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외로움 (레베카 모치아 '외로움의 지형학'과 시의적 논의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98143947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5-05-30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98143947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이탈리아관 전시와 포럼의 기록이다. 작가 레베카 모치아가 현대 사회에서 외로움이 나타나는 사회 구조적 맥락을 예술가의 눈으로 탐색하여 만든 전시와, 한국인이 느끼는 외로움의 근원과 양상에 관해 현장과 학계의 전문가가 나눈 사회과학적, 실천적 논의를 펼쳐 보여준다.
사람들이 외로움을 이야기한다. 점점 더 많은 이들이 외롭다고 한다. 유튜브에는 외로움, 우울, 고립, 무기력을 설명하는 콘텐츠가 넘쳐 난다. 외로움 연구가 많아지고, 외로움에 대처하려는 정부 부처가 세계 곳곳에 설립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더 그렇다. 외로움이 현대 사회의 뜨거운 화두로 전면에 등장했다. 왜 그럴까? 외로움은 인간이 느끼는 기본적인 감정 중 하나인데, 왜 지금 외로움이 논의의 중심이 되었는가?
이 책은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이탈리아관 전시와 포럼의 기록이다. 작가 레베카 모치아가 현대 사회에서 외로움이 나타나는 사회 구조적 맥락을 예술가의 눈으로 탐색하여 만든 전시와, 한국인이 느끼는 외로움의 근원과 양상에 관해 현장과 학계의 전문가가 나눈 사회과학적, 실천적 논의를 펼쳐 보여준다. 그리고, 예술과 사회과학, 현장이 공통으로 주목하게 되는 질문을 모두에게 던진다. 자본주의, 신자유주의의 현대 사회가 외로움을 조장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현대 사회를 변혁함으로써 외로움을 줄일 수 있는가? 어떻게 현대 사회를 변혁할 수 있는가?
관계에서의 외로움, 감염되지 않는 외로움, 보호, 그리고 이들의 기저에 있는 경직된 한국 사회. 한국인이 느끼는 외로움의 현주소이다. 어찌 보면 피부로 이미 알고 있었던 것들이지만, 경직된 한국 사회라는 외로움의 뿌리는 너무나 큰 벽으로 다가온다. 과연 우리가 외로움을 줄일 수 있을까? 한국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이 질문들에 대해 한국 청년들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그 해법으로 연대와 공동체, 열린 마음, 시민사회 운동을 이야기한다. 사회 양극화나 경제 정의와 같은 현대 사회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도 제시되는 것들이다. 우연일까, 우리의 외로움과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촉발한 현대 사회의 위기를 헤쳐 나가는 길이 같은 것이?
이 책은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이탈리아관 전시와 포럼의 기록이다. 작가 레베카 모치아가 현대 사회에서 외로움이 나타나는 사회 구조적 맥락을 예술가의 눈으로 탐색하여 만든 전시와, 한국인이 느끼는 외로움의 근원과 양상에 관해 현장과 학계의 전문가가 나눈 사회과학적, 실천적 논의를 펼쳐 보여준다. 그리고, 예술과 사회과학, 현장이 공통으로 주목하게 되는 질문을 모두에게 던진다. 자본주의, 신자유주의의 현대 사회가 외로움을 조장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현대 사회를 변혁함으로써 외로움을 줄일 수 있는가? 어떻게 현대 사회를 변혁할 수 있는가?
관계에서의 외로움, 감염되지 않는 외로움, 보호, 그리고 이들의 기저에 있는 경직된 한국 사회. 한국인이 느끼는 외로움의 현주소이다. 어찌 보면 피부로 이미 알고 있었던 것들이지만, 경직된 한국 사회라는 외로움의 뿌리는 너무나 큰 벽으로 다가온다. 과연 우리가 외로움을 줄일 수 있을까? 한국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이 질문들에 대해 한국 청년들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그 해법으로 연대와 공동체, 열린 마음, 시민사회 운동을 이야기한다. 사회 양극화나 경제 정의와 같은 현대 사회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도 제시되는 것들이다. 우연일까, 우리의 외로움과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촉발한 현대 사회의 위기를 헤쳐 나가는 길이 같은 것이?
목차
기획의 글
23 한국의 문화특수적 외로움 - 정소익
전시: 레베카 모치아
47 MINISTRY OF LONELINESS 프로젝트
63 워크숍
95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이탈리아관
포럼: 정소익
143 서문
155 청년 당사자 이야기
177 첫 번째 논의: 한국 청년의 외로움은 어떠한 모습인가
221 두 번째 논의: 한국 청년의 외로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