 : 개별적 사고기능 423
1. 일반화 추론과 개념형성의 사고기능(Ⅰ) 423
2. 일반화 추론과 개념형성의 사고기능(Ⅱ) 425
Ⅱ. 통합적 사고력 수업의 실제 : 복합적 사고전략 429
1. 비판적 사고전략의 수업 430
2. 의사결정 전략의 수업 434
Ⅲ. 사고력 수업의 도입과 지도 437
1. 사고기능/전략의 수업 도입 437
2. 사고기능/전략의 지도 439
Ⅳ. 사고력의 평가 440
1. 사고력 평가의 방향과 형식 440
2. 지필검사를 이용한 사고력 평가 443
3. 표준화 비판적 사고력 검사 446
4. 사고행동의 관찰 447
Ⅴ. 사고력 수업의 지향 449
참고문헌455
찾아보기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