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서중심상담의 실제

정서중심상담의 실제

Robert Elliott, Leslie Greenberg (지은이), 김영근, 손자영, 김미례, 김수임, 김종수, 박승민, 신선임, 안인숙, 윤숙경, 조난숙, 최바올, 홍상희 (옮긴이)
학지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서중심상담의 실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서중심상담의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973224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정서중심상담 및 심리치료의 치료와 실무를 총망라한 입문서이다. 주요 이론과 개념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상담의 처음부터 끝까지 단계별로 안내하고 있다. 각 장에는 사례 연구 및 기록, 추가 읽기, 성찰 연습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접근 방식의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목차

역자 서문
한국의 독자들에게 전하는 말
저자 서문

01 정서중심상담과 인간중심 경험적 접근
정서중심상담 소개
정서중심상담이란 무엇인가
정서중심상담의 발전
정서중심상담의 실무: 시작 전 점검 목록
정서중심상담의 실무 원리
정서중심상담에 대한 일반적인 우려 사항
접근의 성과에 관한 근거
학습 과정을 돕기 위한 제안들
상담 사례 소개

02 정서중심상담에서의 정서 이론
정서의 정의와 중요성
정서도식: 정서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정서 강도와 정서조절
정서 범주: 어떤 종류의 정서가 있는가
정서 반응 유형

03 정서의 심화와 변화
정서 변화와 정서 심화 모델
변화 과정 진입
EFC에서의 정서 심화 모델
결론

04 정서중심상담의 시작: 관계 형성 및 작업의 시작
정서중심상담의 시작 단계
EFC에서 정서에 대한 공감적 조율 및 공감적 반응의 유형
치료적 현존 확립하기
내담자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기 및 공유 사례개념화 발달 시작하기
초기 내러티브 작업: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돕기
Jonah가 상담을 시작하다

05 초기 작업 단계: 전개 및 포커싱
정서중심상담에서의 치료적 과업 개관
문제 반응에 대한 환기적 전개
불분명한 감정에 포커싱하기
Bethany: 초기 작업 단계에서의 전개 및 포커싱

06 초기 작업 단계: 두 의자 작업
내적 갈등에 대한 두 의자 대화의 개요
사전 대화 및 시작 단계
깊이 들어가기 및 새로운 변화 단계
부드럽게 하기 및 협상 및 대화 후 단계
다른 종류의 갈등에 대처하기
Bethany: 초기 작업 단계의 두 의자 작업

07 후기 작업 단계: 미해결 관계 문제를 위한 빈 의자 작업
빈 의자 작업의 개요
빈 의자 작업의 시작 및 도입 단계
빈 의자 작업의 심화 및 표현 단계
빈 의자 작업의 완료 및 처리 단계
빈 의자 작업의 변형

08 후기 작업 단계: 공감적 인정 및 자비로운 자기진정
취약성과 정서적 고통 다루기
취약성에 대한 공감적 인정: 고전적인 인간중심 과업
괴로움에 대한 자비로운 자기진정
Bethany의 후기 작업 단계

