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6869030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3-04-15
책 소개
목차
불교 사자성어 1. 몽중설몽(夢中說夢) 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하다
불교 사자성어 2.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난 자는 반드시 헤어진다
불교 사자성어 3. 무명장야(無明長夜) 어리석음의 기나긴 밤
불교 사자성어 4. 팔풍부동 (八風不動) 희로애락에 일희일비 하지 말라
불교 사자성어 5. 오온개공 (五蘊皆空) 인간은 공이다
불교 사자성어 6. 자비무적 (慈悲無敵) 자비 앞에는 원수가 없다
불교 사자성어 7. 선용기심 (善用其心) 마음을 착하게 쓰라
불교 사자성어 8. 심여화사 (心如畵師) 마음은 화가와 같다
불교 사자성어 9. 이참사참 (理懺事懺) 진실한 참회
불교 사자성어 10. 애별리고 (愛別離苦) 사랑과 이별의 고통
불교 사자성어 11. 제행무상 (諸行無常) 모든 존재는 영원할 수 없다
불교 사자성어 12. 원증회고 (怨憎會苦) 싫은 자와 만나야 하는 운명
불교 사자성어 13. 삼계화택 (三界火宅) 세상은 불타고 있는 집이다
불교 사자성어 14. 만법귀일 (萬法歸一) 모든 것은 하나로 돌아간다
불교 사자성어 15. 조고각하 (照顧脚下) 그대 발밑을 보라
불교 사자성어 16. 오음성고 (五陰盛苦) 인간은 욕망의 존재다
불교 사자성어 17. 적습성성 (積習成性) 습관이 인간을 만든다
불교 사자성어 18. 일사일지 (一事一智) 하나의 일에서 하나의 지혜를 얻는다
불교 사자성어 19. 탁마상성 (琢磨相成) 탁마해서 깨달음을 이루게 한다
불교 사자성어 20. 확탕로탄 (鑊湯鑪炭) 욕망과 고통의 가마솥
불교 사자성어 21. 전도몽상 (顚倒夢想) 뒤집힌 꿈 같은 생각들
불교 사자성어 22. 발고여락 (拔苦與樂) 고통을 없애고 행복을 준다
불교 사자성어 23. 제악막작 (諸惡莫作) 악행은 무엇이든 하지 말라
불교 사자성어 24. 초전법륜 (初轉法輪) 최초로 가르침을 펴다
불교 사자성어 25. 색즉시공 (色卽是空) 색(물질)은 공한 것이다
불교 사자성어 26. 요익중생 (饒益衆生) 모든 중생을 사랑한다
불교 사자성어 27. 다정불심 (多情佛心) 다정다감한 부처님 마음
불교 사자성어 28. 염화미소 (拈花微笑) 꽃을 드니 미소를 짓다
불교 사자성어 29. 소욕지족 (少欲知足) 적은 것에서 만족할 줄 알라
불교 사자성어 30. 화안애어 (和顔愛語) 온화한 얼굴과 부드러운 말씨
불교 사자성어 31. 빈녀일등 (貧女一燈) 가난한 여인의 작은 등불
불교 사자성어 32. 수처작주 (隨處作主) 주체적인 삶을 살아라
불교 사자성어 33. 처염상정 (處染常淨) 연꽃은 오염에 물들지 않는다
불교 사자성어 34. 구시화문 (口是禍門) 입은 재앙을 초래하는 문이다
불교 사자성어 35. 파거불행 (破車不行) 노후된 차량은 움직이지 못한다
불교 사자성어 36. 인과응보 (因果應報) 콩 심으면 콩, 팥 심으면 팥 난다
불교 사자성어 37. 증사작반 (蒸沙作飯) 모래로 밥을 만드는 사람
불교 사자성어 38. 입전수수 (入廛垂手) 중생을 찾아 속세로 들어가다
불교 사자성어 39. 안수정등 (岸樹井藤) 인생은 절벽에 매달린 존재다
불교 사자성어 40. 불립문자 (不立文字) 선은 문자 속에 있지 않다
불교 사자성어 41. 수연불변 (隨緣不變) 원칙과 융통성의 철학
불교 사자성어 42. 향상일로 (向上一路) 최상으로 가는 하나의 길
불교 사자성어 43. 이고득락 (離苦得樂)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을 얻다
불교 사자성어 44. 실유불성 (悉有佛性) 모든 인간은 부처가 될 수 있다
불교 사자성어 45. 즉심시불 (卽心是佛) 그대 마음이 바로 부처다
불교 사자성어 46. 좌탈입망 (坐脫立亡) 죽음과 삶을 마음대로 한다
불교 사자성어 47. 파사현정 (破邪顯正) 삿된 것을 부수고 바른 것을 드러내다
