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의 맛, 규슈를 먹다

일본의 맛, 규슈를 먹다

(밥 위에 문화를 얹은 일본음식 이야기)

박상현 (지은이)
따비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400원 -10% 0원
1,300원
22,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의 맛, 규슈를 먹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의 맛, 규슈를 먹다 (밥 위에 문화를 얹은 일본음식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8899843906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3-12-20

책 소개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이 추천사에서 이 책을 읽는 내내 ‘한국음식은……’이라는 물음이 돋았다고 했다. 그렇다면, 저자가 규슈에서 맛본 일본음식을 통해 되돌아본 한국음식은 어떨까? 한일 양국에서 밥상의 중심이 되는 밥을 한번 비교해보자.

목차

1장 화혼양재, 일본음식이 된 서양음식들
돈카쓰 - 140년의 역사, 1500킬로미터의 여정
카레 - 인도의 마살라는 어떻게 일본의 카레가 되었을까
돈코쓰라멘 - 포장마차에서 시작한 남성 노동자의 음식
단탄멘 - 원조보다 더 완성도 있는
교자 - 요리보다 술안주, 한입에 쏙 들어가는 후쿠오카의 교자
잔폰 - 아직은 일본음식이 되지 못한 나가사키음식
오코노미야키 - 패전의 상실감을 달래 준 풍성함
구시아게 - 장르가 없는 음식의 즐거움

2장 소울푸드가 된 에도의 패스트푸드
스시 - 세계 어디에서도 먹을 수 있는, 일본에서만 먹을 수 있는
오니기리 - 단단함 속에 부드러움을 간직한 체온의 음식
우동 - 한국인에게 맞는 우동은 후쿠오카에 있다
소바 - 일본인의 풍습과 함께하는 음식
오뎅 - 한국에선 재료, 일본에선 음식

3장 전통, 만들어지거나 혹은 재해석되거나
가쿠우치 - 일본과 조선의 그늘이 만들어 낸 공간의 매려
소바가도 - 진짜 뺨치는 가짜가 시작하는 전통
아유야나바 - 기다림 끝에서만 만날 수 있는
게이한 - 규슈를 대표하게 된 피지배자의 음식
온타마란돈 - 뛰어난 기획력이 만들어 낸 스토리텔링의 정석
가라토시장과 단가시장 - 전통시장을 살리는 두 가지 지혜

4장 일본 외식문화의 독특한 풍경
에키벤 - 일본 기차 여행의 백미
음식 냄새 - 코로 느끼는 맛을 중시하는 일본인의 이중잣대
야타이 - 후쿠오카의 속살을 만지다
프로듀싱 계열점 - 단순한 프랜차이즈를 뛰어넘는 일본 외식산업의 자존심
JR하카타시티 구텐 - 일본 대표 식당 46개의 진검승부가 펼쳐지다

5장 혼모노, 음식의 본질을 추구하다
일본의 밥 - 밥상의 주인공에 대한 대접이 밥맛을 결정한다
혼모노센터 - 먹거리의 근본을 세운 생존
가와시마 두부점 - 두부를 다시 보게 만든 맛
가야노야 -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 음식점

6장 료칸, 일본 식문화의 결정판
가고시마 슈스이엔 - 29년간 지켜 온 료칸 요리의 정상
구마모토 아야노쇼 - 자연 속에 숨은 치밀한 인공미
오이타 하나벳푸 - 낡은 벳푸를 되살리는 동백과 대나무
사가 요요카쿠 - 왜 료칸에 가느냐고 묻거든

저자소개

박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루할 정도는 아니지만 평범한 인생이었다. 2003년부터 ‘취생몽사’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블로그로 인해 잠재된 글쓰기 재능을 발견했다.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스타 블로거는 아니라도 5년 연속 네이버 파워블로그로 선정됐으며, 2011년 한국 100대 블로그로 선정되기도 했다. 내친 김에 전업작가로 전환, 2011년부터 맛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짧은 경력임에도 불구하고 이 바닥에서 꽤 묵직한 칼럼을 쓰는 작가로 소문이 자자하다(고 믿는다). 《부산일보》 에 연재한 ‘부산의 노포’와 《국제신문》 에 연재 중인 ‘부산의 요리사들’은 지역성과 전문성이 결합된 신선하고 의미 있는 기획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자평한다). 수시로 변하는 미각에 의존해 맛을 논하거나 주관적인 인상 비평으로 음식점을 평가하는 일에는 시큰둥하다. 대신 음식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맥락을 탐구하고 추적하는 일에 관심이 많다. 일본음식에 대한 관심 역시 그 연장선에서 비롯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틈만 나면 일본을 방문했다. 부산에 사는 지역적 장점을 활용, 부산항을 출발해 후쿠오카항에 닿는 대형 여객선을 애용했다. 한일 해협을 건너는 배에서 일본 관련 책과 자료를 읽었고, 주로 두 다리로 규슈를 샅샅이 훑었다. 어쩌면 ‘한일 해협에서 책을 가장 많이 읽은 사람’으로 기네스북 등재도 가능할 것이다. 이 책은 그렇게 쌓아 온 지난 10년간의 여정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렇게 지켜 오던 육식 금지가 난관에 봉착한 것은 개국과 더불어 외국인이 몰려오면서부터다. 일본인은 자신들과 체급에서 현격히 차이가 나는 서양인을 보면서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이 차이를 극복하지 않고서는 근대화고 뭐고 말짱 도루묵이라는 위기의식을 느꼈다. 근대화를 이끌었던 정치가들은 왕을 종용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서양의 관료들을 접대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음식을 낼 필요도 있었다. 급기야 메이지왕은 1872년 1월 24일 메이지유신의 주역들을 궁으로 불러 서양식 만찬을 열었다. 1,200년간 지켜 왔던 육식 금지의 역사가 막을 내리는 순간이었다.


돼지국밥, 고기국수, 돈코쓰라멘, 오키나와소바는 돼지를 활용했다는 공통점 외에도 국토의 남단이며 해안 지방이라는 지리적·환경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반도의 남해안과 제주도, 일본의 오키나와와 규슈는 오래전부터 뱃길로 연결되어 있었다. 음식의 역사를 교류의 역사로 본다면 이는 만만치 않은 단서들이다. 하지만 아직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없다. 이처럼 한반도와 일본 열도 간의 ‘음식교류사’에는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많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