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9405259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6-03-10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인간관계의 본질
1. 인간관계의 의미
2. 인간관계론의 형성과정
1) 전통적 인간관계론-과학적 관리론
2) 초기의 인간관계론-호손실험
3) 현대적 인간관계론-인간자원관리
3. 인간관계의 특징
제 2 장 자기 찾기
1. 자아개념의 의미
2. 자아개념의 구성요인
3. 자아개념의 기능
1) 경험의 여과 기능
2) 자성예언 기능
3) 주변 정보의 해석 기능
4. 자신을 보는 관점
5. 자아개방
6. 자아개념 증진
1) 긍정적인 자기대화하기
2) 시각화하기
3) 비교하지 않기
4) 새로운 시각 갖기
5) 솔직하고 친밀한 인간관계 갖기
제 3 장 성격과 인간관계
1. 성격의 의미
2. 성격의 결정요인
1) 유전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3. 성격 이론
1) 특성 이론
2) 과정 이론
제 4 장 정서와 인간관계
1. EQ의 출현
2. 정서지능의 개념
3. 정서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1) 정서와 인지의 관계
2) 정서와 동기와의 관계
4. 정서지능의 구성요인
1) Salovey와 Mayer의 모형
2) Goleman의 모형
5. 정서지능의 계발
제 5 장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1. 의사소통
1) 의사소통의 개념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3) 의사소통의 모형
2. 효과적인 언어적 의사소통 기술
1) 나-메시지(I-message)
2) 적극적 경청
3) 질문하기
4) 설명하기
5) 강화주기와 강화받기
6) 자기노출
7) 자기주장
8) 유 머
3. 효과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
1) 가시적 채널
2) 부언어적 기술
4. 피드백
제 6 장 우정과 사랑
1. 우 정
1) 우정의 의미
2) 친구의 기능
3) 친구관계의 유형
2. 사 랑
1) 사랑의 의미
2) 사랑의 요소
3) 사랑의 유형
4) 사랑의 기술
제 7 장 결혼과 인간관계
1. 결혼
1) 결혼의 정의
2) 결혼의 의미
2. 배우자의 선택
1) 근접성 여과기
2) 유사성-상보성 여과기
3) 개인적 매력 여과기
4) 조화성 여과기
5) 선택 여과기
3. 결혼 전 예비 배우자와 의논ㆍ합의해야 할 사항
1) 삶의 질에 관한 논의
2) 부부관계에서 파생하는 문제에 관한 논의
3) 가족관계에서 파생하는 문제에 관한 논의
4) 직업, 진로에 관한 논의
4. 결혼에 대한 환상과 오해
1) 결혼에 대한 환상
2) 결혼에 대한 오해
5. 예비부모교육
1) 부모교육의 필요성
6. 성공적인 결혼
7. 부부의 역할을 확립하기
1) 신혼부부의 발달과업
2) 부부관계의 적응
제 8 장 가족 내에서의 인간관계
1. 가정, 가정환경
1) 가정환경
2) 가족의 유형
2. 부부 간의 인간관계
1) 부부관계의 중요성
2) 부부 간의 의사소통
3) 부부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방법
3. 부모-자녀 간의 인간관계
1)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2) 부모의 수용능력
3) 감정코치
4) 부모-자녀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방법
4. 형제-자매 간의 인간관계
1) 형제-자매 간의 경쟁관계
2) 형제-자매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방법
제 9 장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1. 진로 선택
2. 취업 준비
1) 취업정보의 수집
2) 입사지원서류의 준비
3) 면접시험
3.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1) 직장에서의 인간관계의 중요성
2) 직장인의 매너
3)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위한 제언
제 10 장 인간관계 문제 진단과 행동의 변화
1. 인간관계 문제 진단
2. 문제유형별 대처전략
1) 비합리적 신념과 합리적ㆍ정서적 행동요법
2) 부정적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훈련
3) A형 성격과 시간조절 모델
4) 수동적ㆍ소극적 성격과 자기표현 훈련
5) 학습된 부적응적 행동과 행동요법
6) 비사회적ㆍ반사회적 성격과 사회성 훈련
7) 인간관계 훈련 집단상담
제 11 장 스트레스와 적응
1. 스트레스의 의미
1)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2)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
3) 역동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
2. 스트레스의 원인
1) 상황적 원인
2) 심리적 원인
3.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
1) 적극적 대처
2) 소극적 대처
제 12 장 죽음의 인식과 대처
1. 죽음에 관한 연구의 역사
2. 죽음의 정의와 관련 변인들
1) 죽음의 정의
2) 죽음과 관련된 변인들
3) 죽음에 대한 종교 간 견해 차이
4) Elisabeth Kubler-Ross의 죽음의 과정 이론
3. 죽음 대비의 교육
1) 독일 중ㆍ고등학교의 죽음 대비 교육 프로그램
2) 미국의 죽음 대비 교육 프로그램
4. 죽음과 관련된 문제들
1) 안락사
2) 자 살
3) 사별과 애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