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

윤창화 (지은이)
민족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98742812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7-02-10

책 소개

민족사 학술총서 70권. 이 책은 선종(禪宗)의 여러 청규(淸規)와 선문헌을 바탕으로 중국 중세(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각종 제도, 가람 구성, 생활철학, 그리고 그 사상적 바탕 등 선종의 생활문화에 대한 전반을 탐구한 책이다.

목차

서문 … 4

1장 선종사원(총림)의 독립 … 21
- 한 송이 꽃이 천하를 뒤덮다 -
1. 선종(禪宗)의 독립 … 21
2. 선종의 성립과 백장회해 … 24
3. 일일부작 일일불식의 보청법 … 28
4. 무종(武宗)의 회창폐불과 선종 … 29

2장 선원총림(禪院叢林)의 목적과 철학 … 33
- 부처와 조사를 만들다 -
1. 총림의 역사 … 33
2. 선원총림의 목적과 이상 … 35
3. 선원총림의 조직과 운영 방법 …36
4. 선종사원의 외형적 특징 … 38
5. 선원총림의 역사적 발전 … 40

3장 선종사원의 직제와 조직 … 44
- 조직이 없는 집단은 오래가지 못한다 -
1. 당·북송, 남송 선원총림의 직제… 44
2. 지사(知事)·두수(頭首)…-- -45
3. 지사·두수의 역할과 변천 … --49
4. 지사·두수의 임기와 임명 과정 … 53

4장 법당의 등장과 불전의 쇠퇴 … 56
- 불상 속에는 부처(법신불)가 없다 -
1. 불전(佛殿)의 쇠퇴, 법당(法堂)의 등장… 56
2. 유수법당(唯樹法堂)의 사상적 배경 … 59
3. 당말오대의 정국과 불전(佛殿)의 등장 …65
4. 남송의 국가적 운명과 불전의 위상 … 70

5장 선원총림의 납자 지도와 오도(悟道) 시스템 … 73
- 법문·독참·청익·좌선 -
1.당송시대 총림의 오도(悟道) 시스템… 73

6장 선종사원의 하루 일과 … 77
- 부처는 일상 속에서 이루어진다 -
1. 하루 일과 개관 … 77
2. 새벽과 오전의 일과 … 79
3. 오후의 일과 … 88

7장 좌선의 정례화와 횟수 … 95
- 사시좌선(四時坐禪) -
1. 좌선의 필요성과 반야지혜 … 95
2. 당·북송시대와 남송시대 좌선 … 98
3. 좌선의 제도화-四時坐禪 … 101
4. 좌선 시간은 장향 일주향(長香一炷香, 40분) … 107
5. 경책(警策, 죽비)과 경행 … 109
6. 수마(睡魔)와의 전쟁-수마를 쫓는다 …111
8장 수행승의 생활공간, 승당 … 113
- 겨자씨 속에 우주를 담다 -
1. 승당의 기능과 역할 … 113
2. 수행자 개인의 공간 … 115
3. 승당의 내부 구조와 생활상 … 117

9장 선종사원의 방장(주지) … 122
- 주지는 법왕(法王)이고, 현신불(現身佛) -
1. 주지의 책무와 역할 … 122
2. 선종사 최초의 주지-백장회해 … 123
3. 주지의 걱정과 책무 … 125
4. 주지 선출과 임명 과정 … 128
5. 다섯 명의 방장시자 … 132

10장 방장의 납자지도 방법-독대[獨參] … 135
- 독참(獨參, 入室)과 청익(請益) -
1. 독참(獨參), 입실(入室) … 135
2. 독참 입실의 형식과 절차 … 139
3. 청익(請益)의 형식과 절차 … 143

11장 선원총림의 요직과 상위 소임(1) … 146
- 동서(東序) 지사(知事) -
1. 4지사(四知事)와 6지사(六知事) … 146
2. 지사(知事)의 직무와 역할 … 151

12장 선원총림의 요직과 상위 소임(2) … 165
- 서서(西序) 두수(頭首) -
1. 두수(頭首)의 직무와 역할 … 165
(1) 수좌(首座) … 166 (2) 서기(書記=書狀) … 169
(3) 지장(知藏) … 173 (4) 지객(知客) … 176
(5) 지욕(知浴) … 178 (6) 지전(知殿) … 179

