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98246181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6-02-22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卍 번역어 개선
인연과因緣果 인식 선택
卍 봄dassana 앎nana / 卍 인식 선택 결정 / 卍 인식과 결정 과정 / 卍 선택에 관련한 믿음 양심 수치심 / 卍 무명촉 명명촉 부정촉의 선택
적중로中道 정견正見
卍 정견正見 / 卍 이분법 중용中庸 / 卍 적중법的中法 / 卍 적중로中道
삼법인 실아 까야
卍 자아 실아 가아 까야 관계 / 卍 실아實我에 관해 / 卍 실아, 세간, 담마 / 卍 까야身 가아假我 / 卍 마음으로 만든 몸 / 卍 업과 윤회에 관해
오온五蘊 공空
卍 지어냄爲 / 卍 색色 / 卍 수受 / 卍 상想 / 卍 위爲 / 卍 식識 / 卍 오취온 / 卍 반야 / 卍 공空
사성제 팔성도
卍 지집환로知集還路 정견正見 / 卍 고집환로苦集還路 사성제四聖諦 / 卍 팔성도八聖道 / 卍 계정혜戒定慧 삼학三學 / 卍 계율戒律
연기緣起
卍 연기의 구조 / 卍 연기의 특징 / 卍 연기의 실례 / 卍 연기의 적용 / 卍 노사老死 / 卍 생生 / 卍 무명無明 / 卍 고루痼漏 / 卍 소유욕 / 卍 탐진치貪瞋痴 / 卍 위爲 / 卍 식識 / 卍 명색名色 / 卍 육장六場 / 卍 촉觸 / 卍 수受 / 卍 애愛 / 卍 취取 / 卍 유有
깜마 담마, 인과因果응답應答
卍 깜마와 담마의 전제 / 卍 담마 들어가기 / 卍 담마의 속성 / 卍 담마의 개별성 / 卍 담마를 알아보기 / 卍 담마의 역발상 의미치료 / 卍 담마와 정언명제의 주관 객관 / 卍 담마의 보편성
수행의 기초
卍 양심과 수치심 / 卍 안 밖 안팎으로 삼중관계 / 卍 안으로 먼저 지향 / 卍 밖으로 / 卍 안팎으로 / 卍 사띠 삼매 수행들 관계
사띠와 삼매 들어가기
卍 사띠수행의 과정 / 卍 사띠수행 / 卍 정삼매正三昧 / 卍 사띠 훈련장
염처수행 선정수행
卍 법수관法隨觀 초선初禪 / 卍 육근根 수호 / 卍 염처수행 자리 / 卍 까야 감정 생각 담마 / 卍 수관隨觀하는 법 / 卍 삼매의 집중 / 卍 삼매의 상相 거울 / 卍 사수관思隨觀 이선二禪 / 卍 사띠·알아차림 / 卍 삼매의 상相
사마타止 위파사나觀
卍 염처에 잘 확립된 생각 / 卍 수수관受隨觀 삼선三禪 / 卍 신수관身隨觀 사선四禪 / 卍 과정을 겪어내야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깜마kamma業는 선택에 따라 자신에게 제시된 숙제가 어렵든 쉽든 간에 자신이 마음을 결정해 선택한 활동에 걸맞은 귀결이 주어지고 만다는 숙명宿命을 말하고, 담마dhamma法는 업보에 따라 자신에게 제시된 상황이 유리하든 불리하든 간에 자신이 마음을 정해서 선택한 의미에 걸맞은 메시지가 주어진다는 운명運命을 말한다. 즉 깜마는 인과응보因果應報를 자각할 기회를 제공하고, 담마는 운명개척을 자각할 기회를 제공한다.
사띠sati는 과거 경험에서 현재 체험에 관련된 내용을 기억해내고 연상하며 성찰하는 ‘되새김’이고, 하나는 문지기가 문을 지키며 출입을 통제하듯이 체험한 내용을 살펴보고 그중에서 통과시키거나 막아버리는 ‘걸러냄’이다.
①사띠수행은 외부의 세간世間을 자기 내면의 모습을 비춰주는 거울로 바라보는 것이지만, ②염처수행은 생각?담마 바로 앞에 자신의 모습을 기억해내서 거울로 세우는 매우 놀라운 방식이다. ③사마타?위파사나 수행은 생각을 유체이탈해서 안으로ajjhattam內 자신의 감정vedana受과 까야kaya身를 수관하여 얻은 사마타의 상相을 위파사나함으로써 탁월한 반야의 메시지를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