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실습지침

교육실습지침

박철홍, 김병주, 김재춘, 조규락, 정은, 김상섭, 이윤주, 허준, 이용상 (지은이)
영남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실습지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실습지침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75815973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9-04-25

책 소개

교육실습이 지니고 있는 구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서,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교육실습의 과정과 내용, 학생들의 발달과 심리 및 학교생활의 실태파악과 이해 등 교사로서의 실무을 익히는데 필요한 지침서가 되도록 하였다.

목차

Ⅰ. 교육실습과 교육실습생
1. 교육실습의 의미
2. 교육실습의 목적
3.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활동
4. 훌륭한 교육실습생
5. 교육실습생의 임무와 역할

Ⅱ. 교육실습의 과정
1. 사전지도
2. 실습의 요령
3. 실습의 단계

Ⅲ. 교육실습의 내용
1. 교육실습의 계획
2. 학급경영
3. 연구수업
4. 학습지도
5. 생활지도
6. 특별활동
7. 교생실습 기간 중 교생이 지켜야 할 사항

Ⅳ. 학습지도안의 작성
1. 수업
2. 학습지도안
3. 평가

Ⅴ. 교생실습일지의 작성
1. 현장실습일지
2. 상담 일지
3. 기타 양식

Ⅵ. 수업모형 : 학습자활동 중심 집단 협력 / 협동 학습
1. 협력/협동학습의 개념, 원리 및 의의
2. 직소 모형(Jigsaw Model)
3.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4. 비주얼 러닝(Visual Learning)
5. 사례가이드학습(Case-Guided Learning: CGL)

Ⅶ. 학생상담 : 원리와 방법
1. 학생상담의 원리
2. 학생상담의 방법

부록 : 학습지도안의 예
1. 도덕과 학습지도안
2. 국어과 학습지도안
3. 사회과 학습지도안
4. 수학과 학습지도안
5. 과학과 학습지도안
6. 기술·가정과 학습지도안
7. 체육과 학습지도안
8. 음악과 학습지도안
9. 미술과 학습지도안

저자소개

김재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UCLA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통령비서실 교육비서관, 교육부 차관,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영남대학교 교학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OECD CERI(교육 분야) 운영이사, 세계교과서학회(IARTEM) 아시아 대표이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 위원장 등을 지내며 다양한 국제 학술 활동을 펼쳤다.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 싱가포르, 홍콩, 중국, 유네스코 등 여러 국가나 국제기구의 초청으로 논문을 발표하거나 자문했다. 니체와 들뢰즈 등 현대 사유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찾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조규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교수체제(Instructional Systems)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서울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강의를 했고, 2004년부터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와 연합전공 대학원 디지털융합비즈니스학과의 교수로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문제해결과 체화된 인지, 데이터 사이언스와 빅데이터 분석, AI의 교육적 활용 등이며, 지금까지 관련 분야의 많은 논문을 게재하고 여러 권의 저서와 역서를 출간하였다.
펼치기
김병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박사) 현재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1995~) <주요저서> Sixty Years of Korean Education(SNU Press, 2010) 선생님 어디계세요?: 교직사회의 현황, 갈등, 처방(교육과학사, 2011) 한국교육의 새 지평: 교육의 재구조화(교육과학사, 2011) 비교교육학: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2012) 한국 교육정책 현안과 해법(교육과학사, 2013) 교육재정학(학지사, 2014) 교육재정학(학지사, 2015) 한국지방교육자치론(학지사, 2018) 비교교육학과 교육학(양성원, 2018)
펼치기
허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문해교육, 공동체학습, 사회운동, 시민교육 등이다. 지은 책으로는 『지방 소멸 시대의 농촌교육, 우리가 몰랐던 진실들』(2022, 공저), 『평생교육경영론』(2016, 공저), 『위기, 변화 그리고 공동체학습』(2012)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자유를 위한 문화행동』(2022), 『연대의 페다고지』(2020, 공역), 『문해, 믿음과 편견 그리고 실천』(2020, 공역), 『문해교육: 파울로 프레이리의 글 읽기와 세계 읽기』(2014), 『페페의 희망 교육』(2012, 공역),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다』(2006, 공역)가 있다.
펼치기
정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Bremen)대학교에서 장애인교육학으로 디플롬(Diplom) 및 철학박사 학위(Dr. Phil.)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에 재직 중이며, 교육학과에서 교육심리와 특수교육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장애, 움직이는 시선』, 『왜 ‘특수’인가?』, 『인간발달과 장애』가 있으며, 번역서로 『중도·중복장애인의 교육과 복지』(공역), 『중도·중복장애 의사소통 이해와 지원』(공역)이 있다. 이 밖에도 「한국 교육의 수치(Shame) 문화 속에 잠재된 폭력성에 관한 성찰」, 「과잉 교육 시대 민주적 인성 발달의 문제에 관한 연구」, 「정신 장애와 민주 사회」, 「장애진단과정에 Sacks의 신경심리방법론 적용의 중요성」, 「미래 (통합)교육 방향성 탐색 :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비폭력 공생 교육」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윤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교육학박사) 현재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2009~) <주요저서>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학지사, 2003 역) 상담사례개념화의 영역과 요소(한국학술정보, 2007) 청소년자살상담(학지사, 2008) 교육심리학서설 개정판(교육과학사, 2009) 상담학개론(학지사, 2013) 전문상담자의 세계(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역) 학교폭력 지도와 상담(영남대학교출판부, 2017)
펼치기

책속에서

교육은 보다 훌륭한 인간으로의 성장을 도모하는 가장 인간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사는 그 활동의 핵심에 위치하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보다 인간답게 사는 길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배우고자 하는 인간이 가장 인간다운 인간이며, 교사가 바로 그러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가장 잘 배우는 사람이 교사라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교사를 양성하는 최종적이며 핵심적인 과정인 교육실습은 그야말로 철저하게 배움의 과정이 되어야 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교육실습생은 교사라기보다 학생이라는 점에 보다 강조점이 두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럴 때 교육실습생은 교육실습과정을 통하여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갖추도록 하는 교육실습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