불교 사자성어 48. 오매일여 (寤寐一如) 자나깨나 한결 같다
불교 사자성어 49. 일기일회 (一期一會) 기회는 한 번밖에 없다
불교 사자성어 50. 본래면목 (本來面目) 너의 본 모습은 무엇이냐
불교 사자성어 51. 삼륜청정 (三輪淸淨) 보시는 세 가지가 청정해야 한다
불교 사자성어 52. 삼라만상 (森羅萬象)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
불교 사자성어 53. 언어도단 (言語道斷) 문자나 말로는 표현할 수 없다
불교 사자성어 54. 불이법문 (不二法門)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지 말라
불교 사자성어 55. 진공묘유 (眞空妙有) 진공은 있는 것이다
불교 사자성어 56. 정법안장 (正法眼藏)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선의 진리
불교 사자성어 57. 안심입명 (安心立命) 삶과 죽음에서 초탈하다
불교 사자성어 58. 다선일여 (茶禪一如) 차와 선은 하나다
불교 사자성어 59. 이심전심 (以心傳心) 마음으로 주고 받다
불교 사자성어 60. 맹인모상 (盲人摸象) 장님이 코끼리 만지기 식이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 불교 사자성어 17 적습성성(積習成性), 습관 이 인간을 만든다
“습관이 쌓이면 성품을 이루고,
성품이 쌓이면 한 인생의 운명을 결정한다.”
-노자(老子)-
습관이 오래 되면 천성이 된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성격·성품으로 굳어 버리게 되는데, 그것을 적습성성(積習成性)이라고 한다. 반복된 행동이 만드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대지도론》에는 “날마다 성질(화, 분노심)을 내서 오래도록 지속하게 되면 나쁜 성품(惡性)을 이루게 된다.”라고 하였는데, 짜증, 화, 분노는 환경 탓, 성격 탓도 있지만, 그보다는 어쩌다가 습관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불교 사자성어 22 발고여락(拔苦與樂), 고통을 제거하고 낙을 준다
발고여락(拔苦與樂)은 고통, 괴로움을 제거해 주고(拔苦) 행복, 즐거움을 준다(與樂)는 뜻이다. 《대지도론》에 있는 사자성어로 ‘이고득락(離苦得樂)’과 같은 말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고통을 겪는다. 심적(心的). 정신적인 고통으로는 갈등·의견 충돌·후회·근심·걱정·불안·초조 등이 있고, 육체적인 고통으로는 몸이 아프거나 과도한 노동 등이 있다. 그 밖에 스트레스, 암, 불치병, 부부, 가족 간의 불화, 갈등 등도 만만치 않은 고통이다.
불교에서는 고통을 크게 여덟 가지로 구분한다. 그것을 팔고(八苦)라고 하는데, 인간의 근본적인 고통인 생로병사 네 가지에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추가해서 ‘팔고’라고 한다. 이것을 ‘인생 팔고’ 혹은 ‘인생의 팔대 고통’이라고 한다.
◆ 불교 사자성어 25 색즉시공(色卽是空), 색(물질)은 공한 것이다
인간의 육체는 사망 후 12시간이 지나면 눈에 띌 정도로 부패하기 시작하고, 노출될 경우 한 달이면 폭삭 썩어서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가 된다고 한다.
그런데 그 가운데서도 가장 빨리 부패하는 곳이 바로 이목구비라고 한다. 그리고 이목구비는 육체가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오염수 통로(하수구)가 된다고 한다. 그 예쁜 눈과 입, 코, 귀가 고름 같은 것이 질질 흘러 내리는 하수구라고 보면 그만 소름이 끼친다. 자신도 죽으면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 참으로 허망해진다. 색즉시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