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2판)

조한진, 김경미, 강민희, 정은, 곽정란, 전지혜, 정희경, 조원일 (지은이)
학지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99728860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23-03-30

책 소개

1부에서는 장애의 정의와 같은 기본적인 이론을 다루고 있으며, 2부에서는 장애의 맥락에서 정치, 경제뿐만 아니라 심리, 문화, 윤리적 부분까지 담고 있다. 특히나 장애인 차별과 그에 대한 운동을 다룬 지점은 단순한 번역서가 가진 한계를 뛰어넘어 한국만의 장애학 역사를 다루는 차별점을 갖는다.

목차

제2판 서문
제1판 서문

제1부 장애와 장애학

제1장 장애학의 개관
Ⅰ. 서론
Ⅱ. 왜 장애학이 필요한가
Ⅲ. 장애학의 발전
Ⅳ. 장애학이란 무엇인가
Ⅴ. 장애학의 원칙
Ⅵ. 장애학의 접근법
Ⅶ.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장애의 정의·분류·측정
Ⅰ. 서론
Ⅱ. 개념적 틀
Ⅲ. 개념적 틀의 적용: 장애의 정의·분류·측정
Ⅳ.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장애의 이론적 틀
Ⅰ. 서론
Ⅱ. 장애의 개별적 모델
Ⅲ. 장애의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Ⅳ. 장애 이론을 위한 네 가지 패러다임과 그 변형
Ⅴ. 페미니스트 장애 이론
Ⅵ. 상대적 상호작용론 관점
Ⅶ. 결론
참고문헌

제4장 장애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연구 방법의 철학적 가정과 연구 패러다임의 유형
Ⅲ. 질적 연구의 접근 방법
Ⅳ.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 및 관련 이슈
Ⅴ. 발달장애인과 함께 연구하기
Ⅵ. 결론
참고문헌

제2부 장애의 맥락

제5장 장애의 정치경제학
Ⅰ. 서론
Ⅱ. 정치·경제의 결과물로서의 장애
Ⅲ. 통제와 배제의 메커니즘으로서의 사회 정책
Ⅳ. 사회 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Ⅴ. 결론
■ 참고문헌

제6장 장애 정체감·자부심, 그리고 장애 문화의 가능성의 탐색
Ⅰ. 서론
Ⅱ. 장애 정체감에 대한 이해
Ⅲ. 장애 정체감을 둘러싼 논의들
Ⅳ. 장애 자부심에 바탕을 둔 장애 문화의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제7장 장애와 문화: 그 역사적 질곡과 복원에의 염원
Ⅰ. 서론
Ⅱ. 장애 문화의 지역적 다양성과 역사적 굴곡
Ⅲ. 농문화와 이에 대한 관점
Ⅳ. 종래의 관점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장애 문화 운동
Ⅴ. 문화 향유의 객체 내지 주체로서의 장애인
Ⅵ. 결론
참고문헌

제8장 장애의 윤리학에 관한 소고
Ⅰ. 서론
Ⅱ. 윤리적 인식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전환
Ⅲ. 우생학
Ⅳ. 장애 예방
Ⅴ. 안락사
Ⅵ. 21세기 새로운 우생학: ADHD에 대한 현대 사회의 대처
Ⅶ. 결론
참고문헌

제9장 근·현대 장애인복지 제도를 통해 본 한국 장애인의 역사
Ⅰ. 서론
Ⅱ. 일제 강점기: 방치와 격리 수용 그리고 훈육의 시작
Ⅲ. 한국전쟁: 충성을 둘러싼 장애인의 구분
Ⅳ. 1960∼1970년대: 산업 발전, 그리고 장애인에게 강요된 인내
Ⅴ. 1980∼1990년대: 복지 수혜자로서의 장애인
Ⅵ. 2000년대: 중증장애인, 세상 밖으로 나오다
Ⅶ. 결론
참고문헌

제10장 한국 장애인운동의 역사
Ⅰ. 서론
Ⅱ. 부모와 전문가에 의한 운동(1960∼1985년)
Ⅲ. 사회 변혁적 장애인운동의 준비(1986∼1987년)
Ⅳ. 사회 변혁적 장애인운동의 실천(1988∼1989년)
Ⅴ. 사회 변혁 운동의 유지를 위한 조직 통합과 해체(1990∼1998년)
Ⅵ. 중증장애인 운동과 장애인운동의 대통합(1999∼2007년)
Ⅶ. 결론
참고문헌

제3부 장애여성과 장애아동

제11장 장애여성의 생애 경험: 억압과 자기재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한국 장애여성의 사회적·경제적 현황
Ⅲ.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련된 이론적 설명
Ⅳ. 한국 장애여성의 경험들
Ⅴ. 결론
참고문헌

제12장 장애아동과 교육
Ⅰ. 서론
Ⅱ. 특수교육학의 장애 이해 관점에 대한 비판적 성찰
Ⅲ. 장애인 교육관의 재정립
Ⅳ.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전지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에서 장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장애학과 장애인복지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은 책으로 『수다 떠는 장애』가 있다.
펼치기
조원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츠쿠바대학(筑波大學) (심신장애학 박사) 현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공공안전학부 사회복지학전공 교수
펼치기
조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대구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장애인 정책 및 장애학이다. 공저로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2판)』(2023), 『미국의 사회보장제도』(2018), 공역서로 『장애이론: 장애 정체성의 이론화』(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Bremen)대학교에서 장애인교육학으로 디플롬(Diplom) 및 철학박사 학위(Dr. Phil.)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에 재직 중이며, 교육학과에서 교육심리와 특수교육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장애, 움직이는 시선』, 『왜 ‘특수’인가?』, 『인간발달과 장애』가 있으며, 번역서로 『중도·중복장애인의 교육과 복지』(공역), 『중도·중복장애 의사소통 이해와 지원』(공역)이 있다. 이 밖에도 「한국 교육의 수치(Shame) 문화 속에 잠재된 폭력성에 관한 성찰」, 「과잉 교육 시대 민주적 인성 발달의 문제에 관한 연구」, 「정신 장애와 민주 사회」, 「장애진단과정에 Sacks의 신경심리방법론 적용의 중요성」, 「미래 (통합)교육 방향성 탐색 :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비폭력 공생 교육」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리츠메이칸대학(立命館大學) (학술 박사) 현 광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사회복지학부 부교수
펼치기
강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리즈대학교(University of Leeds) (철학 박사) 현 호남대학교 사회경영대학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펼치기
곽정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어·청각장애아교육을 전공했다. 일본 교토에 있는 리츠메이칸대학교 대학원에서 언어권에서 본 이중언어 농교육에 대한 학제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쓴 책으로는 일본에서 출판한 《일본 수어와 농교육: 일본어 능력주의를 넘어서》(생활서원, 2017)가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한국 수어 교원양성 교재 《한국 농사회의 이해》와 《농문화와 농사회》집필에 참여했다.
펼치기
김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캔사스대학교(University of Kansas) (사회복지학 박사) 현 숭실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