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공학/수업설계
· ISBN : 978899972836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0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대학에서 교육과 수업
학생들이 살아갈 시대
대학에 불어오는 바람
대학 교수자의 현실과 지향
대학 교수자에게 필요한 교육 전문성
대학생이 원하는 수업
대학교육을 위한 조직과 체제
제2장 대학 수업의 준비: 교수자를 위한 교육학 기초
교육철학이 중요합니다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개발
수업과 수업 설계
교육평가와 피드백
제3장 대학 수업의 계획: 강의계획서 작성
강의계획서를 작성하기 전에
강의계획서 양식을 살펴볼까요
강의계획서를 작성합니다
교육목표 설정과 관련 활동
제4장 대학 수업의 운영: 좋은 수업의 기술
대학 수업에 대해 먼저 생각할 것들
짜임새 있는 수업: 도입-전개-정리
교수자의 기본 자세
설명 중심 수업에서 효과적인 기술
질문이 있는 수업
학생들과의 관계
제5장 대학 수업의 평가와 성찰
평가에 대해 먼저 생각할 것들
좋은 평가를 위한 평가 계획
지필평가 살펴보기
어떻게 발표할까요
누가 평가할까요
팀 학습에서 평가
학습 성찰과 수업 개선
제6장 대학에서 팀 학습
진정한 팀 학습, 가능할까
팀 학습의 비법!
다양한 팀 학습방법
사전학습 기반 팀 학습: 팀기반학습과 플립러닝
프로젝트 기반 팀 학습: 프로젝트학습
온라인 수업에서 팀 학습
후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무엇보다 ‘대학은 교육기관’이라는 정체성 인식이 필요합니다. 대학이 존재하는 이유는 ’학생‘이며, 학생의 삶과 진로에 영향을 주어야 합니다. 대학의 연구 기능이 교육으로 전환되고 다시 연구로 선순환될 수 있으며, 미래의 대학 교원을 길러내는 역할도 할 것입니다. 대학의 교육과 수업의 방향은 학습자와 학습을 교육의 중심에 두고 사고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되어야 합니다.
대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수학습’입니다. 이를 위해 대학 조직이 다시 정비되고, 대학의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교육’이 가장 중심에 서서 이를 위한 대학의 학사운영과 행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많은 대학이 이러한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제대로 구축하고 운영한 대학에서는 분명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날 것입니다. 이것은 살아남는 대학의 중요한 요인이 될 것입니다. 좋은 수업과 학생 성장이 가능한 환경, 반드시 필요합니다.
대학 교수자 대상의 교수법 특강을 할 때, 서두에 드리는 말씀은 늘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철학입니다.” 철학에 따라 기술은 달라지며, 기술의 채택 여부는 철학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철학의 정립이 우선입니다. 그리고 ‘화려한 교수법’이나 ‘꽉 찬 활동’이 아니라, 학생과 교육을 바라보는 올바른 ‘관점’ 그리고 학생들에게 전달되는 교수자의 ‘진정성과 열정’에 교육의 성패가 좌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