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68690134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2-07-29
책 소개
목차
치사│ 문 앞의 찰간을 쓰러뜨리려라(중봉성파,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축사│ 삼화상 사진집 출간은 일대의 획기적인 사건(벽산원행,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헌사│ 후학들에게 보이는 밝은 이정표(연암현해, 오대산 월정사 회주)
인연의 흔적 따라 보이지 않은 자리를 찾아가며(혜거, 탄허박물관장)
법통과 종통과 설통을 세우신 큰 스님(원행, 대한불교조계종 원로의원)
서문│세계 속의 한국불교가 되는 초석(퇴우정념,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교구장)
발간사│길을 찾을 때 북극성에 의지하듯이(현각, 간행위원장)
一장│오대산 월정사[부처님의 땅, 오대산]
二장│한암선사[한국 불교의 상징, 조계종 초대 종정]
三장│탄허선사[역경불사, 승가교육과 인재양성]
四장│만화선사[오대산 월정사 중창주]
五장│중창불사[다시, 문수의 성지로]
六장│월정사의 기록사진[월정사 발자취를 담다]
책속에서
한 예로 한암선사와 관련된 사진 중 95쪽의 사진 설명, 99쪽의 사진 설명, 105쪽의 한암선사 초대 조계종 종정 선출에 대한 사진 설명, 107쪽의 종정 선출 매일신보 기사, 113쪽의 사진 설명, 특히 125쪽의 한암선사가 경봉스님에게 보낸(1937년) 연하장에 대한 설명은 시대적· 문화적 지식이 동원된 설명이다. 그리고 131쪽의 한암선사 좌탈 열반상에 대한 설명은 이 사진의 촬영자와 촬영자의 인물 정보, 이 사진의 배포 과정 등 전후 상황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고, 132쪽의 한암선사 열반에 대한 불교신문 보도 기사에서는 당시 불교 종단의 상황도 알 수 있다.
탄허스님 관련 사진에서는 206쪽의 수도원생 모집 광고 설명은 이 하나의 사진 설명으로 오대산 수도원의 전모를 알 수 있으며, 광고 사진 역시 신문 전면을 그대로 수록했는데, 이 한 장으로 시대상을 볼 수 있다. 또 215쪽의 탄허스님과 동국역경원 연수생 입소식 사진, 151쪽의 방산굴 사진 설명은 방산굴에 대한 사상적 정보가 모두 수록되어 있다. 224쪽의 여석회 사진 설명을 통해 여석회의 탄생과 역사를 알 수 있고, 280쪽의 화엄법회 사진 설명은 당시 화엄대법회의 성격, 수강자 개개인에 대한 상황 등 전모가 드러나 있다. 회향식 사진과 수강자 명단에는 현 종정이신 중봉성파 대종사, 전 교육원장 무비스님도 포함되어 있다.
만화스님 관련 사진에서는 376쪽의 사진 설명, 그리고 400쪽의 ‘청담, 서운스님과 만화선사’ 사진과 설명에는 당시 월정사 상황, 그리고 한 도량에서 대처승과 비구승이 대치하고 있는 분위기 등이 잘 전달되어 있다.
오대산 월정사 중창 관련 500쪽의 사진 설명에서는, 중창과정의 모든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504쪽의 낙성식 사진에서 낙성 과정은 물론 대웅전의 규모, 양식, 시대적 배경까지 알 수 있다. 월정사 기록 사진 부분에서는 520쪽의 조지훈과 월정사 사진, 특히 524쪽의 ‘조선불교 보국대 사진’은 최초로 발굴된 일제강점기하의 조선불교 보국대 사진이다. 당시 조선불교계에는 31개 각 본산 별로 보국대가 조직되어 있었다. 조선불교 보국대는 아직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는데, 이 조선불교 보국대 사진은 일제강점기 조선불교 전체와 관련된 사진이다. 또 545쪽의 월정사 정화 기념사진 설명에서는 월정사 정화과정의 전후 상황 등 전모가 자세히 드러나 있는데, 설명만 무려 2쪽에 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