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수운과 칸트의 발견 (불연기연과 시천주 그리고 비판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9824621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04-16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9824621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04-16
책 소개
동학하면 대다수 무력에 의한 혁명인 농민봉기를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동학(東學)은 외부의 혁명이 아니라 실제로는 내면의 혁명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들어가기 5
- 서학과 동학의 관계 13
불연기연(不然其然) 29
- 불연기연의 구조 43
- A 단락 其然似然(기연사연) 51
- B 단락 其然不然(기연불연) 58
- C 단락 作之君師(작지군사) 67
- D 단락 揣末究本(췌말구본) 77
- 수심정기(守心正氣) 92
순수이성비판 102
- 탐진치(貪瞋痴) 129
- E 단락 數定運復(수정운복) 137
- F 단락 山上有水(산상유수) 151
- G 단락 付造物者(부조물자) 165
강령주문(降靈呪文) 176
- 선악(善惡) 187
- 정의(正義) 195
시천주(侍天主) 204
- 이천사천(以天食天) 216
- 조화정(造化定)과 판단력비판 218
- 영세불망(永世不忘) 만사지(萬事知)와 실천이성 225
- 종통(宗統) 231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학은 외부혁명이 아닌 자기혁명을 목적으로 합니다.
‘동학한다’는 의미는 불평등을 초래하는 대상에 대한 공격이 아니라 풍요로운 사람이 솔선해서 없는 사람에게 물질적으로 나누는 유무상자(有無相資)의 활동이고, 신도를 끌어모으는 포교(布敎)가 아니라 덕(德)을 닦은 사람이 솔선함으로써 주위를 정신적으로 감화시키는 포덕(布德)의 활동입니다.
예수가 형식 중심의 기득권을 타파하고 인간존중의 가르침을 펼쳤으나 성직자와 로마의 탄압으로 순교했듯이, 수운도 형식 중심의 기득권을 타파하고 인간존중의 가르침을 펼쳤으나 유림과 조정의 탄압으로 순도(殉道)했습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