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98294403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18-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완벽한 사주팔자란 없다
1장 생활 속 사주명리
_ 사주명리학과의 인연 / _ 모든 근원은 음양오행에서 출발한다
_ 팔자에는 함정이 있다 / _ 사주팔자가 같으면 운명이 같은가요?
_ 팔자에 없는 것은 영원히 가질 수 없는 것인가?
_ 나의 결혼운은 언제 오나요? / _ 어떤 사람과 결혼하게 될까요?
_ 궁합은 꼭 봐야 하나요? / _ 택일은 어떻게 하나요?
_ 이사를 가려는데 방향과 날짜가 궁금해요
_ 음양오행에 숨은 약속, 새끼손가락 걸기
_ 윤달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는 다른가요?
_ 숫자와 운의 관계가 있는지요?
_ 음양오행으로 보는 한국에 커피전문점이 급격히 늘어나는 이유
_ 올해 삼재라는데 안 좋은 일이 생기나요?
_ 남편 복 없는데 자식 복도 없는 팔자?
_ 과부팔자, 서방 잡아먹을 팔자인가요?
_ 동업하면 안 되는 사주가 있나요?
_ 좋은 이름은 어떻게 짓나요?
_ 잠잘 때 머리두면 안 되는 방향이 있다고요?
_ 선비가 재를 탐내면 망하게 되나요?
_ 독수공방하는 여자 팔자가 따로 있는지요?
_ 이혼하는 사주팔자가 있나요?
_ 사주에 백호살이 있다는데 무엇인지요?
_ 난초의 끝이 타면, 물이 부족한 것이다
_ 제 자식운이 어떨까요?
_ 남편도 잘되고 자식도 잘되는 사주가 있나요?
_ 남편의 무덤을 갖고 태어난 사주가 있다는데요?
_ 시어머니 잡아먹을 년 팔자가 있는 건가요?
_ 매매나 문서운은 어떻게 보나요?
_ 사주팔자로 직업적성을 알 수 있나요?
_ 뭘 해도 깨지는 날, 재물운이 안 좋은 날이 따로 있나요?
_ 아무리 좋은 무쇠강철로 태어났어도 운을 만나지 못해 쓰지 못하는 사주
_ 사주팔자에 충이 많아서 안 좋다고 하는데 합이 많으면 좋은 것인지요?
_ 제 사주에 귀인이 있다는데요?
_ 고집불통의 사주가 따로 있는지요?
_ 남편이 술독에 빠져 살아요 / _ 형제덕이 있는 사주가 있는가?
_ 사주팔자에 재관이 좋아 잘 나갔는데도 운을 잘못 만나면 순간에 낙마하는 이유는?
_ 사주에 병이 들었다는데요. 병든 사주가 있는지요?
_ 삶이 팍팍하고 안 풀려요. 언제쯤 나아질까요?
_ 어머니의 자식사랑이 심하여 도리어 자식을 망치는 경우
_ 아내가 자식을 낳으면 강해지는 이유
2장 학문으로서의 사주명리
1. 명리학사 / 2. 음양의 이해 / 3. 오행의 이해
4. 오행 상생상극의 이해 / 5. 십간 십이지 / 6. 지장간
7. 세운과 대운 / 8. 육신 이해하기 / 9. 합과 충
10. 신살 / 11. 격국 / 12. 용신 / 13. 사주의 강약
14. 내 사주팔자 풀어보기
<부록> 생활 속 풍수
_ 알아두면 좋은 풍수 상식: 이런 지형이나 집은 피하라
_ 당장 실천하면 좋은, 실내의 기운을 좋게 하는 인테리어
_ 우리 생활 속 풍수
_ 나에게 맞는 방위가 있다
_ CEO에게 좋은 책상위치와 앉는 방향
_ 우리 아이 공부가 잘되고 성장에 좋은 방향
_ 현공풍수와 성문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주팔자가 같아도 운명은 똑같지 않다.” 심지어 한날한시 한 부모 밑에서 태어난 쌍둥이조차도 같은 삶을 살지 않는다. (쌍둥이의 명식에 대한 사주 분석 방법은 학자들마다 견해가 달라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나 안타깝게도 선학의 연구자료가 부족하여 백가쟁명 중이다) 생년월일시가 같아도 부모, 성장환경, 이름, 배우자 등의 조건이 다르고, 행하는 것과 마음의 씀씀이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운명의 결과값이 나오지 않는다. 이것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면 스스로의 모순에 빠져 엉뚱한 답변을 함으로써 곤경에 처할 수 있다.
- 24p <사주팔자가 같으면 운명이 같은가요?> 중에서
운명을 인정하는 지혜는 ‘운명론에 끌려가라’는 의미가 아니다. 공자도 말했듯이 “자신의 명을 모르고는 세상에 온 큰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므로” 명을 아는 지혜를 통하여 인간의 자만과 헛된 욕심을 자제시키고 자신이 스스로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하는 겸허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 남을 원망하기 보다는 스스로에게서 먼저 원인을 찾고 진퇴와 성패의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여 실패나 고통의 아픔이나 마음의 상처를 줄이고 발전적인 삶을 살아가는 지혜를 가져야 할 것이다.
- 32p <팔자에 없는 것은 영원히 가질 수 없는 것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