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8899848218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4-02-1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은
리더의 행동과 그 결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1장 야생에서의 리더십_권력의 진화
공포의 리더십 | 스탈린의 철권통치 | 동물세계의 경쟁 |
유인원의 리더십 | 기업의 리더십 | 정말로 리더가 필요할까? | 부족사회의 리더십 |전략적 I 리더십
2장 리더십의 역사_시대가 원하는 리더십 그리고 리더
부족사회의 민주적 리더십 | 리더십의 시대가 열리다 |
그들은 어떻게 리더가 되었을까? |전략적 I 리더십
3장 전략으로서의 리더십_리더를 위한 리더십 공식
생태적 변화에 대한 적응 | 리더십 공식 | 리더십의 이원성 : 혁신과 적응 |전략적 I 리더십
4장 나는 누구인가?_리더의 자질
리더십의 자질 |전략적 I 리더십
5장 고리더십의 ‘눈’_상황의 법칙
리더십 상황 | 리더십의 부재 |전략적 I 리더십
6장 적응하는 리더_리더십 프로세스
오바마의 리더십 프로세스 | 전략적 리더십의 3요소 |
리더에 대한 구제책 | 리더의 유연성 |전략적 I 리더십
7장 역동적 리더십_형성과 발견
첫 번째 경로 _ 형성과 선택 | 두 번째 경로 _ 발견
|전략적 I 리더십
8장 세상의 변화 읽기_리더십의 수수께끼
세 번째 경로 _ 순발력 | 네 번째 경로 _ 통찰
|전략적 I 리더십
9장 리더는 타고나는 것일까?_사라지는 리더와 떠오르는 리더
리더의 출현 | 다섯 번째 경로 _ 본능/자기인식 | 리더라는 옷이 맞지 않는 자크 | 여섯 번째 경로 _ 자기통제 및 자기개발
|전략적 I 리더십
10장 누가 친구일까?_리더의 인간관계
핵심인맥은 왜 필요한가? | 누구를 핵심인맥으로 삼아야 할까? | 완벽한 핵심인맥을 찾아서 | 생산성 있는 대화 |전략적 I 리더십
11장 리더의 운명_극적 사건과 삶의 변화과정
모 이브라힘의 스토리 | 스티브 잡스의 스토리 | 인생의 변화 주기 |전략적 I 리더십
12장 리더십의 “I”_리더의 내면 속으로
자기조절형 리더 | 리더의 자기통제 | 욕구에 대한 자기조절 | 리더의 의지력 | 현실관에 대한 비전 | 내가 ‘나’를 만난다 | 리드의 대가 |전략적 I 리더십
13장 리더의 덕목_내러티브 찾기
리더의 스토리 구성 |전략적 I 리더십
14장 리더십을 위한 자기관리_나와 다른 사람들 그리고 조직
자아에 대한 훈련 | 다른 사람들 _ 탈중심화의 힘 | 진정성 있는 조직 |전략적 I 리더십
15장 리더는 세상을 회생시킬 수 있을까?_비전, 정체성 그리고 열정
리더가 과연 필요할까? | 어떻게 하면 유능한 리더와 함께할 수 있을까? | 리더십 역량은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책속에서
우리가 두려움에 얼어붙는 순간, 부시와 블레어 같은 리더는 특별한 책임감을 통감하고, 리더십을 발휘한다. 특별한 책임이란 위기에서 오는 충격의 여파를 저지하고 그 방향을 전환하는 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한계가 있긴 하지만 두 사람은 그들의 어깨 위에, 그들의 권력 위에 놓여 있는 중대한 책임을 뼈에 사무치게 인식하고 있다. 주변에서는 그들의 의도와 상관없이 극적 사건이 펼쳐지고, 그들은 그 사건의 주역이 된다. 그들은 자신들의 대응이 사건이 돌아가는 과정과 그 여파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뒤따르는 일들이 대부분 자신들의 사고와 행동에 상관없이 일어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역사의 정점에 서 있고 자신이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다른 차원에서 보면, 그들은 ‘정신적 쓰나미’를 헤치며 나아가는 사람들이다. - ‘프롤로그’ 중에서
우리는 리더십을 버리지 못한다. 우리의 DNA가 리더를 원하고 있는데다 이끌고 따르려는 욕망이 사람에 따라 달리 나타나기 때문이다. 늘 어떤 일에 책임을 지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또 책임에서 자유로워지고 싶은 사람들도 있다. 리더십에 우호적인 사람은 신 같은, 부모님 같은 완벽한 인물을 향한 원시적 갈망을 내면에 품고 있다. 마음속의 그런 인물들은 어쩌면 우리 어깨 위에 짊어진 책임의 부담을 덜어준다.
- ‘1장 야생에서의 리더십’ 중에서
리더의 가장 중요한 능력은 지적 능력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지적 능력은 리더십의 성공과 별로 관계가 없다. 지적 능력은 최소한의 요인으로 봐야 한다. 무슨 일을 하든지 그 일을 할 만큼의 지적 능력은 갖춰야 한다는 말이다. 내가 존경하는 비즈니스 리더들은 대부분 똑똑한 사람들이고, 그만큼 똑똑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명성을 얻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르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반면에 넉살좋은 멍청이들이 일을 썩 잘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 ‘4장 나는 누구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