09 통합 단계: 효과적인 종결 작업
종결 과정 개요
Bethany의 통합 단계
종결의 치료적 과업
다양한 종결 유형
Jonah의 종결 상담

10 정서중심상담의 다음 단계
개관
정서중심상담의 기타 측면
다른 내담자 집단에의 적용
간략한 EFC 과정 연구 요약
EFC 상담의 모니터링 방법
추가 학습과 상담 실무를 위한 권장 사항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Leslie Greenberg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토론토의 요크대학교(York University) 심리학 명예 교수이다. 남아프리카에서 태어난 그는 원래 엔지니어로 활동했으며, 암묵적 지식, 즉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된 엔지니어였다. 1970년에 심리학으로 전향하여 인간중심 및 게슈탈트 치료로 교육을 받았고 40년 이상 심리치료 연구에 참여했다. 그는 정서중심치료에 관한 주요 책을 저술했으며, 『Emotion in psychotherapy』(1989), 『Emotionally focused therapy for couples』(1988), 『Facilitating emotional change』(1993, with Laura Rice and Robert Elliott), 『Emotion-focused therapy』(2015), 『Case formulation in emotion-focused therapy』(2015, with Rhonda Goldman), 『Emotion-focused therapy of forgiveness and letting go』(2019, with Catalina Woldarsky), 그리고 『Emotion-focused therapy of generalized anxiety』(2017, with Jeanne Watson) 등을 저술하였다. 그는 국제심리치료연구 학회의 초보 연구자 상과 우수 연구자 상을 비롯하여 미국심리학회의 ‘Carl Rogers’ 상과 응용 연구에 대한 공로상을 수상했다. 또한 캐나다심리학회에서 심리학 전문가 상을 받았다. 그는 현재 국내외에서 정서중심치료를 교육하는 데 주로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두 명의 성인 자녀, 두 명의 손주와 함께 토론토에서 거주하고 있다.
펼치기
Robert Elliott (엮은이)    정보 더보기
스트래스클라이드대학교(University of Strathclyde) 상담학 교수이다. 그는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에서 임상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털리도대학교(University of Toledo, Ohio)의 심리학 명예 교수이다. Leslie Greenberg, Laura Rice와 함께 정서중심치료(EFT)를 개발했다. EFT 국제 및 영국 내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정서중심치료 국제학회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Facilitating emotional change』(1993), 『Learning emotion-focused psychotherapy』 (2004), 『Research methods in clinical psychology』(2015), 『Essentials of descriptive-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2021) 등을 공동 저술했으며, 170편 이상의 학술지 논문 및 책을 포함한 다양한 출판물이 있다. Elliot은 심리치료연구학회의 전 회장이며, 이전에는 『Psychotherapy Research』와 『Person-Centered and Experiential Psychotherapies』 저널의 공동 편집자였다. 미국심리학회의 임상 심리학, 심리치료 및 인간 중심 심리학 부문의 연구원이었으며, 심리치료연구학회에서 우수한 연구경력 상과 미국심리학회의 ‘Carl Rogers’ 상을 수상했다. 그는 달리기, 공상과학 소설, 시, 그리고 모든 종류의 음악을 즐긴다.
펼치기
김미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 1. 경력 전)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부회장/광주전남상담학회부회장/한국상담학회 초월영성상담분과학회 자격관리위원장 현)한국상담학회심리치료분과학회 윤리위원장·학교상담분과학회 사례관리위원장/광주가정법원가사상담위원/광주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위원장/광주광역시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호남대학교 학생상담센터장/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2. 자격 여성가족부 청소년 상담사 1급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학교·초월)/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상담·교육·조직)/가족상담전문가/부모교육전문가(APT·TAPT)/심리검사전문가(MBTI·에니어그램·Ego & OK gram·Holland·MLST) 3. 저역서 TACA형 자아상태와 인생태도 평정척도 개발 및 활용의 실제(2016), 교류분석 상담의 과정과 기법(2015), 교류분석 상담의 기초(2015), 기업과 조직을 살리는 교류분석(2015), 교류분석적 접근을 통한 자살상담과 치료(2013), 진로상담전문가를 위한 상담면접기술(2011), 격려기술(2011), 격려리더십(2009) 4. 논문 교류분석(TA) 이론에 의한 청소년기 진로상담 접근 방안에 대한 모색(2016), TACA형 검사지를 활용한 상담의 실제(2016), 초기기억에 나타난 생활양식과 인생태도와의 관계(2015), TA상담의 치료진단모델(2015). 교류분석적 관점에서 트라우마 이해하기(2015), 직장인의 자아상태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2015), 교류분석과 가족치료(2009), 교류분석(TA)이론에 기초한 초기 청소년의 자아상태 및 스트로크와 학교적응의 관계(2008)
펼치기
박승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상담심리 전공 교수 숭실대학교 상담 · 인권센터 센터장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소장 http://www.ssu-infc.com/ 심리상담 전문가로서 상담과 교육, 연구를 하고 있다. 상담사로서 내담자와 함께 깊은 인생 이야기 속 삶의 지혜를 탐구할 때, 그리고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을 강의실에서 만나고 수업할 때 보람과 행복감을 느낀다. 박사논문 주제를 연구하기 위해 접한 질적연구방법론에 깊은 매력을 느껴, 지금까지 다양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다수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상담학을 비롯한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보다 쉽고 명료하게 질적연구방법을 배우고 이해하도록 돕는 것에 관심을 두고 워크숍 등을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최바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인문학부에서 심리학과 영문학을 전공하고, 교육학과에서 상담교육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상담센터에서 실습 수련을 받았으며, 한국청소년상담원(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인턴과정을 수료한 후, 경인교육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전임상담원으로 근무하였다. 현재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에 재직 중이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전문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교육과 연구 뿐 아니라 상담과 상담수련감독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성격, 자기애, 애착, 여성, 긍정심리학 등이다.
펼치기
김영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상담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현재 인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하면서 학부생, 일반대학원생 및 교육대학원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그는 박사과정 재학시절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Global PhD Fellowship」에 선정되어 3년간 장학금을 전폭적으로 지원받았으며, 서울대학교 BK21플러스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장으로부터 연구 실적이 우수함을 인정받아 「Junior Scholar Fellowship」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사)한국상담심리학회로부터 우수박사학위논문상에 이어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의 학자로서 4년간의 실적을 인정받아 소장학자 학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또한 (사)한국상담학회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학술상을 수상했고, 그가 재직하고 있는 인제대학교에서 인제학술상을, 교육부 장관으로부터 제41회 스승의 날 학술진흥 분야의 유공 교원으로서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부터 지금까지 정서중심치료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국제정서중심치료협회에 소속되어 정서중심치료자로 훈련받으면서 관련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교내에서는 사회과학대학 부학장을, 교외에서는 (사)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및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학술지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손자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자격관리 부위원장 현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겸임교수 리솜심리상담센터 센터장
펼치기
김수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부회장 현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부교수 단국대학교 대학생활상담센터 센터장
펼치기
김종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총무이사·홍보위원장 현 계명대학교 태권도학과 조교수 전 한울 스포츠심리상담연구소장
펼치기
안인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교육연수 부위원장 현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문위원 전 숭실대학교 상담인권센터 연구교수
펼치기
신선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사례연구위원장 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상담심리전공 부교수 한국생산성본부 기업교육·코칭 교수
펼치기
윤숙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감사 현 심리상담연구소 마음on마음 소장
펼치기
조난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교육연수위원장 현 한성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전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부회장
펼치기
홍상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심리치료상담학회 국제교류위원장 현 이화여자대학교 마음E센터 특임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