13장 선원총림의 중하위 소임-소직(小職) … 181
1. 중위직 소임 … 181
(1) 요주(寮主) … 182 (2) 장주(莊主) … 182
(3) 연수당주(延壽堂主) … 183
(4) 화주(化主), 가방화주(街坊化主) … 185
(5) 방장시자(方丈侍者) … 186 (6) 능엄두(楞嚴頭) … 186
2. 하위직 소임 … 187
(1) 다두(茶頭) … 187 (2) 원두(園頭) … 188
(3) 마두(磨頭) … 188 (4) 수두(水頭) … 189
(5) 노두(爐頭) … 189 (6) 탄두(炭頭) … 190
(7) 화두(火頭) … 190 (8) 욕두(浴頭) … 190
(9) 등두(燈頭) … 191 (10) 시두(柴頭) … 191
(11) 반두(飯頭)·공두(供頭)·공사(供司)·공양주(供養主) … 191
(12) 채두(菜頭) … 191 (13) 종두(鐘頭) … 191
(14) 정두(淨頭) … 191 (15) 마호(磨糊) … 192
(16) 정인(淨人) … 192

3. 최근 우리나라 선원의 새로운 소임 … 192

14장 선종사원의 법어와 그 형식 … 195
- 한 마디에 공문(空門)으로 급제(及第)하다
1. 법어의 역할과 의의 … 195
2. 법어의 형식과 절차 … 197
3. 방장의 법어는 직절법문 … 202
4. 선문답은 총림의 생명 … 203
5. 우리나라의 청법 형식 … 206

15장 법어(法語)의 종류와 성격 … 209
- 언하(言下)에 대오(大悟)하다 -
1. 상당법어(上堂法語) … 209
2. 소참(小參) … 215
3. 조참(朝參, 早參) … 218
4. 만참(晩參) … 219
5. 보설(普說) … 220

16장 선종사원의 가람 구성-칠당(七堂) … 224
- 오도(悟道)의 가람 시스템 -
1. 칠당가람 … 224

17장 선종사원의 가람 구성(2)-기타 당우 … 248
1. 방장(方丈) … 248
2. 중료(衆寮) … 252
3. 열반당(涅槃堂) … 254

18장 선종사원의 규율-벌칙과 추방 … 259
- 가사와 발우, 승복을 벗기다 -
1. 살도음망을 범하면 추방 … 259
2. 추방·축출의 방법 … 261
3. 경범죄에 대한 벌칙 … 266

19장 선종사원의 입방(방부) 방법 … 268
- 발낭과 석장(錫杖)을 풀다 -
1. 입방(방부)·괘탑(掛搭) … 268
2. 괘탑(掛搭, 입방)의 절차와 방법 … 270
3. 입방승들의 차(茶)공양 … 275

20장 선승의 필수품과 도구(道具) … 279
- 검약지족(儉約知足) -
1. 비구 육물(比丘六物) … 279
2. 투타십팔물(頭陀十八物)과 선(禪) … 280

21장 선승의 입적과 장송(葬送) 의식 … 287
- 공(空)의 세계로 돌아가다 -
1. 죽음이란 공성(空性)의 실현 … 287
2. 열반당과 병승(病僧)의 입적 … 288
3. 장례 절차 … 290

22장 망승(亡僧)의 다비와 유품 경매 … 294
-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의 세계로 -
1. 망승의 다비(茶毘) … 294
2. 망승의 소지품 경매-창의(唱衣) … 296
3. 낙찰은 최고가를 쓴 사람에게 … 298
4. 망승의 도첩 처리 … 301

23장 선원총림의 하안거와 동안거 … 303
- 90일의 전투 -
1. 안거의 의미 … 303
2. 하안거 결제 … 304
3. 하안거 해제 … 306
4. 동안거와 선종 … 307

24장 선종사원의 발우공양 … 312
- 공양은 식도락(食道樂)이 아니다 -
1. 중국·한국·일본의 발우공양과 차이 … 312
2. 공양의 목적은 위성도업(爲成道業) … 316
3. 천수물은 절수(折水)의 와전 … 319

25장 선종사원의 조석예불 … 325
1. 조석예불의 시행 여부 … 325
2. 조과(朝課, 早課)와 만과(晩課) … 328
3. 선원총림의 조석예불문-조만과송 … 332

26장 선원총림의 행자(行者) 교육 … 336
- 부처의 씨앗을 심다 -
1. 출가자(행자)의 조건 … 336
2, 행자가 학습해야 할 사항-행자의 임무 … 338
3. 행자의 서열과 위계질서 … 342
4. 수계의 요건과 자격 … 344
5. 선종사를 뒤바꾼 노행자(盧行者) … 346

27장 선문답의 방식과 그 기능 … 348
- 깨달음을 이루는 기지(機智)의 대화 -
1. 선문답의 방식과 의미 … 348
2. 선문답은 기지(機智)의 대화 … 349
3. 선문답의 역할과 기준 … 352

