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98439682
· 쪽수 : 832쪽
· 출판일 : 2019-06-25
책 소개
목차
서론
선구자들
1부 성, 섹슈얼리티, 재생산
1 계급의 문제 / 도로시 앨리슨
2 젠더, 섹슈얼리티, 정치경제 / 미카엘라 디 레오나르도, 로저 랭카스터
3 월경전증후군, 노동 규율, 분노 / 에밀리 마틴
4 인권, 재생산 건강, 경제정의는 왜 분리될 수 없는가 / 로절린드 P. 페트체스키
5 욕구에 바탕을 둔 성정치를 위해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을 다시 주장한다 / 로즈마리 헤네시
2부 가족: 사랑, 노동, 권력
6 가족은 죽었다, 새로운 가족 만세! / 주디스 스테이시
7 생존의 이야기: 계급, 인종, 가정폭력 / 재니스 하켄
8 가정을 다시 정의한다 / 푸르비 샤
9 오빠의 성은 백인이고 내 성은 황인이었다 / 체리 모라가
10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가족론을 다시 본다 / 스테파니 쿤츠
11 모성과 섹슈얼리티의 이해에 관하여: 페미니즘-유물론 접근법 / 앤 퍼거슨
12 가부장제와 교섭하기 / 데니즈 칸디요티
13 전 지구적 자본주의 아래서 사라지는 아버지들 / 테마 캐플런
3부 임금노동과 투쟁
14 여성 노동자와 자본주의: 지배 이데올로기, 공통의 이해, 연대의 정치 / 찬드라 탈파드 모한티
15 적극적 평등조치의 숨은 역사: 1970년대 일하는 여성들의 투쟁과 계급의 젠더 / 낸시 매클린
16 환상의 현실화: 마킬라 작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여성과 남성의 생산 / 레슬리 샐징어
17 과테말라 사탕수수밭의 마초와 마체테 / 엘리자베스 오글즈비
18 성산업의 노예제에 관한 국제적 조망 / 조 바인드먼
19 성노동자 권리의 세계화 / 카말라 켐파두
4부 경제학, 사회복지, 공공정책
20 여전히 공격받는 중: 여성과 복지 개혁 / 미미 아브라모비츠
21 여성의 경제적 평등을 위한 전략을 향하여 / 크리스 틸리, 랜디 알벨다
22 공적 투옥과 사적 폭력: 여성에 대한 은밀한 처벌에 관한 고찰 / 앤절라 Y. 데이비스
23 여성의 이해를 개념화하다 / 맥신 몰리뉴
5부 정치와 사회 변혁
24 출발 지점에 대한 평가 / 실라 로보섬
25 들어라, 백인 자매들아 / 엘리자베스 마르티네스
26 자본주의와 인간 해방: 인종, 젠더, 민주주의 / 엘런 메익신스 우드
27 여성의 삶의 군사화 / 신시아 인로
28 민주화: 공공 영역의 젠더화된 어긋남에 관한 고찰 / 메리 E. 혹스워스
29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정치 전략에서 젠더의 지도를 그리다 / 리스 멀링스
30 교차, 위치, 자본주의 계급관계: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본 교차성 / 조해나 브레너
6부 자연, 사회, 지식
31 페미니스트 입장론을 다시 본다 / 낸시 하트삭
32 여성의 본성에 관한 마르크스주의 이론 / 낸시 홈스트롬
33 생태정치론 논쟁과 자연의 정치학 / 밸 플럼우드
34 여성과 제3세계: 차이의 위험성을 탐구하다 / 미라 난다
35 환경정의의 확장: 아시아계 미국인 페미니스트들의 기여 / 줄리 시
해제/현대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역사와 교차성 이론_박미선
미주 및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월경에 대한) 좀 더 정교한 사회학적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가지 이유는, 아마 이 여성들을 언급하거나 치료하는 이들이 여성의 정신적·육체적 상태가 문제되는 것은 오직 산업사회에서 노동이 조직되는 방식 때문임을 알지 못한다는 데 있을 것이다. 여성들은 기능 불량으로 여겨지며, 견고한 규율과 생산성에 대한 요구를 덜기 위해서는 사회 및 노동의 조직보다는 여성의 호르몬 불균형이 바뀌어야 한다고 간주된다. ―월경전증후군, 노동 규율, 분노(3장)
오히려 생산적인 여성성은 하나의 범주로서, 경영자들은 그것을 통해 조립 작업을 바라보고 그에 따라 조직화하며, 또 그 범주를 통해 취업 희망자들과 노동자들을 상상하고 평가하고 규정한다. 우리가 고전적인 ‘여성 노동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런 사고방식과 존재 방식 안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여성 노동자들이 공장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 지구적 생산이 가능해진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정반대로, 여성 노동자들은 전 지구적 생산의 최종 완성품이다. ―환상의 현실화(16장)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여성에 대한 ‘사적인’ 성폭력과 신체적 폭력이 점차 ‘범죄’로 구성됨에 따라 ‘공적인’ 제재 대상이 된 반면, 여성의 ‘공적인’ 투옥은 변함없이 감춰져왔다. 또한 점점 더 많은 여성(특히 유색인 여성)이 투옥이라는 공적인 처벌을 받는 것과 동시에 연인관계나 가족관계에서 폭력을 경험한다. 이런 두 형태의 처벌은 인종주의가 가난한 유색인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위장한다. 처벌의 한 형태로서 가정폭력이 국가가 수행하는 처벌 양식과 긴밀하게 연결된 사실이 인식되는 경우는 드물다. ―공적 투옥과 사적 폭력(2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