28장 고칙·공안·화두 … 355
- 깨달음으로 가는 직선로 -
1. 고칙(古則)과 공안 … 355
2. 화두(話頭) … 357
3. 공안과 화두의 차이 … 358
4. 화두 참구의 두 가지 방법 … 360


29장 선(禪)과 시(詩)의 세계 … 362
- 문자와 비문자(非文字)의 만남 -
1. 선시(禪詩)와 시(詩)의 차이 … 362
(1) 이백의 정야사(靜夜思: 고요한 밤에) … 363
(2) 이규보의 영정중월(詠井中月: 우물 속의 달) … 364
2. 선시의 백미 … 365
(1) 천동여정(天童如淨)의 ‘풍령(風鈴)’ … 365
(2) 선자덕성(船子德誠)의 천척사륜(千尺絲綸) … 367
(3) 야보 선사의 게송-죽영소계(竹影掃階) … 368
3. 선시의 기준 … 369

30장 선종사원의 차문화 … 371
- 다선일미(茶禪一味), 다선일여(茶禪一如) -
1. 차(茶)와 선, 끽다거(喫茶去)의 의미 … 371
2. 차의 대화, 설봉과 암두 … 373
3. 선종사원의 차(茶) … 376
4. 선원총림의 다탕(茶湯)과 다석(茶席) … 379
5. 다선일미(茶禪一味), 다선일여(茶禪一如) … 384

31장 선종사원의 정원(庭園) … 386
- 지상의 유토피아 -
1. 선(禪)과 정원(庭園)-중국 선종사원 … 386
2. 한국 선종사원의 정원-직지사 … 388
3. 일본 선종사원의 정원 … 389

32장 선원총림의 법구(法具)-종(鐘)과 북(鼓) … 391
- 종소리를 듣고 번뇌를 단절하다 -
1. 법구(法具)는 깨달음의 소리 … 391
2. 종(鐘)의 종류와 타종법 … 392
(1) 대종(大鐘)과 108종(鐘) … 392 (2) 우리나라의 타종법 … 394
(3) 전종(殿鐘) … 397 (4) 당종(堂鐘)·환종(喚鐘) … 397
(5) 법고(法鼓) … 397 (6) 운판(雲板, 雲版) … 399
(7) 목어(木魚) … 400 (8) 목탁(木鐸) … 400
(9) 백퇴(白椎·白鎚·白槌) … 401 (10) 경(磬) … 403

33장 선종사원의 좌선과 간경 … 404
- 불립문자(不立文字), 불리문자(不離文字) -
1. 선(禪)과 불립문자 … 404
2. 도서관 기능의 장경각 … 405
3. 경전 대출 방법과 간경 규칙 … 406
4. 도겐의 「판도법(辦道法) 기록 … 411
5. 황벽희운과 간경 … 413
6. 약산유엄과 간경 … 415
7. 목주 화상의 간경 … 416

34장 만행(萬行)과 운수 행각 … 419
- 정처 없는 공(空)의 여정(旅程) -
1. 만행은 문법(問法)의 여정 … 419
2. 행각안(行脚眼) … 421
3. 객승의 여비(旅費) … 425
4. 객승의 예의범절 … 426

35장 선원총림의 한 해[一年] 일정 … 428
- 한 해가 모여 백 년이 되고 천 년이 된다 -
1. 개관 … 428

36장 선화(禪畵)와 선미술 … 438
- 선의 세계를 미술에 담다 -
1. 정형을 깨트린 비정형의 미(美) … 438
2. 선화(禪畵)의 핵심은 탈속(脫俗) … 440
3. 선화의 색채는 묵(墨) … 441
4. 중국과 한국의 선화(禪畵)와 작가 … 442

참고문헌 … 447
색인 … 45

저자소개

윤창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 평창 출신. 1965년 오대산 월정사로 입산하여 약 13년간 출가 생활을 했다. 8년 동안 월정사 조실 탄허 큰스님 시봉을 하면서 학문의 세계와 만나게 되었다. 1972년 해인사 강원을 졸업(13회), 1999년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한국고전번역원)을 졸업했다. 1980년 불교 전문출판사인 민족사를 만들어 42년째 불교책을 내고 있다. ‘창화’는 탄허 큰스님으로부터 받은 수계명이다. 논문으로 「해방 후 역경의 성격과 의의」, 「한암의 자전적 구도기 일생패궐」, 「한암 선사의 서간문 고찰」, 「무자화두 십종병에 대한 고찰」, 「경허의 지음자 한암」, 「성철 스님의 오매일여론 비판」, 「경허의 주색과 삼수갑산」 등이 있고, 저서로는 『왕초보, 선 박사 되다』, 『근현대 한국불교 명저 58선』, 『당송시대 선종 사원의 생활과 철학』, 『선불교』, 『불교 사자성어』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